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예용 상토 재료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의 혼합비율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rticultural Substrate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Peatmoss, Perlite and Vermiculite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3, 2011년, pp.321 - 330  

김혁수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김계훈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예용 상토 생산 시 자재의 혼합으로 결정되는 상토의 물리적 특성은 화학적 특성과는 달리 식물생육기간동안 변화가 거의 없고, 식물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재의 혼합비율 설정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분석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상토 분석법과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분석법간의 차이로 인해 외국의 분석결과와 국내의 분석결과를 비교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N 분석법과 RDA 분석법에 따라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의 혼합비율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법 간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분석법에 따른 상토의 물리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상토 분석 시 전처리 과정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원예용 상토 자재로 널리 사용 중인 펄라이트는 내부 공극은 많으나 겉이 막혀있는 특성 때문에 농촌진흥청 상토 분석법에 제시된 입자밀도 항목 중 기존 Pycnometer를 응용한 입자밀도의 측정으로 분석할 경우 EN 분석법과 다른 경향의 결과를 나타냈다. 식물 생육에 적합한 물리성인 공극률 85% 이상, 기상 20-30% 등과 비교 시 EN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피트모스가 혼합된 상토 중 8:2:0과 6:4:0 (peatmoss:perlite: vermiculite)의 상토가 적정기준을 만족하였고, RDA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6:2:2로 혼합된 상토가 적정기준을 만족하였다. 하지만 RDA 분석법에 제시된 전처리 과정 중 건조처리의 영향으로 인해 EAW와 WBC의 기준까지 만족하는 상토는 없었으며, 분석 방법 전처리 과정에 대한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토 자재 혼합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를 삼각도에 응용하게 되면 향후 상토 물리성 연구 및 분석 방법 간의 관계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horticultural substrate are important for optimal plant growth. The physical properties should be properly maintained during the crop growing season for producing higher yiel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different mixtures from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상토제조 시 많이 사용되는 원자재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를 혼합하여 혼합 상토의 물리적 특성을 EN 분석법과 RDA 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자재 혼합비율별 물리적 특성 변화 관찰 및 각각의 분석법에 따른 식물생육에 적합한 혼합비율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 하지만 우리나라의 상토 분석법과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분석법간의 차이로 인해 외국의 분석결과와 국내의 분석결과를 비교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N 분석법과 RDA 분석법에 따라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의 혼합비율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법 간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분석법에 따른 상토의 물리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상토 분석 시 전처리 과정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토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상토는 ‘양질묘 생산에 적합한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갖춘 자재로서 식물체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각종 양분과 수분을 공급해주는 활성화 된 물질로서 육묘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로 정의된다 (Kim et al., 2008).
상토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 2008). 상토의 종류는 수도용, 원예용 및 특수목적용으로 나눌 수 있고, 육묘에 사용되는 원예용 상토는 경량상토로 구분된다. 원예용 상토의 주재료 중 유기질재료는 피트모스 (peatmoss), 코코피트 (cocopeat)가 주로 사용되고, 무기질재료는 펄라이트 (perlite), 버미큘라이트 (vermiculite), 제오라이트 (zeolite) 등이 사용된다.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와 혼합 상토를 EN 분석법에 따라 수분함량, 건물함량, 유기물함량, 회분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유럽 상토 표준분석법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와 혼합 상토를 EN 분석법에 따라 수분함량, 건물함량, 유기물함량, 회분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피트모스의 수분함량은 43.40%로 전체 상토 시료 중 가장 높게 나타났고, 펄라이트는 0.4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에서도 피트모스가 92.67%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펄라이트는 0.78%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nt, A.C. 1974. Som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amless pot-plant substrates and their relation to plant growth. Acta Hort. 37:1954-1965. 

  2. Bunt, A.C. 1984. Physical properties of mixtures of peats and minerals of different particle size and bulk density for potting substrates. Acta Hort. 150:143-153. 

  3. Bunt, A.C. 1988. Media and mixes for container-grown plants. Unwin Haymen LTD, UK. 

  4. Cattivello, C. 1991. Physical parameters in commercial substrates and their relationship. Acta Hort. 294:183-195. 

  5. CEN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1999a. Soil improvers and growing media-Sample preparation for chemical and physical tests, determination of dry matter content, moisture content and laboratory compacted bulk density. EN 13040. 

  6. CEN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1999b. Soil improvers and growing media-Determination of organic matter and ash. EN 13039. 

  7. CEN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1999c. Soil improvers and growing media-Determination of physical properties-Dry bulk density, air volume, water volume, shrinkage value and total pore space. EN 13041. 

  8. De Boodt, M. and O. Verdonck. 1972.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bstrates in horticulture. Acta Hort. 26:37-44. 

  9. Fernandes C. and J.E. Cora. 2004. Bulk density and relationship air/water of horticultural substrate. Sci. agric. 61(4):446-450. 

  10. Gruda, N. and W. H. Schnitzler. 2004a. Suitability of wood fiber substrate for production of vegetable transplants, I. Physical properties of wood fiber substrates. Sci. Hort. 100:309-322. 

  11. Gruda, N. and W. H. Schnitzler. 2004b. Suitability of wood fiber substrate for production of vegetable transplants, II. The effect of wood fiber substrates and their volume weights on the growth of tomato transplants. Sci. Hort. 100:333-340. 

  12. Heiskanen, J. 1995. Physical properties of two-component growth media based on Sphagnum peat and their implications for plant-available water aeration. Plant and Soil 172:45-54. 

  13. Kim, K.H. and J.Y. Kang. 2001. Introduction to European Standard methods for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horticultural substrates. Kor. J. Hort. Sci. Technol. 19(2): 179-185. 

  14. Kim L.Y. 2006. Measure of quality management on Korean bedsoil. Korean Study Group of Artificial Substrates. 1:1-6. 

  15. Kim L.Y. and H.K. Cho. 2002. Development of standard analysis methods for physical properties on Korean bedsoil 1. Particle density and bulk density. Korean J. Soil Sci. Fert. 35(6):327-334. 

  16. Kim L.Y., K.H. Jung, and H.M. Ro. 2002. Development of standard analysis methods for physical properties on Korean bedsoil 2. Water content, water retention,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Korean J. Soil Sci. Fert. 35(6):335-343. 

  17. Kim L.Y., Y.C. Ku, W.H. Yang, and Y. Nam. 2008. Bed soil and raising seeding. Hakyesa. Daejeon, Korea. 

  18. Kipp, J.A., G. Wever, and C. de Kreij. 2000. International substrate manual. Elsevier. doetinchem, Netherlands. 

  19. Klougart, A. 1983. Substrates and nutrient flow. Acta Hort. 150:297-313. 

  20. Lee, H.H., S.K. Ha, and K.H. Kim. 2007. Optimum condition of the coir-based substrate for growth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lug seedlings. Korean J. Soil Sci. Fert. 40(5):369-376. 

  21. Lee, H.H., S.K. Ha, B.H. Kim, Y.J. Seol, and K.H. Kim. 2006a. Optimum physical condition of peatmoss-based substrate for growth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lug seedlings. Korean J. Hort. Sci. Technol. 24(3):322-329. 

  22. Lee, H.H., S.K. Ha, K.H. Kim, and J.Y. Kang. 2006b. Comparison of the European Standard methods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ethods for determining physical properties of horticultural substrates. Korean J. Soil Sci. Fert. 39(2):116-122. 

  23. Lee J.W. 2006. Use-cases of Domestic Horticultural Substrate Products and Improvement Programs. Korean Study Group of Artificial Substrates. 1:211-224. 

  24. Nkongolo, N.V. and J. Caron. 2006. Pore space organization and plant response in peat substrates: I. Prunus x and Spiraea japonica. Scientific Research and Essay. 1(3): 77-89.cistena 

  25. Papadopoulos A.P., A. Bar-Tal, A. Silber, U.K. Saha, and M. Raviv. 2008. Inorganic and synthetic organic components of soilless culture and potting mixes. p. 505-544. In Raviv, M. and Lieth, J.H. (ed.) Soilless Culture: Theory and Practice. Elsevier Science, Amsterdam, Netherlands. 

  26. RDA. 2002. Standard analysis of substrate. Suwon. Korea. 

  27. Sahin, U., Anapali, O. and S. Ercisli. 2002. Physico-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ome substrates used in horticulture. Gartenbauwissenschaft 67(2):55-60. 

  28. Verdonck, O., R. Penninck, and M. De Boodt. 1984. The physical properties of different horticultural substrates. Acta Hort. 150:155-159. 

  29. Verdonck, O. and P. Demeyer. 2004. The influence of the particle siz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growing media. Acta Hort. 644:99-101. 

  30. Verdonck, O. and R. Gabriels. 1988. Substrate requirements for plants. Acta Hort. 221:19-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