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히알루론산의 온도감응성 그래프트 공중합체
Thermoresponsive Graft Copolymers of Hyaluronic Acid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5 no.3, 2011년, pp.223 - 227  

최소영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신소재공학부) ,  이종휘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극감응성 고분자는 다양한 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재료로 널리 연구되어오고 있다. 온도감응성을 가지는 히알루론산 공중합체를 카르복실기 고분자와 생체친화성 히알루론산의 아미드 결합을 통하여 연결시켜 합성하였다. 온도감응성 특징은 두 공중합체 모두에 구현되었으며, 탁도 측정과 rheolgical 결과는 일치하였다. 두 공중합체 중 elastin-like peptide(ELP)를 그래프트 사슬에 둔 공중합체의 경우가 N-ispropylacryamide(PNIPAAm) 경우에 비해 보다 완만한 LCST 변화과정을 보여주었다. PNIPAAm과 ELP의 그래프트 부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였고, 비슷한 그래프트 함량에서는 PNIPAAm 공중합체의 점도 증가가 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생체친화성의 히알루론산에 그래프트 사슬을 붙임으로써 온도감응성을 부여할 수 있고, 그 특성을 설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imuli-responsive polymers have been investigated as the materials playing the critical roles in various applications. Thermoresponsive graft copolymers, poly (N-isopropylacrylamide)-g-hyaluronic acid (PNIPAAm-g-HA) and elastin-like peptide-g-hyaluronic acid (ELP-g-HA), were synthesized by coupl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체친화성 친수성 고분자인 히알루론산에 자극 감응성을 가지는 물질을 도입하여 새로운 의료용 고분자 물질을 탐구하고자 한다. 생체고분자인 히알루론산과 ELP 혹은 PNIPAAm의 반응을 이용하여 두 공중합체 물질을 합성하였다 이제까지 PNIPAAm 과 히알루론산의 공중합체는 시도된 바 있으나, ELP와의 공중합체는 보고된 바 없으며, 이 두 공중합체의 체계적인 비교도 보고된 바 없다 n 이와 같은 실험은 온도감응성을 가지는 생체친화적인 고분자의 제조를 통해 보다 온도에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약물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L. Drury, Biomaterials, 24, 4337 (2003). 

  2. H. Tan, C. M. Ramirez, N. Miljkovic, H. Li, J. P. Rubin, and K. G. Marra, Biomaterials, 30, 6844 (2009). 

  3. K. Moriyama, T. Ooya, and N. Yui, J. Control. Release, 59, 77 (1999). 

  4. D. I. Ha, S. B. Lee, M. S. Chong, Y. M. Lee, S. Y. Kim, and Y. H. Park, Macromol. Res., 14, 87 (2006). 

  5. I. L. Hong and Y. J. Kim, Polymer(Korea), 32, 561 (2008). 

  6. J. H. Cho, S. H. Kim, K. D. Park, M. C. Jung, W. I. Yang, S. W. Han, J. Y. Noh, and J. W. Lee, Biomaterials, 25, 5743 (2004). 

  7. S. Ifuku and J. F. Kadla, Biomacromolecules, 9, 3308 (2008). 

  8. M. K. Yoo, Y. K. Sung, Y. M. Lee, and C. S. Cho, Polymer, 41, 5713 (2000). 

  9. D. Urry, J. Phys. Chem. B, 101, 11007 (1997). 

  10. X. Z. Shu, Y. Liu, Y. Luo, M. C. Roberts, and G. D. Prestwich, Biomacromolecules, 3, 1304 (2002). 

  11. S. Ohya, Y. Nakayama, and T. Matsuda, Biomacromolecules, 2, 856 (2001). 

  12. K. Y. Yuk, Y. M. Choi, J. S. Pack, S. Y. Kim, G. N. Pack, and K. M. Huh, Polymer(Korea), 33, 469 (2009). 

  13. H. G. Ho, S. H. Pack, C. H. Pack, and J. H. Lee, Polymer (Korea), 33, 353 (2009). 

  14. Z. Zhao, Z. Li, Q. Xia, H. Xi, and Y. Lin, Eur. Polym. J., 44, 1217 (2008). 

  15. D. Mortisen, M. Peroglio, M. Alini, and D. Eglin, Biomacromolecules, 11, 1261 (2010). 

  16. J. P. Chen and T. H. Cheng, Polymer, 50, 107 (2009). 

  17. J. Lee, C. Macosko, and D. Urry, Macromolecules, 34, 4114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