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항산화 성분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s from Morus alba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1, 2011년, pp.94 - 100  

전예숙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원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formula of the antioxidant substance separated from the ethyl acetate and the butanol extract and tes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with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Each phase with the fractionated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leaf was screened in advance fo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약리 효과와 풍부한 아미노산 등을 포함한 뽕잎을 용매별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들의 항산화성을 측정하고,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분리 동정하여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물질을 분리하여 구조식을 밝혔으며,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성을 검증하였다. 뽕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분획한 각 용매층을 미리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물질을 screening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부탄올층에서 활성이 나타나 항산화 성분을 분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잎의 최근에 알려진 효능이 있는 물질은? 또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뽕잎과 함께 뽕나무 버섯과 뽕나무 뿌리 껍질인 상근백피(桑根白皮)가 약제로 좋다고 소개되어 있다. 최근에는 술독을 제거하는 아스파라긴산과 알라닌, 뇌 속의 피를 잘 돌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며, 노인성 치매를 예방해 주는 세린과 타이로신이 상당량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뽕잎에는 각종 미네랄도 많이 들어있어 칼슘은 양배추의 60배, 철분은 무의 160배, 섬유질은 무말랭이나 고구마만큼 많아 마른 뽕잎 무게의 반 이상이 섬유질이다(Lee 등 2002).
뽕나무란? 뽕나무는 열대지방부터 온대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뽕나무과(Morac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식물이다(Jeong 등 2002). 뽕잎은 본초강목(本草綱目)과 동의보감에 소갈증, 뇌졸중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최근 보고에 의하면 당뇨병을 예방하며 치료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등 2001).
뽕잎이 효과 있는 질환은 무엇인가? 뽕나무는 열대지방부터 온대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뽕나무과(Morac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식물이다(Jeong 등 2002). 뽕잎은 본초강목(本草綱目)과 동의보감에 소갈증, 뇌졸중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최근 보고에 의하면 당뇨병을 예방하며 치료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등 2001). 또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뽕잎과 함께 뽕나무 버섯과 뽕나무 뿌리 껍질인 상근백피(桑根白皮)가 약제로 좋다고 소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우원식. 1997. 천연물화학 연구법. pp.1-60. 서울대학교출판부 

  2. Cha N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310-1315 

  3. Chang HJ, Noh KL. 2000. Screening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bacterial and nitrits scavenging effect of some herbal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16:372-377 

  4. Cho YJ, Ju IS, Kim BO, Kim JH, Lee BG. 2007.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334-343 

  5. Dietz BM, Kang YH, Liu G, Eggler AL, Yao P, Chadwick LR, Pauli GF, Farnsworth NR, Mesecar AD, Bolton JL. 2005. Xanthohumol isolated from Humilus lupulus inhibits menadioneinduced DNA damage through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18:1296-1305 

  6. Do JC, Chai JY, Son JK. 1991. Studied on the consitituents of Lycopus lucidus(II). Kor J Pharmacogn 22:166-170 

  7. Goudard M, Bonvin JF, Lebreton P, Chopin J. 1978. Differentiation des dihydroxy-5,7 methoxy-6 ou 8 flavones, flavonols et mehyl-3 flavonols par spectrometrie de masse. Phytochemistry 17:145-146 

  8. Inagaki I, Hisada S, Shima K. 197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nodendron affine durce. I. Isolation of wogonin, dambonitol, sucrose and some other components from stems. Yakugaku Zasshi 91:1133-1136 

  9. Ishida H, Umino T, Tsuji K, Kosuge T. 1987. Studies on antihemorrhagic substances in herbs classified as hemostatics in chinese medicine. VII. On the antihemorrhagic principle in Cirsium japonicum DC. Chem Pharm Bull 35:861-864 

  10. Jeong CH, Joo OS, Shim KH. 2002.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young mulberry stem. J. Korea Food Preserv 9:228-233 

  11. Ju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442-448 

  12. K. R. Markham. 1982. Techniques of Flavonoid Identification. Academic Press, pp.1-45. London 

  13. Kang PD, KimJW, Sohn BH, Kim KY, JungIY, Kim MJ, Ryu KS. 2006. Accumulating pattern of a-glucosidase inhibitor various silkworom varities. J Seric. Sci 48:25-27 

  14. Karen J, Pamela J. 1991.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in oats. JAOCS 86:365-370 

  15. Kim HB, Kang CK, Sung GB, Kang SW, Lee JR. 2007. Antioxid ative capacity of mulberry leaf and its tea. Korean J Seric Sci 49:18-23 

  16. Kim HB, Koh SH, Seok YS. 2006. Anti-oxidative effect of 'Cheongilppong' with mulberry leave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on areas and some kinds of mulberry branches. Korean J Seric Sci 48:41-45 

  17. Kim HB, Lee YW, Lee WJ, Moon JY. 2001. Physiological effec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wine with chongilppong. Korean J Seris Sci 43:16-20 

  18. Kim HB. 2005. Antioxidant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maturity stages in yield-type mulberry leaves and fruits collected from Kang-Won province. Korean J Seric Sci 47:93-98 

  19. Kim SS, Jeong MH, Seo YC, Kim JS, Kim NS, Woon WB, Ahn JH, Hwang B, Park DS, Park SJ, Lee HY. 2010.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by high pressure extrac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from different production area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248-254 

  20. Lee HB, Kwak JH, Zee OP, Yoo SJ. 1994. Flavonoids from Circum rhinoceros. Arch Pharm Res 17:273-277 

  21. Lee HS, Chung KS, Kim SY, Ryu KS, Lee WC. 1998. Effect of several sericultural products on blood glucose lowering for Alloxan-induced hyperglycemic mice. Korean J Seric Sci 40:38-42 

  22. Lee JM, Kim JA, Lee MJ. 2002. Sensory and physicochemical attributes of boogags using mulberry leaf. Korean J Dietary Culture 17:103-110 

  23. Marlham. 1982. Techniques of Flavonoid Identification. Academic Press. London 

  24. Park BH, Back KY, Lee SI, Kim SD. 2008. Quality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tea. Korean J Food Preserv 15:461-468 

  25. Takido M, Aimi M, Takahashi S, Yamanouchi S, Torii H, Dohi S. 1975. Studies on the constituents in the water extracts of crude drugs. I. On the roo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Wogon)1. Yakugaku Zasshi 95:108-113 

  26. Toshiko S, Ikuyo T, Noriko H, Taketoshi K. 1994. Thermal stability of chiorophyll in green leaves. 調理科學 27:126-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