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주 화강암의 SHRIMP 저어콘 U-Pb 연대, 지구화학 및 Sr-Nd 동위원소 연구
SHRIMP Zircon U-Pb Geochronology, Geochemistry and Sr-Nd Isotopic Study of the Cheongju granitoid rocks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0 no.4 = no.66, 2011년, pp.191 - 206  

정원석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김윤섭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나기창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주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 암석에 대한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 전암 화학 및 전암 Sr-Nd 동위원소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대보화강암체의 지구연대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과 비교하였다. 청주 화강암체 내부의 섬록암에서 $174{\pm}2Ma$ ($t{\sigma}$), 이를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에서 $170{\pm}2Ma$ ($t{\sigma}$), 그리고 이 두 암 석을 모두 관입하는 산성암맥에서는 $170{\pm}5Ma$ ($t{\sigma}$)의 저어콘 연대가 산출하였다. 각 암석에서 측정한 절대연령은 노두에서 측정한 상대연령과 일치하며, 한반도 중부에 분포하는 대보화강암체에 대한 연대측정결과 (170-175 Ma)와도 부합된다. 청주 화강암체의 주원소 및 미량원소 분석 결과는 한반도 중부에 분포하는 대보화강암류 및 화강섬록암의 분석결과와 잘 일치하며, 섭입대와 관련한 I-type 화강암의 특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Sr과 Nd 동위원소 조성은 청주 화강암체가 부화된 하부지각물질의 부분용융 산물이거나 지각 물질의 혼염 가능성을 지시한다. 더불어 저어콘의 상속핵 및 포획결정에서 산출되는 2.1, 1.8, 0.8 및 0.4 Ga의 다양한 저어콘 상속핵 연대는 연구지역 주변의 경기육괴와 옥천변성대의 암석들이 동화작용에 의해 혼염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mplacement ages, whole-rock geochemistry and Sr-Nd isotopic compositions of granitoid rocks from Cheongju area, South Korea, were investigated for delineating their petrogenetic link to the Jurassic Daebo granitoid rocks. Zircon crystals were collected from the diorite, biotite granite and ac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섬록암과 반상화강암에 대한 전암 시료 분석을 통하여 이들 암석의 주원소 및 미량원소 함량과 Sr 및 Nd의 동위원소 성분을 측정하였다. 이로부터 청주 화강암체 생성의 근원 물질을 추정하여 대보화강암체와의 지구과학적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청주 화강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동위원소적 연구는 청주 화강암이 주변 지역의 대보화강암과 별도의 암체인지 동일한 암체인지 상관관계를 정립해주는 중요한 실험 방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청주 화강암체 내부에 분포하는 섬록암, 흑운모 화강암 및 산성암맥에서 저어콘 결정을 채취하고, 이에 대한 UPb 동위원소성분 분석을 통하여 청주 화강암의 관입 및 정치시기를 확립하였다. 또한 섬록암과 반상화강암에 대한 전암 시료 분석을 통하여 이들 암석의 주원소 및 미량원소 함량과 Sr 및 Nd의 동위원소 성분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주 화강암은 무엇인가? 청주 화강암은 청주시와 청원군 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체에 대한 관습적인 명칭으로 옥천변성대와 경기육괴의 사이에 관입하고 있는 대보화강암의 일부이다(Fig. 1b).
화강암류 암석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화강암류 암석은 청주시 중앙부에서 낮은 지형을 이루며 이들 변성암류를 관입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청주 화강암은 넓은 충적층의 분포와 개발로 인하여 노두를 관찰할 수 있는 지역이 매우 제한적이다.
서북부 화강암체인 경기육괴 편마암의 주를 이루는 것은 무엇인가? 1b). 경기육괴 편마암류는 주로 흑운모 편마암과 안구상편마암이 주를 이룬다(권영일과 진명식, 1974). 옥천변성대에 분포하는 암석들은 경기육괴의 변성암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변성 암석인 이질 및 사질 천매암으로 구성되어 있다(이종혁 외, 19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권영일, 진명식, 1974, 1:50,000 청주 지질도폭 및 설명서. 국립 지질 광물 연구소, 8p. 

  2. 김남훈, 송용선, 박계헌, 이호선, 2009, 영남(소백산)육괴 북동부 평해지역 화강편마암류의 SHRIMP U-Pb 저콘 연대. 암석학회지, 18, 31-47. 

  3. 박계헌, 김명정, 양윤석, 조경오, 2010, 한반도 쥐라기 심성 암의 연령분포. 암석학회지, 19, 269-281. 

  4. 박계헌, 이태호, 이기욱, 2011, 옥천변성대 대향산 규암층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령. 지질학회지, 47, 423-431. 

  5. 송용선, 박계헌, 서재현, 조희제, 이기욱, 2011, 평창-원주 지역의 경기육괴 기반암 편마암 복합체에 대한 SHRIMP 저어콘 연대측정. 암석학회지, 20, 99-114. 

  6. 윤현수, 홍세선, 이윤수, 2002, 포천-기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쥐라기 대보화강암류의 암석 및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11, 1-16. 

  7. 이기욱, 최승호, 2009, 청주지역 화성암류의 SHRIMP UPb 연대측정. 추계지질과학연합회학술발표회 초록집, p. 215. 

  8. 이종혁, 이민성, 박봉순, 1980, 1:50,000 미원 지질도폭 및 설명서. 자원개발 연구소, 29p. 

  9. 이호선, 박계헌, 송용선, 김남훈, Yuji, O., 2010, 영남육괴 북동부 홍제사 화강암의 LA-ICP-MS U-Pb 저콘 연대. 암석학회지, 19, 103-108. 

  10. 정창식, 정연중, 길영우, 정기영, 2003, 청주 화강암의 UPb 스핀연대, 한국광물학회 한국암석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53p. 

  11. 정연중, 정창식, 박천영, 신인현, 2008, 정읍엽리상화강암의 지구화학 및 동위원소 특성과 U-Pb 스핀연대. 지구과학회지, 29, 539-550. 

  12. Baier, J., Audtat, A. and Keppler, H., 2008, The origin of the negative niobium tantalum anomaly in subduction zone magma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67, 290-300. 

  13. Cheong, C.S. and Chang, H.W., 1996, Geochemistry of the Daebo granitic batholith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A preliminary report.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9, 483-493. 

  14. Cheong, C.S. and Chang, H.W., 1997, Sr, Nd, and Pb isotope systematics of granitic rocks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Geochemical Journal, 31, 17-36. 

  15. Cho, M., 2001, A continuation of Chinese ultrahigh-pressure belt in Korea: evidence from ion microprobe U-Pb zircon ages. Gondwana Research, 4, 708. 

  16. Cho, M., Cheong, W. and Kim, J. 2010, Geochronologic vs. lithotectonic subdivision of central Ogcheon Metamorphic Belt, Korea: Correlation with the Taean Formation and detrital zircon ag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The autumn joint conferenc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61. 

  17. Clarke, D.B., 1992, Granitoid rocks. Chapman & Hall, London, 283p. 

  18. Claoue-Long, J.C., Compston, W., Roberts, J. and Fanning, C.M., 1995, Two Carboniferous ages: a comparison of SHRIMP zircon dating with conventional zircon ages and $^{40}Ar/^{39}Ar $ analysis. In: Berggren, W.A., Kent, D.B., Auberey, M.P. and Hardenbol, J.(eds.), Geochronology Time Scales and Global Stratigraphic Correlation, SEPM (Society for Sedimentary Geology) Special Publication, 54, 3- 21. 

  19. Cox, K.G., Bell, J.D. and Pankhurst, R.J., 1979, The interpretation of igneous rocks. George Allen & Unwin. London, 450p. 

  20. DePaolo, D.J., 1981, A Neodymium and Strontium isotopic study of the Mesozoic calc-alkaline granitic batholiths of the Sierra Nevada and Peninsular Ranges, Californ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6, 10470-10488. 

  21. Faure, G., 1986, Principles of isotope geology. John Wiley and Sons, USA, 589p. 

  22. Fedo., C.M., Sircombe, K.N. and Rainbird, R.H., 2003, Detrital zircon analysis of the sedimentary Record. In: Hanchar, J.M. and Hoskin, P.W.O. (eds.), Zircon. Reviews in Mineralogy & Geochemistry. 53. 277-304. 

  23. Goldstein, S.J., O'Nions, R.K., Hamilton, P.J., 1984. A $Sm{^{\circ}}{\copyright}$ Nd isotopic study of atmospheric dusts and particulate from major river system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70, 221-236. 

  24. Jwa, 1998, Temporal, spatial and geochemical discriminations of granitoids in South Korea. Resource Geology, 48, 273-284. 

  25. Jwa, 2004, Possible source rocks of Mesozoic granites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crustal evolution in NE Asia.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Earth Science, 95, 181-189. 

  26. Kee, W.S., Kim, S.W., Jeong, Y.J. and Kwon, S., 2010, Characteristics of Jurassic continental arc magmatism in South Korea: tectonic implications. Journal of Geology, 118, 305-323. 

  27.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95, Geological Map of Korea (1:1,000,000 scale): Sungji Atlas Co., Seoul. 

  28. Kim J., Yi, K., Jeong, Y.J. and Cheong, C.C., 2011, Geochronological and geochemical constraints on the petrogenesis of Mesozoic high-K granitoids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20, 608-620. 

  29. Lan, C.Y., Lee, T., Zhou, X.H., and Kwon, S.T., 1995, Nd isotopic study of Precambrian basement of south Korea: evidence for early Archean crust. Geology, 23, 249-252. 

  30. Lee, S.R., Cho, M., Yi, K.-W. and Stern, R., 2000. Early Proterozoic granulites in central Korea: tectonic correlation with Chinese cratons. Journal of Geology, 108, 729- 738. 

  31. Lee, S.R., Cho, M., Hwang, J.H., Lee, B.-J., Kim, Y.-B. and Kim, J.C., 2003a, Crustal evolutio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Nd isotopic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continental growths of East Asia. Precambrian Research, 121, 25-34. 

  32. Lee, S.R., Cho, M., Cheong, C.S., Kim, H.C. and Wingate, M.T.D., 2003b, Age, geochemistry,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Neoproterozoic alkaline granitoids in the nor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122, 297-310. 

  33. Ludwig, K.R., 2003, User's manual for Isoplot 3.00 a Geochronogical Toolkit for Mirosoft Exce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47p. 

  34. McCulloch, M.T. and Chappell, B.T., 1982, ND isotopic characteristics of S- and I-type granit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58, 51-64. 

  35. Miller, J.S., Matzel, J.E.P., Miller, C.F. and Burgess, S.D. and Miller, R.B., 2007, Zircon growth and recycling during the assembly of large, composite arc plut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67, 282-299. 

  36. Pearce, J.A., 1982, Trace element characteristics of lavas from destructive plate boundaries. In Thorpe, R.S., eds. Andesites: Orogenic andesites and related rocks, Wiley, Chichester, 526-547. 

  37. Paces, J.B. and Miller, J.D., 1993. Precise $ U{^{\circ}}{\copyright}$ .Pb ages of Duluth Complex and related mafic intrusions, northeastern Minnesota: geochronological insights to physical, petrogenetic, paleomagnetic, and tectonomagmatic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1.1 Ga midcontinent rift syste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8, 13997-14013. 

  38. Rollinson, H.R., 1993, Using geochemical data: evaluation, presentation, interpretation. Pearson, Prentice Hall, 352p. 

  39. Sun, A.A.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 In Saunders, A.D., and Norry, M.J., eds. Magmatism in the ocean basins.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Special Publication. 42, 313- 345. 

  40. Wasserburg, G.J., Jacobson, S.B., DePaolo, D.J., McCulloch, M.T. and Wen, T., 1981, Precise determination of Sm/Nd ratios, Sm and Nd isotopic abundances in standard solutions. Geochimica et Cosmochimca Acta, 45, 2311-2323. 

  41. White, A.J.R., and Chappell, B.W., 1983, Granitoid types and their distribution in the Lachlan fold belt, southeast Australi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Memoir, 159, 21-34. 

  42. Williams, I.S., 1998. U-Th-Pb geochronology by ion microprobe. In: Mickibben, M.A., Shanks III, W.C., Ridley, W.I. (Eds.), Applications of Micro Analytical Techniques to Understanding Mineralizing Processes. Reviews of Economic Geology 7, 1-35. 

  43. Wilson, M., 1989. Igneous Petrogenesis - A Global tectonic approach, Kluwer Academic Publishers, 466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