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숙지황(熟地黃)의 성분연구
Phytochemical Studies on Rehmanniae Radix Preparat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2 no.2 = no.165, 2011년, pp.117 - 126  

이주영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천연물과학연구소) ,  이은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천연물과학연구소) ,  김주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천연물과학연구소) ,  이제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  강삼식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천연물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enty-two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70% ethanolic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Scrophulariaceae)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three triterpenoids [oleanolic acid (1), pomonic acid (2) and ursolic acid (5)], an iridoid, catalpol (13), four furan derivatives [5-hydroxy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숙지황의 성분으로는 당류가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이 분해하여 생성된 분해산물들과, iridoid, phenyl ethanoid 배당체 등2-6)의 화합물들이 보고되어 있다. 국내 재배생약의 일종인 지황의 성분 구명7)에 이어 이를 포제가공한 숙지황의 성분분리 및 구조확인에 관한 연구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숙지황은 어떻게 제조되는가? 현삼과 식물인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의 뿌리를 포제가공한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지황(地黃, Rehmanniae Radix)과 함께 대한약전 제9개정판에 수재된 한약재이다. 정제한 지황을 취하여 보통 술, 사인, 진피를 보료로 하여 속과 겉이 검게되고 윤기가 흐르며 질이 부드럽고 연하며 점조하게 될 때까지 찌고 햇볕에 말리는 것을 반복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구증구폭 (九蒸九曝)한 것이 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방에서는 작약, 천궁, 당귀 등과 함께 4대 기본한약재 중의 하나로 보혈강장제, 지혈제 및 해열제로 사용하여 빈혈, 하제, 토혈, 폐결핵, 허약증, 혈증 및 수병에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한약재 중의 하나이다.
한방에서는 숙지황을 어디에 사용하는 약제로 쓰는가? 정제한 지황을 취하여 보통 술, 사인, 진피를 보료로 하여 속과 겉이 검게되고 윤기가 흐르며 질이 부드럽고 연하며 점조하게 될 때까지 찌고 햇볕에 말리는 것을 반복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구증구폭 (九蒸九曝)한 것이 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방에서는 작약, 천궁, 당귀 등과 함께 4대 기본한약재 중의 하나로 보혈강장제, 지혈제 및 해열제로 사용하여 빈혈, 하제, 토혈, 폐결핵, 허약증, 혈증 및 수병에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한약재 중의 하나이다.1) 숙지황의 성분으로는 당류가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이 분해하여 생성된 분해산물들과, iridoid, phenyl ethanoid 배당체 등2-6)의 화합물들이 보고되어 있다.
숙지황은 무엇인가? 현삼과 식물인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의 뿌리를 포제가공한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지황(地黃, Rehmanniae Radix)과 함께 대한약전 제9개정판에 수재된 한약재이다. 정제한 지황을 취하여 보통 술, 사인, 진피를 보료로 하여 속과 겉이 검게되고 윤기가 흐르며 질이 부드럽고 연하며 점조하게 될 때까지 찌고 햇볕에 말리는 것을 반복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구증구폭 (九蒸九曝)한 것이 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약전분과회 (1998) 대한약전, 7개정, 문성사, 서울. 

  2. Morota, T., Nishimura, H., Sasaki, H., Chin, M., Sugama, K., Katsuhara, T. and Mitsuhashi, H. (1989) Five cyclopentanoid monoterpenes from Rehmannia glutinosa. Phytochemistry 28: 2385-2391. 

  3. Sasaki, H., Nishimura, H., Morota, T., Chin, M., Mitsuhashi, H., Komatsu, Y., Maruyama, H., Tu, G.-R., He, W. and Xiong, Y.-L. (1989) Immunosuppressive principles of Rehmannia glutinosa var. hueichingensis. Planta Medica 55: 458-462. 

  4. Sasaki, H., Morota, T., Nishimura, H., Ogino, T., Katsuhara, T., Sugama, K., Chin, M. and Mitsuhashi, H. (1991) Norcarotenoids of Rehmannia glutinosa var. hueichingensis. Phytochemistry 30: 1997-2001. 

  5. Kitagawa, I., Fukuda, Y., Taniyama, T. and Yoshikawa, M. (1995)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X. On the constituents of Rehmanniae Radix (4): Comparison of the constituents of various Rehmanniae Radixes originating in China, Korea, and Japan. Yakugaku Zasshi 115: 992-1003. 

  6. Zhang, R.-X., Li, M.-X. and Jia, Z.-P. (2008) Rehmannia glutinosa: Review of botany, chemistry and pharmacology. J. Ethnopharmacol. 117: 199-214. 

  7. Lee, S. Y., Yean, M. H., Kim, J. S., Lee, J.-H. and Kang, S. S. (2011) Phytochemical Studies on Rehmanniae Radix. Kor. J. Pharmacogn. 42: 127-137. 

  8. Urashima, T., Suyama, K. and Adachi, S. (1988) The condensation of 5-(hydroxymethyl)-2-furfuraldehyde with some aldoses on heating. Food Chemistry 29: 7-17. 

  9. Jellum, E., Borrensen, H. C. and Eldjarn, L. (1973) The presence of furan derivatives in patients receiving fructose-containing solutions intravenously. Clin. Chim. Acta 47: 191- 201. 

  10. Jadulco, R., Proksch, P., Wray, V., Sudarsono, Berg, A. and Grfe, U. (2001) New macrolides and furan carboxylic acid derivative from the sponge-derived fungus Cladosporium herbarum. J. Nat. Prod. 64: 527-530. 

  11. Martin, D. and Lichtenthaler, F. W. (2006) Versatile building blocks from disaccharides: glycosylated 5-hydroxymethylfurfurals. Tetrahedron: Asymmetry 17: 756-762. 

  12. Aplin, R. T., Durham, L. J., Kanazawa, Y. and Safe, S. (1967) 2-O- $\alpha$ -D-galactopyranosylglycerol from Laurencia pinnatifida. J. Chem. Soc. (C) 1346-1347. 

  13. Khan, K. M., Perveen, S., Ayattollahi, S. A. M., Saba, N., Rashid, A., Firdous, S., Haider, S. M., Ullah, Z., Rahat, S. and Khan, Z. (2002)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three glycosides and a long chain alcohol from Polianthes tuberosa Linn. Nat. Prod. Lett. 16: 283-290. 

  14. Lin, A.-S., Qian, K., Usami, Y., Lin, L., Itokawa, H., Hsu, C., Morris-Natschke, S. L. and Lee, K.-H. (2008) 5-Hydroxymethyl- 2-furfural, a clinical trials agent for sickle cell anemia, and its mono/di-glucosides from classically processed steamed Rehmanniae Radix. J. Nat. Med. 62: 164-167. 

  15. Khalil, M. I., Sulaiman, S. A. and Gan, S. H. (2010) High 5- hydroxymethylfurfural concentrations are found in Malaysian honey samples stored for more than one year. Food Chem. Toxicol. 48: 2388-2392. 

  16. Durling, L. J. K., Busk, L. and Hellman, B. E. (2009) Evaluation of the DNA damaging effect of the heat-induced food toxicant 5-hydroxymethylfurfural (HMF) in various cell lines with different activities of sulfotransferases. Food Chem. Toxicol. 47: 880-884. 

  17. Gaspar, E. M. S. M. and Lucena, A. F. F. (2009) Improved HPLC methodology for food control - furfurals and patulin as markers of quality. Food Chemistry 114: 1576-1582. 

  18. Brieskorn, C. H. and Wunderer, H. (1967) Pomol- und Pomonsaure. Chem. Ber. 100: 1252-1265. 

  19. Brieskorn, C. H. and Suss, H. P. (1974) Die Triterpenoide der Birnen- und Apfelschale. Arch. Pharm. 307: 949-960. 

  20. Cheng, D.-L. and Cao, X.-P. (1992) Pomolic acid derivatives from the root of Sanguisorba officinalis. Phytochemistry 31: 1317-1320. 

  21. Lee, S.-H., Shim, S. H., Kim, J. S., Shin, K. H. and Kang, S. S. (2005) Aldose reductase inhibitors from the fruiting bodies of Ganoderma applanatum. Biol. Pharm. Bull. 28: 1103- 1105. 

  22. Nishimura, H., Sasaki, H., Morota, T., Chin, M. and Mitsuhashi, H. (1990) Six glycosides from Rehmannia glutinosa var. purpurea. Phytochemistry 29: 3303-3306. 

  23. Calis, I., Saracoglu, I., Basaran, A. A. and Sticher, O. (1992) Two phenethyl alcohol glycosides from Scutellaria orientalis subsp. pinnatifida. Phytochemistry 32: 1621-1623. 

  24. Kanchannapoon, T., Kasai, R., Chumsri, P., Hiraga, Y. and Yamasaki, K. (2001) Megastigmane and iridoid glucosides from Clerodendrum inerme. Phytochemistry 58: 333-336. 

  25. Otsuka, H., Takeda, Y. and Yamasaki, K. (1990) Xyloglucosides of benzyl and phenethyl alcohols and Z-hex-3-en-1- ol from leaves of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Phytochemistry 29: 3681-3683. 

  26. Kubo, M., Asano, T., Matsuda, H., Yutani, S. and Honda, S. (1996) Studies on Rehmanniae Radix. III. The relation between changes of constituents and improvable effects on hemorheology with the processing of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Yakugaku Zasshi 116: 158-168. 

  27. Oshio, H., Naruse, Y. and Inouye, H. (1981) Quantitative analysis of iridoid glycosides of Rehmanniae Radix. Shoyakugaku Zasshi 35: 291-294. 

  28. Seto, T., Yasuda, I., Hamano, T., Takano, I., Takahashi, N., Watanabe, Y. and Akiyama, K. (1991) Processing influence on the constituents of crude drugs (I). Analysis on the phenethyl alcohol glycosides in various processed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Ann. Rep. Tokyo Metr. Res. Lab. P. H. 42: 21-26. 

  29. Chang, W.-T., Choi, Y. H., Van der Heijden, R., Lee, M.-S., Lin, M.-K., Kong, H.-W., Kim, H. K., Verpoorte, R., Hankemeier, T., Van der Greef, J. and Wang, M. (2011) Traditional processing strongly effects metabolite composition by hydrolysis in Rehmannia glutinosa roots. Chem. Pharm. Bull. 59: 546-5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