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배연기응축물로 유도된 돌연변이와 구절초 추출물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Extracts against Mutagenicity of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9 no.3, 2011년, pp.170 - 176  

이진희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특용식물학과) ,  임흥빈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특용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Chrysanther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C. zawadskii) extracts ha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mutagenicity by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 C. zawadskii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 yield was 18.5%. We further fracti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절초 조추출물 분획물중 diethyl ether 분획이 담배연기응축물에 대하여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 diethyl ether 분획을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정도를 조사하였다. Table 7은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균주에 대하여 간접 돌연변이원인 담배연기응축물을 plate 당 200 ㎍ 처리하고, S-9 mix와 함께 diethyl ether 분획물 농도를 31.
  • 구절초 조추출물 용매분획물 그 자체도 돌연변이 유발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균주가 접종된 시험배지에 구절초 조추출물 용매분획물을 125 ㎍에서 2000 ㎍까지 처리했을 때 복귀 돌연변이 집락수의 변화는 Table 3과 4에 나타나 있다.
  • 또한 Maron과 Ames방법 (1983)에 준하여 구절초 조추출물과 각각의 용매 분획물이 담배연기응축물에 대한 돌연변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즉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균주를 멸균된 시험관에 넣고 14~16시간 배양한 균주 100 µL (1~2 × 109 cells/mL), 담배연기응축물 200 ㎍, S-9 mixture 500 µL, 구절초 조추출물 및 용매분획물 50 µL를 cap tube에 넣고 가볍게 3~5초 vortex한 다음, 37℃ shaking incubator에서 30분간 예비 배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절초는 한방이나 민간에서 어떤 질환에 사용되고 있는가? 구절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초를 구절초라 하여 한방이나 민간에서 폐렴, 기관지염, 기침, 감기, 인두염, 방광질환, 부인병, 냉증, 위장병 및 고혈압 등에 사용되고 있다. 구절초 성분에 관한 연구로는 flavonoid계 화합물인 linarin (Lee, 1967), caroenoid계 화합물인 16개의 xanthophylls (Kishimoto et al.
천연물은 생합성 산물인 1차, 2차 대사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1,2차 대사물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천연물은 생합성 산물인 1차, 2차 대사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대사물은 식물자원에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것이며, 2차 대사물은 어느 특정식물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함량을 적지만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다. 변이원성이라는 시각으로 볼때 2차 대사물에는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성분도 다수 존재하지만 (Brusick, 2008) 이와는 반대로 돌연변이를 억제하는 성분도 다수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Mosovska et al.
구절초 성분에 관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구절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초를 구절초라 하여 한방이나 민간에서 폐렴, 기관지염, 기침, 감기, 인두염, 방광질환, 부인병, 냉증, 위장병 및 고혈압 등에 사용되고 있다. 구절초 성분에 관한 연구로는 flavonoid계 화합물인 linarin (Lee, 1967), caroenoid계 화합물인 16개의 xanthophylls (Kishimoto et al., 2004), monoterpene계 화합물인 camphor과 borneol (Ye and Deng, 2009), sesquiterpene lactone계 화합물인 angeloylcumambrin B, cumambrin A(Yang et al., 1996), sterol화합물인 campesterol (Choi et al., 2007) 그리고 정유성분 (Shin and Choi, 1982; Marongiu et al., 2009)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구절초의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구절초 꽃에서 분리한 angeloycumambrin B, tigloylcumambrin B 등이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subtilis ATCC 9372, Bacillus cereus ATCC 27348과 그람 음성균인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66/77, Pseudomonas aeroginosa ATCC 10490에 항균활성이 있으며 (J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usick D. (2008). Critical assessment of the genetic toxicity of naphthalene.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51:S37-S42. 

  2. Chang JS, Bae JT, Oh EJ, Kim JY, Park SH and Lee KR. (2009). Cancer preventive potential of methanol extracts of Hypsizigus marmoreus. Journal of Medicinal Food. 12:493-500. 

  3. Choi JM, Lee EO, Lee HJ, Kim KH, Ahn KS, Shim BS, Kim NI, Song MC, Baek NI and Kim SH. (2007). Identification of camphesterol form Chrysanthemum coronarium L. and its antiangiogenic activities. Phytotherapy Research. 21:954-959. 

  4. Ha JH, Jeong MH, Seo YC, Choi WY, Jeong HS, Jung JH, Yu KW and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cancer of low quality ginseng by Phelinus linteus ferment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135-142. 

  5. Ha JH, Kim Y, Jeong SS, Jeong MH, Jeong HS, Jeong JH, Yu KW and Lee HY. (2009).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of low quality fresh ginseng for enhancing anticancer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397-406. 

  6. Ham SS, Park GG, Park YH and Park WB.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extracts of comfre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21:539-543. 

  7. Horn RC and Vargas VM. (2008).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teas used in popular medicine in the Salmonella/microsome assay. Toxicology In Vitro. 22:1043-1049. 

  8. Jang DS, Park KH, Choi SU, Nam SH and Yang MS. (1997). Antibacterial substances of the flower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0:85-88. 

  9. Jeong ET, Park MY, Lee JG and Chang DS. (1998).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mutagenesis of cinnamon (Cinnamomum cassia Blume) bark extract.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3:337-343. 

  10. Jeong HS, Kim SS, Oh SH, Jeong MH, Choi WY, Seo YC, Na CS, Kwag HG and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Ephedra sinica Stapf extracts by nanoencapsul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143-150. 

  11. Kim MJ, Kim JS, Jeong DM, Ham SS and Yu CY. (2002a). Effect of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of root extract from Ixeris dentate Nakai.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0:222-229. 

  12. Kim MJ, Kim JS, Kang WH and Yeon KD. (2002b).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xtracts of Kalopanax pictus Nakai.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0:132-138. 

  13. Kishimoto S, Maoka T, Nakayama M and Ohmiya A. (2004). Carotenoid composition in petals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t. (Ramat.) Kimura). Phytochemistry. 65: 2781-2787 

  14. Kwon HS, Ha TJ, Hwang SW, Jin YM, Nam SH, Park KH and Yang MS. (2006). Cytotoxic flavonoids from the whole plan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latilobum Kitamura. Journal of Life Sciences. 16:746-749. 

  15. Lee SH and Lee JS. (2007).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dandruffy compoun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5:220- 225. 

  16. Lee YC. (1967).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Fischer. Kor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ociety. 11:7-16. 

  17. Maron DM and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ion Research. 113:173-215. 

  18. Marongiu B, Piras A, Porcedda S, Tuveri E, Laconi S, Deidda D and Maxia A. (2009). Chemical and biological comparisons on supercritical extracts of Tanacetum cinerariifolium Sch. Bip. with three related species of Chrysanthermums of Sardinia (Italy). Natural Product Research. 23:190-199. 

  19. Mosovska S, Mikulasova M, Brindzova L, Valik L and Mikusova L. (2010). Genetic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seudocereals in the Salmonella mutagenicity assay.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8:1483-1487. 

  20. Shin HJ, Sohn HO, Park CH, Lee HS, Min YJ, and Hyoun HC. (2007). Evaluation of the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of selected 35 chemic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29:30-40. 

  21. Shin SH and Choi YM. (1982). Analysis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sibiricum and the comparison with essential oils from some Chrysanthemum spp.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13:153-156. 

  22. Steele VE and Kelloff GJ. (2005). Development of cancer chemopreventive drugs based on mechanistic approaches. Mutation Research. 591:16-23. 

  23. Wongwattanasathien O, Kangsadalampai K and Tongyonk L. (2010). Antimutagenicity of some flowers grown in Thailand.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8:1045-1051. 

  24. Woo JH, Shin SL, Jeong HS and Lee CH. (2010).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Chrysanthemum Spec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631-636. 

  25. Yang MS, Park KH, Jang DS, Choi SU, Nam SH and Shiro M. (1996). Cumambrin A in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preparation , X-ray crystal structure and 13C-and 1H-NMR study of cumambrin 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7:207- 211 

  26. Ye Q and Deng C. (2009). Determination of camphor and borneol in flos Chrysanthemi Indici by UAE and GC-FID. The Journal of Chromatographic Science. 47:287-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