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 수준의 향상에 따른 신장 성적이형성의 변화: 탈북자 자료를 이용한 남북한 비교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tritional Quality of Life and Stature Sexual Dimorphism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2, 2011년, pp.162 - 170  

박순영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탈북 성인 남녀의 평균 신장을 남한의 것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영양 환경의 질이 향상되면 남녀 간 신장의 성적이형성 (SSD, Stature Sexual Dimorphism)이 커질 것이라는 영양환경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 선정은 두 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우선, 1997년부터 2007년 4월까지 남한에 입국하여 신체를 계측한 탈북자 중에서 탈북 당시 연령이 최소 만 20세 이상이어서 성인신장을 북한에서 도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사람들을 일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 일차 표본 중에서 1955년에서 1959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과 1980년에서 1984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을 최종 선정하여 탈북자들 사이의 세대 간 변화를 비교하였다. 남북한 비교를 위해서는 남한의 Size Korea 2004 자료를 이용하였다. Size Korea 2004 자료에서 만20세 이상 성인으로서 탈북자 표본과 같은 시기 즉, 1955년에서 1959년 사이 그리고 1980년에서 1984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의 SSD를 계산하여 탈북자 자료와 비교하였다. SSD의 크기 변화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Greene (1989)의 검증법을 이용하였다. 조사 결과, 탈북자들 사이에서는 한국전쟁 종전 직후 출생한 세대와 1980년대에 출생한 세대 사이에 평균 신장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고 신장 성적이형성의 크기에도 변화가 없었다. 반면에 남한에서는 두 세대 사이에 평균 신장의 확연한 증가가 있었는데 남녀 중에서도 남성 집단의 평균신장 증가가 더욱 두드러진 결과로 SSD도 증가하였다. 즉 1980년대 출생자들이 한국전쟁 종전 직후인 1955~59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보다 확연히 큰 SSD를 보여주었다. 이는 영양 환경의 질이 향상되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성적 이형성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날 것이라는 영양환경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an improved nutritional environment increases the size of stature sexual dimorphism (SSD) by comparing mean height changes in North and South Korean adults. For the first round of sampling, those North Korean refugees who had reached the age of 20 years before leaving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5-32) 이러한 여아성장 우위 현상은 북한 사회가 남한에 비해 특별히 여아를 더 선호하는 아동 양육을 해서 발생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할 만한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33,34) 이러한 선행 조사결과들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성장을 완료한 남북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환경이 한 집단 내 신장 크기의 성적이형성 (Statue Sexual Dimorphism, SSD)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두 종류의 원인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진화적 원인이 아닌 근접원인에 대해서만 주목하고자 한다 (진화적 원인에 대한 논의는 Frayer & Wolpoff의 Review12) 참조).
  • 탈북자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해서는 상기 논문들25,29)에서 자세히 논의한 바가 있지만 다시 요약하자면 평균적으로 중하위권 출신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이 집단의 평균 신장이 북한 성인의 평균 신장과 어느 정도 근접할지에 대해서도 상기 논문들에서 자세히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두 평균은 그다지 멀리 떨어져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다.
  • 본 논문에서는 남북한 성인신장 자료를 가지고 영양 환경의 질이 신장의 성적이형성 (SSD)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남한과 탈북자 성인 남녀의 신장에 있어서의 성적이형성의 변화 추이를 검토한 결과 탈북자들에게서는 1950년대 후반 출생자와 1980년대 전반 출생자 사이에 SSD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남한 남녀는 1980년대 전반 출생자의 SSD가 1950년대 후반 출생자에 비해 확실한 증가세를 보였다.
  • 본 논문에서는 탈북 성인 남녀의 평균 신장을 남한의 것과 비교·검토함으로써 영양 환경의 질이 향상되면 남녀 간 신장의 성적이형성 (SSD, Stature Sexual Dimorphism)이 커질 것이라는 영양환경 가설을 검증하였다.
  • 본 논문의 연구 주제는 탈북 성인의 신장 자료를 남한의 것과 비교·검토함으로써 식생활수준의 변화가 남녀 간 신장의 성적이형성 (性的異形性)i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남한에 입국한 성인 탈북자의 신장측정치를 분석하여 세대 간에 비교하고 또 남한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신장의 성적이형성의 크기가 세대 간과 남북한 간에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여 신장의 성적이형성의 크기에 대한 영양환경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집은 두 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세대 간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북한의 1955~59년 출생 남녀와 1980~84년 출생남녀 간의 신장의 성적이형성을 비교하였고, 또한 남한의 1955~59년 출생 남녀와 1980~84년 출생남녀 간의 신장의 성적이형성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동시대의 남북한을 비교하기 위해 1955~59년에 출생한 남한 남녀와 북한 남녀의 신장의 성적이형성을 비교하고 더불어 1980~84년에 출생한 남한 남녀와 북한 남녀의 신장의 성적이형성을 비교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장점은 우선 비교 대상이 된 두 집단이 유전적으로 동질성이 큰 집단일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뿌리가 같기 때문에 영양 환경의 변화가 SSD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엄밀하게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수의 기존 연구들이 세계의 여러 민족 집단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아서, 연구 결과 영양 환경의 질과 SSD 크기의 관계가 발견된 경우라도 그 관계가 집단 간 유전적 차이에 의해 초래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는데 본 연구는 명백히 그러한 문제를 피해갈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신장의 성적이형성 (Statue Sexual Dimorphism, 줄여서 SSD라고 표기)은 인류 진화사적으로 축소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8) 즉 화석인류의 SSDii가 현생인류의 SSD보다 크다. 현생인류의 SSD는 약 15,000년 전쯤에 현재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 넷째, 1980~84년에 출생한 남한 사람은 같은 시기에 출생한 탈북자에 비해 신장의 성적이형성이 유의하게 클 것이다.
  • 둘째, 남한에서는 1980~84년 출생자는 1955~59년 출생자에 비해 신장의 성적이형성이 유의하게 클 것이다.
  • 셋째, 1955~59년에 출생한 남한 사람과 탈북자 사이에는 신장의 성적이형성에 있어서 유의한 크기 차이가 없을 것이다.
  • 첫째, 탈북자들 사이에서는 1955~59년 출생자와 1980~84년 출생자간에 신장의 성적이형성에 있어서 유의한 크기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북 성인 남녀의 평균 신장을 남한의 것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영양 환경의 질이 향상되면 남녀 간 신장의 성적이형성 (SSD, Stature Sexual Dimorphism)이 커질 것이라는 영양환경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무엇인가? SSD의 크기 변화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Greene (1989)의 검증법을 이용하였다. 조사 결과, 탈북자들 사이에서는 한국전쟁 종전 직후 출생한 세대와 1980년대에 출생한 세대 사이에 평균 신장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고 신장 성적이형성의 크기에도 변화가 없었다. 반면에 남한에서는 두 세대 사이에 평균 신장의 확연한 증가가 있었는데 남녀 중에서도 남성 집단의 평균신장 증가가 더욱 두드러진 결과로 SSD도 증가하였다. 즉 1980년대 출생자들이 한국전쟁 종전 직후인 1955~59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들보다 확연히 큰 SSD를 보여주었다. 이는 영양 환경의 질이 향상되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성적 이형성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날 것이라는 영양환경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신장은 어떤 성질이 높은 형질로 알려져 있는가? 우선, 전세계적으로 한 종족 집단 내에서 개체 간에 신장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종족 집단 간에도 평균 신장이 다르다는 것은 많은 관찰과 조사 보고에 의해 이미 확인된 것이다.1) 신장은 유전성 (heritability)이 상당히 높은 형질로 알려져 있다. 쌍둥이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신장의 유전성은 약 0.
종간 또는 집단 간 SSD의 크기 변이를 일으키는 원인을 시각적으로 구분하면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종간 또는 집단 간 SSD의 크기 변이를 일으키는 원인을 시간적으로 구분하면 진화적 원인과 근접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두 종류의 원인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진화적 원인이 아닌 근접원인에 대해서만 주목하고자 한다 (진화적 원인에 대한 논의는 Frayer & Wolpoff의 Review12)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Eveleth PB, Tanner, JM. Worldwide Variation in Human Growth. 2nd ed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p. 191-207 

  2. Liu YZ, Xu FH, Shen H, Liu YJ, Zhao LJ, Long JR, Zhang YY, Xiao P, Xiong DH, Dvornik V, Li JL, Conway T, Davies KM, Recker RR, Deng HW. Genetic dissection of human stature in a larrge sample of multiplex pedigrees. Ann Hum Genet 2004; 68: 472-488 

  3. Hauspie RC, Vercauteren M, Susanne C. Secular changes in growth. Horm Res 1996; 45(s2): 8-17 

  4. Kim JY, Oh IH, Lee EY, Choi KS, Chae BK, Yoon TY, Lee CG, Moon JS, Shin SH, Choi JM. Anthropometric chang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1965 to 2005 in Korea. Am J Phys Anthropol 2008; 136: 230-236 

  5.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Reports on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of Korea; 1997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Report on the fifth Size Korea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Gwachon; 2004 

  7. Steckel RH. Height and human welfare: Recent development and new directions. Explor Econ Hist 2008; 46: 1-23 

  8. Ruff C. Variation in human body size and shape. Ann Rev Anthropol 2002; 31: 211-232 

  9. Gaulin S, Boster J.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sexual dimorphism- is there any variance to be explained. Ethol Sociobiol 1985; 6: 219-225 

  10. Gustafsson A, Lindenfors P. Human size evolution: no evolutionary allometric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stature. J Hum Evol 2004; 47: 253-266 

  11. Holden C, Mace R. Sexual dimorphism in statue and women's work: a phylogenetic cross-cultural analysis. Am J Phys Anthropol 1999; 110: 27-45 

  12. Frayer DW, Wolpoff MH. Sexual dimorphism. Ann Rev Anthropol 1985; 14: 429-473 

  13. Stinson S. Sex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during growth and development. Yearb Phys Anthropol 1985; 28: 123-147 

  14. Gustafsson A, Werdelin L, Tullberg BS, Lindenfors P. Stature and sexual stature dimorphism in Sweden, from the 10th to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m J Hum Biol 2007; 19: 861-870 

  15. Heston A, Summers R, Aten B. Penn World Table Version 6.2. Center for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Production, Income and Pri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6. 

  16. FAO. FAO Statistical Yearbook 2005/2006. Rome: FAO; 2006. p.190. 

  17. UNICEF, WHO, The World Bank and UN Population Division. Levels and Trends in Child Mortality in 2006: Estimates Developed by the Inter-agency Group for Child Mortality Estimation. New York; 2007. 

  18. EU, UNICEF, WFP. Nutritional surve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98 

  19.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CB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00. Report of the second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0 

  20.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CB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02. Report on the DPRK nutrition assessment; 2002 

  21.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CBS). Institute of Child Nutrition (IC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04 nutrition assessment report of survey results; 2005 

  22. Pak SY. A Study of North Korean biological standards of living using anthropometric data from North Korean escapees. Korean Cult Anthropol 2002; 35(1): 101-127 

  23. Chang NS, Jo DH, Hwang JY, Kang EY. Assessment of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North Koreans utilizing an exhaustive literature search and survey. Korean J Nutr 1998; 31(8): 1338-1346 

  24. Pak, S. The biological standard of living in the two Koreas. Econ Hum Biol 2004; 2(3): 511-521 

  25. Pak S, Schwekendiek D, Kim HK. Height and living standards in North Korea, 1930s-1980s. Econ Hist Rev 2011; 64(S1): S142-S158 

  26. Katona-Apte J, Mokdad A. Malnutrition of children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North Korea. J Nutr 1998; 128: 1315-1319 

  27. Hoffman DJ, Lee SK. The prevalence of wasting, but not stunting has improved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J Nutr 2005; 135: 452-456 

  28. Pak S. The growth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in China. Korea J 2003; 43(3): 165-190 

  29. Pak S. The growth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6 to 19 years of age. Econ Hum Biol 2010; 8: 385-395 

  30. Schwekendiek D. The North Korean standard of living during the famine. Soc Sci Med 2008a; 66: 596-608 

  31. Schwekendiek D. Determinants of well-being in North Korea: Evidence from the post-famine period. Econ Hum Biol 2008b; 6: 446-454 

  32. Schwekendiek D. Regional variations in living conditions during the North Korean food crisis of the 1990s. Asia Pac J Pub Health 2009; 22(4): 460-476 

  33. Rhee KC, Lee GY, Lee EY, Lee SH, Kim DN, Park YS, Choi YS. North Korean home lif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1. p.45-255 

  34. Chung JK.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sex roles and values. In: Chung BH, Jeon WT, Chung JK editor. Welcome to Korea. Seoul: Hanyang University Press; 2006. p.101-117 

  35. Chandler P, Bock R. Age changes in adult stature: Trend estimation from mixed longitudinal data. Ann Hum Biol 1991; 18(5): 433-440 

  36. Cline MG, Meredith KE, Boyer JT, Burrows B. Decline of height with age in adults in a general population sample: estimating maximum height and distinguishing birth cohort effects from actual loss of stature with aging. Hum Biol 1989; 61(3): 415-425 

  37. Greene DL. Comparison of t-tests for differences in sexual dimorphism between populations. Am J Phys Anthropol 1989; 79: 121-125 

  38. Bennett KA. On the expression of sex dimorphism. Am J Phys Anthropol 1981; 56: 59-61 

  39. Chakraborty R, Majumder PP. On Bennett's measure of sex dimorphism. Am J Phys Anthropol 1982; 59: 295-298 

  40. van Vark GN, van der Sman PGM, Dijkema J. Some multivariate tests for differences in sexual dimorphism between human populations. Ann Hum Biol 1989; 16(4): 301-310 

  41. Relethford JH, Hodges DC. A statistical test for differences in sexual dimorphism between populations. Am J Phys Anthropol 1985; 66: 55-61 

  42. Konisberg LW. An historical note on the t-test for differences in sexual dimorphism in sexual dimorphism between populations. Am J Phys Anthropol 1991; 84: 93-97 

  43. Masterson TJ, Hartwig WC. Degrees of sexual dimorphism in Cebus and other new world monkeys. Am J Phys Anthropol 1998; 107: 243-256 

  44. Bereczkei T, Dunbar RIM. Female-biased reproductive strategies in a Hungarian Gypsy population. Proc Biol Sci 1997; 264: 17-22 

  45. Cronk L.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female-biased parental investment: the Mukogodo example. Am Anthropol 1989; 91: 414-429 

  46. Harpending H, Pennington R. Age structure and sex-biases mortality among Herero pastroralists. Hum Biol 1991; 63: 329-353. 

  47. Madise NJ, Mpoma M. Childhood malnutrition and feeding practices in Malawi. Food Nutr Bull 1997; 18: 190-201 

  48. Quinn VJ, Chilligo-Mpoma MO, Simler K, Miller J. The growth of Malawian preschool children from different socioeconomic groups. Eur J Clin Nutr 1995; 49: 66-72 

  49. Bogin B. Patterns of Human Growth. 2nd ed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301-304 

  50. Kohama M. Anthropometry of Korean. Lectures on Anthropology and Prehistory 1938; 4: 1-34 

  51. Schwekendiek, D, Pak S. Recent growth of children in the two Koreas: a meta-analysis. Econ Hum Biol 2009; 7(1): 109-1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