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혐기성소화에서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의 혼용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 및 소화액의 액비 특성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iogas Production and Liquid Fertilizer with Anaerobic Co digestion of Livestock Manure and Food Waste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5, 2011년, pp.895 - 902  

박우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박노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신중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홍승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권순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강기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혐기성소화에서 원료로 가축분뇨와 음식물 쓰레기의 혼합비에 따른 유기물 제거율은 60:40에서 총고형물 (TS) 및 휘발성고형물 (VS)이 각각 약 80%로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통합소화에 의한 누적가스발생량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가축분뇨 60%와 음식물 쓰레기 40%를 투입한 처리 (60:40)에서 가장 많은 가스 발생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통합소화액의 염분함량을 고려할 때 가축분뇨 0.1%, 음식물 쓰레기 0.6%의 염분을 함유한 원료를 대상으로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투입하였을 때 음식물 쓰레기 100% 투입의 경우에 소화액의 염분함량은 0.45%, 음식물 쓰레기 60%와 가축분뇨 40% 투입에서 0.32, 음식물쓰레기 40%와 가축분뇨 60% 투입에서 0.27%, 음식물 쓰레기 20%와 가축분뇨 80% 투입에서 0.21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가축분뇨와 음식물 쓰레기를 통합소화하고 소화액을 액비로 농경지에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한계비율은 30%이하가 적정 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통합 소화액을 액비로서 농경지에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원료별, 발생원별로 너무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함량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통합소화를 위한 적정 혼합비율 설정 및 토양 및 작물 재배를 통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iogas production in anaerobic digestion reactor with different mixing ratio of food waste and swine manure. It was observed that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erial was 80% at 60 : 40 of mixing ratio (livestock ma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성 자원을 이용한 혐기소화 후 소화액의 농업적 활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가축분뇨와 음식물 쓰레기 혼합비율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성과 혐기성소화액의 성분 평가를 통한 한계 혼합비율 설정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축분뇨를 이용한 에너지화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는 2006년 9월27일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2007년 9월 28일 시행되면서 가축분뇨의 정화 위주의 처리에서 퇴비, 액비 등 자원화 개념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조성을 위해 가축분뇨 에너지화 및 공동자원화시설 확충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가축분뇨를 이용한 에너지화는 수입에 의존하는 화석에너지 대체공급과 온실가스를 감소시켜 지구 온난화 예방에도 기여할 뿐 아니라 에너지 생산 후 남은 소화액은 액비로 이용하여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원으로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Park et al., 2009).
음식물 쓰레기의 혐기성소화가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2). 음식물 쓰레기의 혐기성소화는 유기물 부하 및 TS 함량 등이 높아 영양 불균형으로 인해 적정처리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연구자들은 음식물 쓰레기에 축분 및 하수슬러지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방안 (Hur et al.
가축분뇨 발생량을 축종별로 비교해보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이와 함께 가축분뇨 발생량은 년간 4,370만 톤에 이르고 있다. 이를 축종별로 비교해 보면 돼지가 전체 분뇨의 38.2%를 차지하고 한우․육우는 29.4%, 닭이 14.9%, 젖소가 13.9% 순으로 나타났다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9a). 축산분뇨는 수집대상에 따라 고상, 액상 및 혼합 상태로 구분되어지며 가축분뇨의 자원화율은 2006년 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dams, C.E., D.L. Ford, and W.W. Eckenfelder. 1981. Development of Design and operational Criteria for wastewater treatment. Enviro. Press, Inc., Boston, MA. p. 255-277 and 371-382. 

  2. Ha, W.W. 2010. An Analysis on generation and treatment situation of livestock manure.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3. Hur, B.D., S.H. Kim, J.T. Yoo, Y.K. Ko, and S.M. Yang, 2002. Practical use of biogas technology by integrated anaerobic digestion of food waste and livestock manure. Korea J. Org. Res. Recycling Associ. 10(1):46-51. 

  4. Jeong, D.Y., M.H. Chung, and Y.J. Kim. 2009. Optimal mixing ratio of wastewater from food waste and cattle manure and hygienic aspect in batch type anaerobic digestion. Korea J. Org. Res. Recycling Associ. 17(2):93-100. 

  5. Jung, K.Y. 1999. Composting of Food Wastes, Research Report; The second year Completed Repor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6. Kim. H.G., D.S. Lee, H.N. Jang, and T.H. Chung. 2010. Anaerobic digestion technology for biogas production using organic waste. Korea J. Org. Res. Recycling Associ. 18:50-59. 

  7. Kim, N.C., K.Y. Yoo, J.W. Ahn, Y.J. Kim, K. Hu, Y.G. Jung, and C.G. Phae. 2002.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bio-gasification technology by anaerobic digestion process,. Korea J. Org. Res. Recycling Associ. 10(1):7-23. 

  8. Kim, S.H., S.K. Han, and H.S. Shin. 2004. Feasibility of biohydrogen production by anaerobic co-digestion of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Int. J. Hydrogen Energy, 29:1607-1616. 

  9. McCarty, P.L. 1964. Anaerobic waste treatment fundamentals. Public Works 95(9):107-112. 

  10.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public of Korea. 2009 a. Internal Resources; Performance of livestock manure generation and Recycling. 

  1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public of Korea. 2009 b. Briefing materials-energy business investment in livestock manure. 

  12.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Republic of Korea. 2006.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Press release; Headaches with livestock manure is utilized as a source of energy. 

  13. Park, S.J., J.S. Kim, H.S. Woo, and H.S. Kim. 2006. Effects of salinity concentration on treatment of food waste. Korea J. Org. Res. Recycling Associ. 23(4):272-277. 

  14. Park, W.K., H.B. Jun, N.B. Park, S.I. Kwon, J.D. Shin, and S.G. Hong. 2011. Performance evaluation and characteristic study of the single anaerobic digestion from piggery slurry. Korea J. Environ. Agric. 30(1):31-36. 

  15. Park, N.B., S.M., Park, W.Y. Choi, and H.B. Jun. 2009. Methane production and nitrogen removal from piggery wastewater in the TPAD coupled with BNR process. J. Korean Soc. Wat. Qual. 25(1):18-25. 

  16. Phae, C.G. 2003. Food Recycling Facility Design Status Assessment and Improvement Measures. Korea J. Org. Res. Recycling Associ. 14(1):13-18. 

  17. Shin, H.S., H.W. Kim, S.K. Han, and S.T. Kang. 2002. Degradation characteristics in anaerobic co-digestion of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Korea J. Org. Res. Recycling Associ. 10(1):96-101. 

  18. Shin, H.S., Y.C. Song, and M.J. Mun. 1993.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anaerobic digestion of food wastes by biodegradability test. J. Korea Solid Wastes Eng. Society, 10(1):35-42. 

  19. Song, O.Y., K.Y. Jung, and J.Y. Jeong. 1999. Process development for food waste composting. Korean J. Environ. Agric. 18(4):321-326. 

  20. Statistics Korea. 2009. Livestock survey Report. 

  21. Sung, N.C., K.C. Park, and S.M. Choi. 2001. The Anaerobic Digestion Efficiency and Methane Recovery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Wastewater with Food Waste. J. of KSWES, 18(3):271-277. 

  22. Yoon, A.H., N.B. Park, J.H. Bae, H.B. Jun., and Y.B. Kwon. 2010. Treatment of food waste leachate using pureoxygen jet loop reactor (JLR).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24(6):763-7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