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이용한 부산광역시 장래 인구 추계
Population Projections for Busan Using a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6 no.2, 2011년, pp.212 - 232  

조대현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이상일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이지역 코호트 요인법에 의한 인구 추계 방법론을 정립하고, 그것을 부산광역시의 장래 인구 추계에 적용하는 것이다. 우선 시도와 같은 지역 인구의 추계에 있어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방법인 순이동 코호트-요인법이 갖는 한계를 예증하였다. 대안으로 지역간 코호트-요인법 중 전체 지역을 두 지역으로 구분한 후 지역 간의 전입과 전출을 분리하여 추계하는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의 2005~2030년에 대한 인구 추계를 3가지 시나리오 하에서 실행하였다. 순이동 방식을 취한 인구 추계와 이지역 방식을 취한 인구 추계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출 초과 지역인 부산의 경우 순이동 방식에서 더 빠른 인구 감소가 나타났다. 이지역 방식에 의한 부산 및 전국추계의 인구 변화 추세를 검토한 결과 추계가 상당히 합리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은 순이동 코호트-요인법에 비해 논리적으로 더 정연하면서도 실제 추계에 있어서도 높은 유용성을 보여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opulation projection method based on the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and to apply it to population projections for Busan. Some drawbacks of using the net migration cohort-component method in a regional or local level population projection ar...

주제어

참고문헌 (23)

  1. Booth, H., 2006, Demographic forecasting: 1980 to 2005 in review, Working Papers in Demography, 100, Research School of Social Science,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 Choi, Eunyoung, Kim, Kamyoung, Kim, Tai-Hun, Koo, Donghoe, Sim, Sujin, Lee, Sang-Il, and Cho, Daeheon, 2010, Analysis and Modeling of Population Change in Busa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3. Hollmann, F. W., Mulder, T. J., and Kallan, J. E., 2000, Methodology and Assumptions for the Population Projections of the United States: 1999 to 2100, Population Division Working Paper, 38, U.S. Census Bureau. 

  4. Isserman, A. M., 1993, The right people, the right rates: Making population estimates and forecasts with an interregional cohort-component model,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59(1), 45-64. 

  5. Jun, Kwang-Hee, 2006, Developemt of fertility assumptions for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2), 53-88 (in Korean). 

  6. Kim, Eung Ryul, 2004, Social Research,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7. Kim, Hong-Bae, Kim, Jae-Koo, and Lim, Byung-Chul, 2009, Model development for forecasting regional population: using cohort-compoent method and Markov Chain model,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6), 139-146 (in Korean). 

  8. Kim, Tai-Hun, 2006, Mortality forecasting for population projec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2), 27-51 (in Korean). 

  9. Kim, Tai-Hun, Kim, Dong-Hoy, and Jung, Goo-Hyun, 2006, Population projections for small areas in Korea based on the cohort compone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11(2), 1-40 (in Korean). 

  10. Lee, Hee Yeon, 2003, Demography, Bobmunsa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11. Lee, Sang-Lim and Cho, Young-Tae, 2005, Population projections for lower-level local governments in Korea: based on Hamilton-Perry methods,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8(1), 149- 172 (in Korean). 

  12. O'Neill, B .C., Balk, D., Brickman, M., and Ezra, M., 2001, A Guide to global population projections, Demographic Research, 4, 203-288. 

  13. Park, Yousung, Kim Keewhan, and Kim Seongyong, 2010, Unreliability of official population in Korea, Survey Research, 11(2), 71-95 (in Korean). 

  14. Rogers, A., 1985, Regional Population Projection Models, Scientific Geography Series, Vol.4,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CA. 

  15. Rogers, A., 1995, Multiregional Demography: Principles, Methods and Extensions, John Wiley & Sons, New York. 

  16. Rowland, D. T., 2003, Demographic Methods and Concept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7. Smith, S. K., Tayman, J., and Swanson, D. A., 2001, State and Local Population Projections: Methodology and Analysi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New York. 

  18. Statistics Korea, 2006,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 2005-2050 (in Korean). 

  19. Statistics Korea, 2007, Population Projections by Provinces 2005-2030 (in Korean). 

  20. Vital Statistics Division of Statistics Korea, 2007, Guidelines for Population Projections by Provinces (in Korean). 

  21. Wilson, T. and Bell, M., 2004, Comparative empirical evaluations of internal migration models in sub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s,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21(2), 127-160. 

  22. Woo, Hae Bong, 2009, The accuracy of the national population projections for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implications, Survey Research, 10(2), 71-96 (in Korean). 

  23. Woo, Hae Bong, 2010, Stochastic demographic and population forecasting,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3(1), 161-18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