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assessment, together with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cess, would be one of the worldwide important issues, and the stud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icator has been an essential proble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Vulnerability indicator can be used as a good tool to est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사회 지리적 정보 등을 토대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여러 대리 변수가 결정되면 세 항목별 각각 하나의 값으로 적절히 계산하여 최종적인 기후 변화 취약성 지수 계산에 가 도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기후 변화 취약성 지수를 결정하는 흐름도와 표준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 그래서 취약성 지수의 개념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대리변수를 동일시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기후 변화 적응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기후 변화 취약성 개념을 먼저 살펴보았으며, 취약성 지수 도출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연구 방법과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선행 연구 결과로서 우리나라에 적용한 취약성 지수 공간 분포 등의 연구결과를 개략적으로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기후 변화 적응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기후 변화 취약성 개념을 먼저 살펴보았으며, 취약성 지수 도출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연구 방법과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선행 연구 결과로서 우리나라에 적용한 취약성 지수 공간 분포 등의 연구결과를 개략적으로 논의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후 변화 적응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지금까지의 기후 변화 적응과 연관된 문헌을 조사하여 기후 변화 취약성 평가 및 그지수에 관한 개념적 정리를 시도하였고, 객관적이고 다양한 취약성 지수 산출을 위한 국내외 연구 방법과 결과를 비교·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 변화 정부간 패널(IPCC) 제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의 추세대로 연료 사용이 지속되면 어떤 전망을 하고 있는가? 기후 변화 정부간 패널(IPCC) 제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의 추세대로 연료 사용이 지속되면 지구 평균 온도 상승에 따라 동식물의 20-30 %가 멸종 위험에 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IPCC, 2007). 이에 따라 기후 변화 적응(Climate change adaptation)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강화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3차 UN 기후 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COP13)에서 채택된 발리로드맵의 경우, 당사국들의 온실기체 배출 감축을 통한 기후 변화의 완화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의 잠재적 영향과 위험을 파악하게 하는 기후 변화 영향 평가(assessment)와 기후 변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후 변화 적응의 중요성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취약성 지수인 VRI은 세 단계로 요약되는데 이중 표준화란 어떤 과정인가? 선행연구, 예를 들어 Moss 등(2001)과 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8)에서 제시한 취약성 지수인 VRI(Vulnerability-Resilience Indicator)는 다음의 세 단계로 요약되는데, ①표준화→②부호 결정→③취약성 평가 지수 계산으로 진행된다. 이때 표준화란 어떤 대용변수들을 무차원화 하는 것으로서 서로 단위가 다른 변수들 간의 연산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서로 다른 단위를 가진 대리 변수들을 표준화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Table 2에 정리하였다.
기후 변화 적응은 어떤 개념에 기초하는가? 기후 변화 영향평가 및 그 적응에 관한 이슈는 1990년 IPCC 제 2 실무 그룹에서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는 데 주력한 것에서 출발하여, 1995년 IPCC 제2차 평가보고서부터 이미 기후 변화에 따른 취약성(vulnerability) 개념이 도입되었고, 제3차, 제4차에 이르기까지 기후 변화 취약성은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과 그에 대한 적응을 연계하는 주요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기후 변화 적응이란 지금 당장 온실기체의 배출량을 파격적으로 줄이더라도 기후 변화의 완화 조치 전략이 실효성을 나타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이에 대한 적응 조치가 상당기간 필연적으로 요구된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따라서 이미 배출된 온실 기체로 인해 미래의 특정 시점까지는 기후 시스템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것이며, 이에 대한 사회 및 경제적인 비용을 줄이기 위한 대응 혹은 적응 전략의 수립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경기개발연구원(GRI: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9, 경기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 (in Korean). 

  2. 국립환경과학원(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8, 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현황에 기초한 적응대책 수립 가이드라인 개발(in Korean). 

  3. 국립환경과학원(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GIS 및 WEB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파악 및 분석기법 개발 (I) (in Korean). 

  4. 국립환경과학원(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GIS 및 WEB 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파악 및 분석기법 개발 (II) (in Korean). 

  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in Korean). 

  6. Brooks, N., Adger, W. N., Kelly, P. M., 2005, The determinants of vulnerability and adaptive capacity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implications for adaptati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5, 151-163. 

  7. Cutter, S. L., Boruff, B. J., Shirley, W. L., 2003, Social vulnerability to environmental hazards, Social Science Quarterly, 84 (2), 242-261. 

  8. IPCC, 1996, Climate Change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95-561. 

  9.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Third Assessment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75-451. 

  10.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Fourth Assessment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719-737. 

  11. Moss, R. H., Brenkert, A. L., Malone, E. L., 2001,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 Quantitative Approach.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Energy. 

  12. Nardo, M., Saisana., M., Saltelli., A., Tarantola., S., 2005, Tools for Composite Indicators Building. European Communities. Available at http://europa. eu.int. 

  13. UNDP, 2005,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USA, 29-205. 

  14. Wehhbe, M. B., Seiler, R. A., Vinocur, M. R., Eakin, H., Santos, C., Civitaresi, H. M., 2005, Social methods for assessing agricultural producer's vulnerability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based on the notion of sustainability, Assessments of Impacts and Adaptations of Climate Change Working Papers. 

  15. Yoo, G. Y., Park, S. W., Chung, D. K., Kang, H. J., Hwang, J. H.,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thodology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ea level rise impact on a coastal city, Environmental Policy Research, 9(2), 185-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