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 대황의 Sennoside A 및 Anthraquinone 함량분석을 통한 품질관리 기준에 관한 연구
Quantitative Analysis of Sennoside A and Anthraquinones for the Guideline for the Quality Control of Rhubarb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2 no.2 = no.165, 2011년, pp.144 - 148  

최희경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김경희 (한국의약품시험연구소) ,  서용택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육창수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장영표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hubarb (Rhei Rhizoma) has been used for the various clinical purposes such as purgative, stomach protective and pain relief for a long time. However, rhubarb in current market has a problem of quality control under which many of rhubarb fail to meet the standard specified in Korean Pharmacopoeia.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한약전 및 중화인민공화국약전에 수재되어 있는 금문계 대황을 포함하여 토대황계 대황 및 대황에 혼입되어 유통되고 있는 소리쟁이 등 20종의 대황 유통품에 대하여 HPLC로 sennoside A와 anthraquinone 5종 (aloe-emodin, rhein, emodin, chrysophanol, physcion)의 함량시험을 실시하여 대황의 합리적인 품질 평가를 위한 새로운 품질 관리 기준 설정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황의 지표성분은? 대황의 지표성분인 sennoside A2)는 Miyamoto 등5)이 분리하고 사하활성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고한 이후, Oshio 등이 신주대황에서 sennoside D 그리고 장엽대황에서 sennoside E를 분리 보고하였다.6-7) 또한 Yamagishi 등이 monoanthrone 배당체인 rheinoside A, B, C, D 를 보고하였다.
대한약전 9개정에서 규정하는 대황이란? 대황(Rhei Rhizoma) 은 신농본초경1)에 기재된 이래 지금까지 임상에서 사하작용, 구어혈작용, 진통작용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약전 9개정에 따르면 대황은 금문대황 Rheum palmatum L., 장군풀 Rheum coreanum Nakai, 당고특대황 Rheum tanguticum Maximowicz (Polygonaceae) 및 이들의 종간잡종의 뿌리줄기로 규정하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약전 2005년판은 R. palmatum L.
Palmata절의 대황을 약전에 대황으로 규정하고 rhein을 확인시험법의 대상으로 채택하고 있는 중국 약전의 내용에 큰 오류가 없음을 보여준 시험 결과는? 중국 약전에서 확인시험법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anthraquinone 성분인 rhein의 경우, Rhapontica절의 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은 반면 Palmata절의 대황에서는 sennoside A에 비해 비교적 좁은 범위의 변동폭을 가지며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II). 이러한 결과는 Palmata절의 대황을 약전에 대황으로 규정하고 rhein을 그 확인시험법의 대상으로 채택하고 있는 중국 약전의 내용에 큰 오류가 없음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편집부 (2003) 神農本草經, 의성당, 서울. 

  2. KFDA. (2008) Korean Pharmacopoeia. Ed. 9, Shinil Books company, Seoul. 

  3. 日本厚生勞動省. (2005) 日本藥國方, 15: p. 1786. 

  4.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藥品監督管理府. (2005) 中華人民共和國藥典. 

  5. Miyamoto, M., Imai, S., Shinohara, M., Fujioka, S. and Goto, M. (1967) Studies on the purgative substances. I. Isolation of sennoiside A, one of the most active principles from Rhu-barb. Yakugaku zasshi. J. Pharm. Soc. Japan 87(9): 1040- 1043.? 

  6. Oshio, H., Imai, S., Fujioka, S., Sugawara, T., Miyamoto, M. and Tsukui, M. (1972) Rhubarbs. II. Isolation of sennoside E, a new purgative compound. Chem. Pharm. Bull. 20(3): 621- 622. 

  7. Oshio, H. (1978) Investigation of rhubarbs. IV. Isolation of sennoside D, citreorosein and laccaic acid D. Shoyakugaku Zasshi 32(1): 19-23. 

  8. Yamagishi, T., Nishizawa, M., Ikura, M., Hikichi, K., Nonaka, G. and Nishioka, I. (1987) Studies on rhubarb (Rhei rhizoma). Part XI. New laxative constituents of rhubarb,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heinosides, A, B, C and D. Chem. Pharm. Bull. 35(8): 3132-3138. 

  9. Tsukida, K. and Yoneshige, M. (1954)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Polygonaceous plants. IV. Constituents of Japanese rhubarb (Rheum palmatum). Yakugaku zasshi. J. Pharm. Soc. Japan 74: 382-382. 

  10. Holzschuh, L., Kopp, B. and Kubelka, W. (1982) Physcion-8- O-b-D-gentiobioside, a new anthraquinone glycoside from rhubarb roots. Planta Med. 46(3): 159-161. 

  11. Khetwal, K. S. and pathak, R. P. (1988) Active anthraquinoids from Rheum webbianum. J. Ind. Chem. Soc. 65(3): 227. 

  12. Rawat, M. (1989) Anthraquinone glycosides from rheum moorocofitianum. Pharmazia 44: 509-510. 

  13. Ko, S. K., Whang, W. K. and Kim, I. H. (1995) Anthraquinone and stilbene derivatives from cultivated Korean rhubarb rhizomes. Arch. Pharm. Res. 18(4): 282-288. 

  14. Ko, S. K. (2000) A new stilbene diglycoside from Rheum undulatum. Arch. Pharm. Res. 23(2): 159-162. 

  15. Uchibayashi, M. and Matsuoka, T. (1961) Aloe-emodin(Notes). Chem. Pharm. Bull. 9: 234-236. 

  16. Okabe, H., Matsuo, K. and Noshioka, I. (1973) Studies on rhubarb (Rhei Rhizoma) II, anthraquinone glycosides. Chem. Pharm. Bull. 21(6): 1254-1260. 

  17. Yaki, A., Koizumi, Y. and Nishioka, I. (1971) Studies on rhubarb (Rhei Rhizoma) I, stilbene derivatives from "dodaioo" (Chinese inferior rhubarb). Shoyakugaku Zasshi 25(1): 52-54. 

  18. Kashiwada, Y., Nonaka, G. and Nishioka, I. (1984) Tannins and related compound XXIII, rhubarb(4), isolation and structure of new classes of gallotannin. Chem. Pharm. Bull. 32(9): 3461-3470. 

  19. Kashiwada, Y., Nonaka, G., Nishioka, I., Nishizawa, M. and Yamagishi, T. (1984) Studies on rhubarb(Rhei Rhizoma) VI,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ilbene. Chem. Pharm. Bull. 32(9): 3501-3517. 

  20. Kashiwada, Y., Nonaka, G., Nishioka, I., Nishizawa, M. and Yamagishi, T. (1988) Studies on rhubarb (Rhei Rhizoma) XIV,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ilbene glycosides from Chinese rhubarb.Chem. Pharm. Bull. 36(4): 1545-1549. 

  21. Ko, S. K., Whang, W. K. and Kim, I. H. (1998) Stilbene compounds from cultivated Korean rhubarb rhizomes. Yakhak Hoeji 42(1): 1-4. 

  22.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2006) 생약학. 동명사, 225-229. 

  23. Frexinos, J., Staumont, G., Fioramonti, J. and Bueno, L. (1989) Effects of sennosides on colonic myoelectrical activity in man. Digest. Diseas. Sci. 34(2): 214-219. 

  24. Peigen, X., Liyi, H. and Liwei, W. (1984) Ethnopharmacologic study of Chinese rhubarb. J. Ethnopharm. 10(3):275- 293. 

  25. Kobashi, K., Nishimura, T., Kusaka, M., Hattori, M. and Namba, T. (1980) Metabolism of Sennosides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Planta Med. 40(3):225-236. 

  26. Hattori, M., Kim, g., Motoike, S., Kobashi, K. and Namba, T. (1982) Metabolism of sennosides by intestinal flora. Chem. Pharm. Bull. 30(4):1338-1346. 

  27. Dian-Dong, L., Hsueh-Liang, S. and Chiung-Hua, C. (1964) Studies of Chinese rhubarb VIII. Mechanism of antibiotic action of anthraquinone derivatives (2) Effect on the metabolism of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in S. aureus. Acta Biochim.Biophys. Sinica 4: 151-160.. 

  28. Su, H.-Y., Cherng, S.-H., Chen, C.-C. and Lee, H. (1995) Emodin inhibits the mutagenicity and DNA adducts induced by 1-nitropyrene. Mut. Res. 329(2): 205-212. 

  29. Iizuka, A., Iijima, O. T., Kondo, K., Itakura, H., Yoshie, F., Miyamoto, H., Kubo, M., Higuchi, M., Takeda, H. and Matsumiya, T. (2004) Evaluation of Rhubarb using antioxidative activity as an index of pharmacological usefulness. J. Ethnopharmacol. 91(1): 89-94. 

  30. Chen, D., Qiao, L. and Jing, B. (2000) Effect of rhubarb on oxygen radicals leakage from mitochondria of intestinal mucosa in burned rats. Chinese J. Integ. Trad. West. Med. 20(11): 849-852. 

  31. Yokozawa, T., Chen, C.P. and Tanaka, T. (2000) Direct scavenging of nitric oxide by traditional crude drugs. Phytomedicine 6(6): 453-463. 

  32. 김인락. (2005) 수입 한약재의 유통실태 및 개선 방안. KFDA. 53-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