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토산 제형과 해조추출물의 엽면살포가 가을철 Kentucky Bluegrass와 Creeping Bentgrass의 생육 반응
Growth Response of Kentucky Bluegrass and Creeping Bentgrass by Foliar Spray with Chitosan Formulation and Seaweed Extracts during Fall Season 원문보기

아시안잔디학회지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v.25 no.2, 2011년, pp.195 - 201  

장태현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윤정호 ((주)한울스포츠잔디)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조추출물과 2종의 키토산 제형을 뗏장잔디 생산농장에서 가을철에 creeping bentrgass (Agrostis palustris Huds) Penn-A1 품종과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혼용품종(Midnight 33%, Moonlight 33%, Prosperity 33%)에 살포하였다. 잔디 질에 미치는 잔디 잎색, 엽록소함량 및 NDVI을 조사하였다. 키토산과 해조추출물 처리는 엽록소 함량과 잔디생장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Kentucky bluegrass 종의 혼용품종과 creeping bentrgass 종의 Penn-A1 품종의 잔디에 엽록소 함량과 잔디생장이 키토산 제형 과 해조추출물의 엽면시비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잔디의 잎색은 유의성이 없었다. 이들 결과는 키토산 제형과 해조추출물이 가을철 골프장에 잔디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weed (Ascophyllum nodosum) extracts and chitosan formulations were sprayed on species of creeping bentrgass (Agrostis palustris Huds) cultivar "Penn A1" and species of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mixed cultivars (Midnight 33%, Moonlight 33%, Prosperity 33%) during fall season in s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친환경 병 방제용과 생육용으로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을 이용하여 개발한 2종류의 액상 제형과 해조 추출물을 가을철에 Kentucky bluegrass 종의 혼합품종 과 creeping bentgrass종의 “Penn-A1” 품종에서 엽면시비를 하여 잔디생육에 대한 반응 효과를 검정 함으로서 골프장 그린과 페어웨이 잔디 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환경과 인축에 안전한 천연물질인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의 함량 조성 비율을 서로 다른 키토산 제형인 CT와 CT+CTO와 해조추출물을 엽면살포 하여 가을철 잔디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골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creeping bentgrass 종의 “Penn-A1” 품종 과 Kentucky bluegrass 종의 혼합품종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의 주요 식물호르몬은 무엇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가? 주요성분은 colloids, 식물호르몬(phytohormons), 아미노산, 무기성분 및 당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해조류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가성가리(KOH)로 인해가리성분도(K2O) 19% 전·후를 함유하고 있다. 해조류의 주요 식물호르몬은 오옥신과 사이토카닌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오옥신은 식물의 지상부를 생장을 촉진하는 물질로 식물의 선단부에서 생성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사이토카닌은 지하부의 생장을 촉진하는 물질로 극단부에서 생성되어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처럼, 지금까지 알려진 해조추출물의 효과는 많은 작물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뿐만 아니라, 작물의 내한성과 내건성,스트레스에 내성을 키우거나, 병충해저항성증대, 작물 품질향상 및 수확량증대 등에 효과도 있다(Alina, 2005;Colapietra and Alexander, 2006; Norrie et al.
키토산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키토산(β-1,4-linked D-glucosamine polymer) 또한 작물생육, 병해방제와 병 저항성증진, 토양물리성 개선 및 토양미생물 환경을 개선을 위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 친환경육성법에 따라 많은 회사들에 의해 작물생육용과 병해충방제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등록이 되어 있다(www.rda.
해조추출물의 주요성분은? 해조추출물이 작물에 대한효과는 식물생장증진과 수확량증진 및 발병억제와 병 저항성 증진 등 그 특성에 대하여 넓게 연구되어 있다(Colapietra and Alexander,2006). 주요성분은 colloids, 식물호르몬(phytohormons), 아미노산, 무기성분 및 당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해조류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가성가리(KOH)로 인해가리성분도(K2O) 19% 전·후를 함유하고 있다. 해조류의 주요 식물호르몬은 오옥신과 사이토카닌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ina, P. 2005. The effect of chitosan on the formulation of microorganism communities of the rhizosphere soil of soybean. Acta Sci. Pol., Hortorum Cultus. 4(2):69-77 

  2. Bengamou, N. and G. Theriault. 1992. Treatment with chitosan enhances resistance of tomato plants to the crown and root rot pathogen Fusarium oxysporum radicis-lycopersici. Physiol. Mol. Plant Pathol. 41:33-52. 

  3. Bhaskara, R.M.V., Arul, J., Angers, P. and L. Couture. 1999. Chitosan treatment of wheat seeds induces resistance to Fusarium graminearum and improves seed quality. J. Agric. Food Chem. 47:1208-1216. 

  4. Bohland, C., T. Balkenhohl, G. Loers, I. Feussner, and H.J. Grambow. 1997. Differential induction of lipoxygenase isoforms in wheat upon treatment with rust fungus elicitor, chitin oligosaccharides, chitosan, and methyl jasmonate. Plant Physiol. 114:679-685. 

  5. Beard, J.B. 1973. Turfgrass science and culture. Pre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pp. 132-147. 

  6. Chang, T.H. 2009. Disease control efficacy of chitosan preparations against tomato leaf mold. Res. Plant Dis. 15(3):248-253. 

  7. Chang, T.H., Y.S. Lee, and B.Y. Jung. 2009. Quality evaluation for some cultivars in cool season turfgrass. Kor.Turfgrass Sci. 23(2):295-306. 

  8. Chang, T.H., S.Y. Park, J.Y. Kang, S.W. Chang, and Y.S. Lee. 2010. Application of liquid amino-fertilizer for greenup promotion during spring season. Kor.Turfgrass Sci. 24(1):36-44. 

  9. Christians. N.E. 1998. Fundamentals of turfgrass management. Ann Arbor Press, Inc. 

  10. Colapietra, M. and A. Alexander. 2006. Effect of foliar fertilization on yield and quality of table grapes. Acta Hortic. (ISHS). 721:213-218. 

  11. Eikemo, H., A. Stensvand, and A.M. Tronsom. 2003. Induced resistance as a possible means to control diseases of strawberry caused by Phytophthora spp. Plant Dis. 87:345-350. 

  12. El Ghaouth, A., J. Arul, A. Asselin, and D. Benhamou. 1992. Antifungal activity of chitosan on postharvest pathogens: Induction of morphological and cytological alterations in Rhizopus stolonifer. Mycol. Res. 96:769-779. 

  13. Hadwiger, L.A. and J.M. Beckman. 1980. Chitosan as a conponent of pea Fusarium solani interactions. Plant Physiol. 66:205-211. 

  14. Hadwiger, L.A. 1999. Chitosan as crop growth regulator. Proceedings of the Asia-Pacific Chitin and Chitosan Symposium, pp. 99-109. University of Kebangsaan Malaysia: Bang, Malaysia. 

  15. Hirano, S. and N. Nagao. 1989. Effect of chitosan, pectic acid, lysozyme and chitinase on the growth of several phytopathogens. Agric. Biol. Chem. 53:3065-3066. 

  16. Kendra, F.D. and L.A. Hadwiger. 1984. Characterization of the smallest chitosan oligomer that is maximally antifungal to Fusarium solani and elicits pisatin formation in Pythium sativum. Exp. Mycol. 8:276-281. 

  17. Khan, W.M., B. prithiviraj, and D.L. Smith. 2002.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chitin and chitosan oligosaccharides on photosynthesis of maize and soybean. Photosynthetica 40:621-624. 

  18. Lee, J.Y., S.J. Chung, Y.T. Chi, and H.K. Kim. 2001. Effect of chitosan hydrolysates on the vegetative growth and fruit yield of cucumber.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6:109-120. 

  19. Norrie, J., T. Branson, and P.E. Keathley. 2002. Marine plants extract impact on grape yield and quality. Acta Hort. (ISHS). 594:315-319. 

  20. Park, J.H. and B.W, Kim. 2000. Effect of chitosan and woody charred materials treatment on the growth and yield of garlic and onion. Reserch of Natural Resources 3:1-7. 

  21. Park, Y.B., K.N. Nam, and K.T. Kim. 2001. Effect of chitosan treatments on growth and yield of fall-planted potato 'ejima' e in Jeju island.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0(4):251-257. 

  22. Reddy, V.B., K. Belkacemi, R. Corcuff, F. Castaigne, and J. Arul. 2000. Effect of preharvest chitosan spray on postharvest infection by Botrytis cinerea and quality of strawberry fruit. Postharvest Biol. Biotechnol. 20:39-51. 

  23. Romanazzi, G., F. Nigro, and A. Ippolito. 2000. Effectiveness of pre and postharvest chitosan treatments on storage decay of straw-berries. Riv. Fruttic. Vitic. Ortic. 62:71-75. 

  24. Stossel, P. and J.L. Leuba. 1984. Effect of chitosan, chitin and some aminosugars on growth of various soilborne phytopathogenic fungi. Phytopathol. Z. 111:82-90. 

  25. Suchada, B., B. Chaweewan, and S. Raweewon. 2008. Application of chitosan in rice production. Journal of Metals, Materials and Minerals. 18(2):47-52. 

  26. Terman, G.L. 1979. Volatilzation loss of nitrogen as ammonia from surfaceapplied fertilizers, organic amendments, and crop resideus, Adv. Agron. 31:189-223. 

  27. Vander, P., K.M. Varum, A. Domard, N.E. Elgueddari, and B.M. Moerschbacher. 1998. Comparison of the ability of partially Nacetylated chitosans and chitooligosaccharides to elicit resistance reactions in wheat leaves. Plant Physiol. 118:1353-1359. 

  28. Yoon, O.S., S.B. Kim, K.S. Kim, and J.S. Lee. 2006. Effects of chitosan on growth responses of creeping bentgrass. Kor. Turfgrass Sci. 20(2):167-174. 

  29. Yoon, O.S. and K.S. Kim. 2007. Effects of chitosan on growth responses of Kentucky bluegrass. Kor. Turfgrass Sci. 21(2):163-1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