$\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밭 토양에서 유기물 자원의 시용이 작물 수량 및 토양 물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p Yield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to Application of Organic Resources in Upland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5 no.4, 2017년, pp.15 - 22  

한경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강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조희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협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옥정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장용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기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서영호 (강원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경지에 유기물 자원을 시용하면 지력이 높아져서 작물의 수량이 높아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기물 자원을 밭 토양에 시용하였을 때 작물 수량 및 토양 물리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기물 자원별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콩을 평야지인 수원의 사양토와 식양토 포장에서 재배하였으며, 온도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고랭지 평창의 사양토 포장에서도 수행하였다. 시험에 쓰인 유기물 자원은 볏짚퇴비, 돈분톱밥퇴비, 계분톱밥퇴비, 코코피트였으며, 콩 파종 전에 탄소 기준으로 동등한 수준으로 시용하였다. 무기질비료의 시용량은 토양검정한 분석치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유기물 자원의 분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항온배양실험을 실내에서 사양토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분해 속도는 볏짚퇴비가 가장 높았으며, 돈분톱밥퇴비, 코코피트 순이었다. 유기물 자원의 시용에 따른 콩 수량의 증가 효과는 사양토에 비해서 식양토에서 높았다. 기상 비율의 증가 효과도 식양토에서 뚜렷하였다. 반면에 토양 입단 안정성의 증가 효과는 사양토에서 비교적 높았다. 볏짚퇴비가 모든 토양에서 콩 수량의 증가 효과가 가장 높았다. 코코피트의 콩 수량 증가 및 토양 물리성 개선 효과는 다른 유기물 자원에 비해서 높지 않았다. 따라서 밭작물 수량의 증대 및 토양 물리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축분퇴비 등 다른 유기물 자원에 비해서 볏짚퇴비가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pplication of organic resources to agricultural land can increase crop yield by improving soil characteristic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of crop yield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ggregate stability to application of organic resources in upland. The soybean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밭 토양에서 유기물 자원의 시용에 따른 토양 물리성의 변화와 작물 수량 증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볏짚퇴비, 돈분톱밥퇴비, 계분 톱밥퇴비, 코코피트의 네 종류의 유기물 자원을 탄소 투입량을 기준으로 동등하도록 처리하였다.
  • , 용적밀도, 공극률, 기상율, 내수성 입단 등 토양 물리성의 변화를 토성별 및 지역별로 살펴본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축분퇴비 등 유기물 자원을 밭에 시용하였을 때 유기물 자원 종류에 따른 토양 물리성과 작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포장 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유기물 자원의 분해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내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Treatments with same letter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 probability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물 자원의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유기물 자원의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토양 환경 조건과 미생물의 먹이인 유기물의 특성이다 6) . 유기물 자원의 무기화 및 분해를 빠르게 하는 최적 환경 조건은 중성 산도, 적당한 토양 수분, 양호한 통기성 (공극 포화율 60%), 적당한 온도 (25-30℃) 등이다.
유기물 자원의 무기화 및 분해하기 위한 최적 환경은? 유기물 자원의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토양 환경 조건과 미생물의 먹이인 유기물의 특성이다 6) . 유기물 자원의 무기화 및 분해를 빠르게 하는 최적 환경 조건은 중성 산도, 적당한 토양 수분, 양호한 통기성 (공극 포화율 60%), 적당한 온도 (25-30℃) 등이다. 미생물 먹이인 유기물 자원의 특성은 탄질(C/N)비, 리그닌과 폴리페놀 함량, 물리적 상태 등이 있다 6) .
유기물 자원의 특성은 분해 속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미생물 먹이인 유기물 자원의 특성은 탄질(C/N)비, 리그닌과 폴리페놀 함량, 물리적 상태 등이 있다 6) . 유기물 자원의 소수성 (발수성)은 수분 흡수를 느리게 하여 수용성 미생물 효소에 따른 분해를 더디게 한다. 또한 유기물 자원이 토양 안에 있는지 토양 위에 있는지의 존재 위치는 분해 속도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ark, C.S., "Effects of organic material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crop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11(3), pp. 175-194. (1978). 

  2. Hur, B.K., Kim, L.Y., Jo, I.S., Park, Y.S., Um, K.T., and Kim, M.S., "Effects of organic matter resources on the soil improvement and crop growth", Res. Rep. RDA Plant Environ. Mycol. Farm Prod. Util., 28(1), pp. 7-12. (1986). 

  3. Jo, I.S.,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plant growth", Technical Bulletin No. 119 Food & Fertilizer Technology Center. pp. 1-16. (1990). 

  4. Marinari, S., Masciandaro, G., Ceccanti, B., and Grego, S., "Influence of organic and mineral fertilisers on soil bi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Bioresour. Technol., 72(1), pp. 9-17. (2000). 

  5. Aggelides, S.M. and Londra. P.A., "Effects of compost produced from town wastes and sewage sludge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loamy and a clay soil", Bioresour. Technol., 71(3), pp. 253-259. (2000). 

  6. Brady, N.C. and Weil. R.R.,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4th ed., Pearson-Prentice Hall, pp. 521-527. (2008). 

  7. Park, K.C., Kim, Y.S., Kwon, O.H., Kwon, T.R., Park, S.G.,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red pepper field", Korean J. Soil Sci. Fert., 41(2), pp. 118-125. (2008). 

  8. Lee, C.R., Ok, J.H., An, M.S., Lee, S.B., Park, K.L., Hong, S.G., Kim, M.G., and Park, C.B., "Soil chemical properties of long-term organic cultivation upland", Korean J. Org. Agric., 25(1), pp. 161-170. (2017). 

  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NAAS), Methods of soil physical analysis, NA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34-76. (2017). 

  10.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NAAS),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51-60. (2010). 

  11. Tagliavini, M., Tonon, G. Scandellari, F., Quinones, A., Palmieri, S., Menarbin, G., Gioacchini, P., and Masia, A., "Nutrient recycling during the decomposition of apple leaves (Malus domestica) and mowed grasses in an orchard", Agric. Ecosyst. Environ., 118(1), pp. 191-200. (2007). 

  12. Yoon, S.T., Je, E.K., Kim, Y.J., Jeong, I.H., Han, T.K., Kim, T.Y., Cho, Y.S., and Yun, E.S., "Survey and evaluation of paddy-upland rotation production system", J. Korean Soc. Int. Agric., 26(4), pp. 531-543. (2014). 

  13. Bronick, C.J. and Lal, R., "Soil structure and management: a review", Geoderma, 124(1), pp. 3-22. (2005). 

  14. Paul, E.A. and Clark, F.E., Soil microbiology and biochemistry, Academic press, Inc. pp. 127-130. (1989). 

  15. Carter M.R., "Soil quality sustainable land management: organic matter and aggregation interactions that maintain soil functions", Agron. J., 94(1), pp. 38-47. (2002). 

  16. Dalal, R.C. and Bridge, B.J., Aggregation and organic matter storage in sub-humid and semi-arid soils, In: Carter, M.R. and Stewart, B.A., Structure and Organic Matter Storage in Agricultural Soils. CRC Press, pp. 263-307. (1996). 

  17. Kay, B.D., "Rates of change of soil structure different cropping system", Adv. Soil Sci., 12, pp. 1-52. (1989). 

  18. McLaren, R.G. and Cameron, K.C., Soil Science,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52-168. (1996). 

  19. Oades, J.M., Soil organic matter and structural stability: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In: Tinsley, J. and Darbyshire, J.F., Biological Processes and Soil Fertility. Springer Netherlands, pp. 319-337. (1984). 

  20. Six, J., Elliott, E.T., and Paustian, K., "Soil macroaggregate turnover and microaggregate formation: a mechanism for C sequestration under no-tillage agriculture", Soil Biol. Biochem., 32(14), pp. 2099-2103. (2000). 

  21. Tisdall, J.M. and Oades, J.M., "Organic matter and water-stable aggregates in soils", Eur. J. Soil Sci., 33(2), pp. 141-163.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