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좌반류(佐飯類)의 종류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of Joseon Dynasty Jwaban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3, 2011년, pp.239 - 248  

오순덕 (서정대학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Jwabans as recorded in 21 old book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Jwaban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root vegetables, sea algae, seeds nuts, bird, meat, and fish.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eras of the Joseon dynasty, 10, ni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성우(1985)는 “자반에 소금절이 생선·脯·건조물·茶食·肉餠·튀각·부각 등을 소속시키고 있고, 또 볶이와 장조림은 助致(조치)와 자반 양쪽에 소속시키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원행을묘정리의궤」에 기록된 좌반의 범위를 기준으로 정하여 그 종류를 살펴보고자 한다.
  • 시대적 분류는 조선시대 전기(태조 1392년-명종 1567년), 중기(선조 1568년-경종 1724년), 후기(영조 1725년-순종 1909년)로 나누었다. 문헌에 기록된 좌반류를 식물성재료과 동물성재료로 분류하여 좌반의 범위와 종류를 분석 고찰함으로써 우리 饌(찬) 문화의 우수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문헌에 기록된 음식의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및 조리법의 개발 및 산업화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좌반은 언어학적으로 어떤 의미로 볼 수 있는가? 좌반은 언어학적으로 佐(좌): 도울 <좌>, 飯(반): 밥 <반>으로 밥을 도와주는 饌(찬)의 의미로 볼 수 있으며, “좌시다”는 “잡수시다”와 동일어(同一語)이다(이 1949).
요즘에 자반이라는 것은 거의 무엇을 이르는 것인가? 좌반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자반은 넓은 뜻으로는 보존성이 있고 맛이 진한 밑반찬 무리를 통틀어 가리키는 것’(이 1985), ‘좌반은 지금의 포류(脯類), 마른찬류, 자반류, 튀각류, 부각류와 같은 보존식(Kim 등 1989), 자반은 한 가지의 특정한 조리법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밥의 찬이 되는 마른찬·부각·절인 생선·짭잘한 밑반찬 등을 두루 이르는 말로 한자로는 좌반(佐飯)으로 쓴다. 요즈음에 자반이라는 것은 거의 고등어자반·준치자반처럼 절인 생선을 이르는 경우가 많다. 자반 중에 참죽자반·고추자반 등은 부각의 항목에 넣었다’(황 등 1989), ‘자반(佐飯)은 짭짭하게 만든 비교적 저장성이 있는 음식으로, 밥반찬으로서 어울리는 음식에 대한 총칭이며 생선을 소금에 절인 자반굴비, 자반고등어 등, 또는 미역자반, 북어자반과 같은 마른반찬류에 대한 통칭’(윤 1991), ‘좌반이란 식사를 도와준다는 뜻의 조리법으로 넓은 뜻으로는 보존성이 있고 맛이 진한 밥반찬 종류를 가리키는 말’(이 1998), ‘좌반은 음식의 보존이 어려웠던 시기에 참새, 더덕, 버섯 등에 양념하여 말려두었다가 필요할 때 기름 발라 구워서 이용’(Chung 등 2007), ‘자반은 짭짭하게 만든 찬물의 총칭으로 양념하여 말리기와 조리는 방법’(박 1996) 등과 같이 기록되었다.
우리나라의 일상식에서 부식은 무엇을 기본으로 하는가? 주식은 밥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 따르는 반상차림이 주가 된다. 그 중 부식은 을 기본으로 하여 찜, 선, 구이, 전, 느르미, 조림, 볶음, 회, 무침, 나물, 자반, 포, 편육, 순대 등이 있다(Chung 등 2007). 좌반류에 관한 문헌적 연구는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찬물류(饌物類)의 문헌적 고찰”(Chung 등 2007), “원행을묘정리의궤 중 조리면에서 본 水刺床考”(Kim 등 1989), “조선시대 궁중음식 중 찬물류의 분석적 연구”(Lee & Yoon 1986), “조선시대 부식류의 조리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김 2008), “전통 밑반찬의 인지도와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II) 마른 반찬 및 자반류”(Yoon & Song 1996)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업식. 2008. 조선시대 부식류의 조리법에 관한 고찰:음식디미방, 규합총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을 중심으로. 경희대 대학원 박사논문 

  2. 농촌진흥청. 2004. 山家要錄(全循義. 1449). 농촌진흥청 

  3. 농촌진흥청. 2007. 農政會要(崔漢綺. 1830년). 농촌진흥청 

  4. 농촌진흥청. 2010.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河生員. 1600년대 말엽). 농촌진흥청 

  5. 농촌진흥청. 2010.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金逈洙. 1861). 농촌진흥청 

  6. 농촌진흥청. 2010.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 농촌진흥청 

  7. 농촌진흥청. 2010.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 농촌진흥청 

  8. 민족문화추진회. 2007. 山林經濟(洪萬選. 1715년경). 한국학술정보(주) 

  9. 박미자. 1996. 음식법(饌法)의 조리학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4(2). pp. 283-302 

  10. 수원시. 2005.園行乙卯整理儀軌(정리소. 1795). 수원시신암. 1896.延世大규곤요람. 연세대도서관 소장 

  11. 윤서석. 1991.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pp. 225-236 

  12. 윤숙경 편역. 1998.需雲雜方.酒饌(金. 1500년대 초엽). 신광출판사 

  13. 윤숙경 편역. 1998.需雲雜方.酒饌(저자미상. 1800년대 초엽). 신광출판사 

  14. 이강자외 13명. 2003. 增補山林經濟(柳重臨. 1767). 신광출판사 

  15. 이상춘. 1949. 조선옛말사전. 을유문화사. p. 216 

  16. 이성우. 1985.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pp. 309-310 

  17. 이성우. 1992.한국고식문헌집성 I-要錄(저자미상. 1680). 수학사. p. 282 

  18. 이성우. 1992.한국고식문헌집성 II-閨閤叢書(憑虛閣李氏.1815년경). 수학사. pp. 630-631 

  19. 이성우. 1992.한국고식문헌집성 IV-饌法(저자미상. 1854년). 수학사. pp. 1314-1316 

  20. 이성우. 1992.한국고식문헌집성 IV-曆酒方文(저자미상.1800년대 중엽). 수학사 

  21. 이성우. 1992.한국고식문헌집성 IV-是議全書(저자미상.1800년대 말엽). 수학사 

  22. 이효지. 1998.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23. 이효지 외 11인. 2004.是議全書(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신광출판사 

  24. 이효지 외 3인. 2007.林園十六志(鼎祖志)(徐有. 1827).교문사. pp. 228-234 

  25. 이효지외 9인. 2010. 夫人必知(이숙. 1908). 교문사. p 189 

  26. 저자미상. 1800년대 초.중엽. 高麗大규곤요람. 고려대학교 소장 

  27. 저자미상. 1800년대 중엽. 郡學會騰.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28. 정리소. 1795. 園行乙卯整理儀軌. 규장각 소장 

  29. 황혜성 편역. 1980. 閨是議方(安東 張氏. 1670년경). 한국인서출판사. p. 15 

  30. 황혜성.한복려.한복진. 1989.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31. Chung RW, Cho Sh,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7. An Investigation of Side-dishe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731-748 

  32. Kim SB, Han BJ, Lee SW. 1989. A Study of Cookery of Daily Meal (Soora Sang) in Wonheng Ulmyo Jungri Euigwae (1795). Korean J. Dietary Culture. 4(2):125-143 

  33. Lee HG, Yoon SS. 1986. An analytical Studies on Side Dishe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2):101-115 

  34. Yoon GS, Song YS. 1996.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II)-Dried Side Dishes and Jabans. Korean J. Dietary Culture. 11(5):593-6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