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화학성분이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Microbe to Chemical Properties from Orchard Soil in Gyeongnam Province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2, 2011년, pp.236 - 241  

이영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장용선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25개소를 대상으로 2010년에 토양 화학성분과 미생물 다양성을 검토하고 토성, 지형 및 작물별 주요 변동요인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륨 함량은 적정수준 보다 각각 2.6배 및 2.3배 높았으며 대부분 토양 화학성분의 최소값과 최대값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지형적으로 산록경사지는 토양 유효인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미사질양토에서 곰팡이와 형광성 슈도모나스균 개체수가 사양토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제 1주성분이 28.4%, 제 2주성분이 20.1%로서 전체 48.5%의 자료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주성분은 토양의 세균 개체수가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곰팡이 개체수와 정의상관을 보인 반면 세균 개체수와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microbial diversity was responsible for a strong effect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orchard soils. This study evaluated a relationship betwee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soil microbial diversities at 25 sites in orchar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The average nutrients in the orchard soi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경남지역의 과수원 토양에 대한 토양 미생물 다양성을 검토한 연구결과는 매우 미흡하며 이에 따른 농민들의 요구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남지역 과수원을 대상으로 토양 화학성분과 미생물 다양성을 검토하였으며 주성분분석에 의한 토성, 지형 및 작물별 주요 변동요인을 해석하여 효율적인 토양 양분 및 미생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부지역 과수원의 토양 양분관리 실정은 어떠한가? 남부지역 과수원 79%가 15% 이상의 경사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75%는 구릉지 및 산악지 등에 분포되어 있어 (Jung et al., 1993) 토양 침식 뿐만 아니라 여름철 집중강우로 인한 양분 유실이 매우 심하여 토양 양분관리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Heo et al., 2010; Jung et al.
1990년대는 토양 비옥도 증진시켜 작물의 생산성 증대가 중요한 목표였으나 현재는 어떠한가? , 2010a). 세계적으로 1990년대는 토양 비옥도를 증진시켜 작물의 생산성 증대가 중요한 목표였으나(Peters, 2000), 현재는 토양 미생물의 기능과 집적된 양분의 2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Cho et al., 2002; Tang et al.
세계적으로 1990년대는 토양 비옥도를 증진시켜 작물의 생산성 증대가 중요한 목표였으나(Peters, 2000), 현재는 토양 미생물의 기능과 집적된 양분의 2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됨에 따라 환경 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2008). 따라서 미생물에 의한 토양 건전성 유지는 환경 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토양 건전성은 미생물의 수, 미생물 탄소량, 효소활성 등과 토양 비옥도를 함께 고려하여야한다 (Suh,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 I.H., Y.S. Kim, and K.D. Zoh. 2005. A case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ssessment betwee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ost-environmental investiga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 J. Env. Hlth. 31(2):134-146. 

  2. Cho, J.Y., K.W. Han, J.K. Choi, Y.J. Kim, and K.S. Yoon. 2002. N and P losses from a paddy field plot in central Korea. Soil Sci. Plant Nutr. 48:301-206. 

  3. Choi, M.T., J.I. Lee, Y.U. Yun, J.E. Lee, B.C. Lee, E.S. Yang, and Y.H.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for strawberry cultivation under greenhouse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3:153-159. 

  4. Dindal, D.L. 1990. Soil sampling and method of analysis. Soil Biology Guide. Wiley Interscience. 

  5. Heo, J.Y., S.T. Lee, M.G. Kim, K.P. Hong, W.D. Song, C.W. Rho, J.S. Cho, and Y.H.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bitter pit and the application level of crushed oyster shell in apple orchard. Korean J. Soil Sci. Fert. 43:637-643. 

  6. James, N. 1958. Soil extract in soil microbiology. Can. J. Microbiol. 4:363-370. 

  7. Jung, K.H., S.O. Hur, S.G. Ha, C.W. Park, and H.H. Lee. 2007. Runoff pattern in upland soils with various soil texture and slope at torrential rainfall events. Korean J. Soil Sci. Fert. 40:208-213. 

  8. Jung, Y.T., E.S. Yun, J.K. Kim, I.S. Son, J.D. So, and Y.K. Jo. 1993. Establishment of soil suit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sweet persimmon in Yeongnam area. RDA J. Agric Sci. Soil Fert. 35:245-251. 

  9. Kato, K. and K. Itho. 1983. New selective media for Pseudomonas strains producing fluorescent pigment. Soil Sci. Plant Nutr. 29(4):525-532. 

  10. Martin, J.P. 1950. Use of acid, rose Bengal and streptomycin in the plate method for estimating soil fungi. Soil Sci. 69:215-232. 

  11. Lee, H.H., S.K. Ha, S.O. Hur, K.H. Jung, W.T. Kim, and K.H. Kim. 2006.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percolation on sloping land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Korean J. Soil Sci. Fert. 39:268-273. 

  12. Lee, S.H., W.S. Kim, K.Y. Kim, T.H. Kim, H. Whangbo, W.J. Jung, and S.J. Chung. 2003. Effect of chitin compost incorporated with chitinolytic bacteria and rice bran on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y in pear orchard soil. J. Kor. Soc. Hort. Sci. 44:201-206. 

  13. Lee, Y.H., S.T. Choi, S.T. Lee, K.P. Hong, W.D. Song, J.H. Lee, and J.S. Cho. 2010a. Seasonal change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from sweet persimmon orchard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3:572-577. 

  14. Lee, Y.H., S.T. Lee, J.Y. Heo, M.G. Kim, K.P. Hong, W.D. Song, C.W. Rho, J.H. Lee, W.T. Jeon, B.G. Ko, K.A. Roh, and S.K. Ha. 2010b. Monitoring of chemical properties from paddy soil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3:140-146. 

  15. Lee, Y.S., J.H. Kang, K.J. Choi, S.T. Lee, E.S. Kim, W.D. Song, and Y.H. Lee. 2011.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cultivation systems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4:118-126. 

  16. Manna, M.C. and M.V. Singh. 2001. Long-term effects of intercropping and bio-litter recycling on soil biological activity and fertility status of sub-tropical soils. Biores. Technol. 76:143-150. 

  17.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NIAST, Suwon, Korea. 

  18. NIAST. 2006. Fertilizer recommendation for crops. NIAST, RDA, Suwon, Korea. 

  19. NIAST. 2007. Annual report of the monitoring project on agro-environmental quality in 2006. NIAST, RDA, Suwon, Korea. 

  20. Peters, J.B. 2000. Gambian soil fertility trends, 1991-1998. Commun. Soil Sci. Plant Anal. 31:2201-2210. 

  21.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83. Soil in Korea. RDA, Suwon, Korea. 

  22. SAS Institute. 2006. SAS Version 9.1.3. SAS Inst., Cary, NC. 

  23. Schutter, M.E. and R.P. Dick. 2000. Comparison of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s for characterizing microbial communities. Soil Sci. Soc. Am. J. 64:1659-1668. 

  24. Suh, J.S. and J.S. Shin. 1997. Soil microbial diversity of paddy field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0:200-207. 

  25. Suh, J.S. 1998. Soil microbiology. Korean J. Soil Sci. Fert. 31(S):76-89. 

  26. Sukul, P. 2006. Enzymatic activities and microbial biomass in soil as influenced by metalaxyl residues. Soil Biol. Biochem. 38:320-326. 

  27. Tang, J., B. Zhang, C. Gao, and H. Zepp. 2008. Hydrological pathway and source area of nutrient losses identified by a multi-scale monitoring in an agricultural catchment. Catena 72:374-385. 

  28. Vance, E. D., P. C. Brookes, and D. S. Jenkinson. 1987. An extraction method for measuring soil microbial biomass carbon. Soil Biol. Biochem. 19:703-707. 

  29. Warkentin, B.P., and H.F. Fletcher. 1977. Soil quality for intensive agriculture. p. 594-598.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eminar on soil environment and fertilizer management in intensive agriculture. Soc. Sci. Soil and Manure and Natl. Inst. Of Agric. Sci., Tokyo, Jap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