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두 전처리 공정 및 식물 유래 유산균 혼합 배양에 의한 기능성 유산균 음료 생산기술 개발
Development of Pretreatment and Mixed Culture Processes for Plant Originated Lactic Acid to Produce a Functional Lactic acid Beve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1, 2011년, pp.117 - 123  

조은경 ((주)다손) ,  조형용 ((주)다손) ,  김병철 ((주)다손) ,  신해헌 (백석문화대학 외식산업학부) ,  조석철 (경희대학교 피부생명과학센터) ,  국무창 (안양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  변유량 ((주)바이오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process conditions for plant-originated lactic acid production using a mixed culture of plant originated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B2-16, and Lactobacillus plantarum P23, which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Bacillus subtilis, which was TP6 iso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두 발효시 사용되는 균주가 관능적으로 우수하다고 해도 다른 균과 생육 속도에서 차이를 보이거나 최종 균수가 좋지 않은 경우 산업화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대두를 원료로 발효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L. plantarum P23과 L. saki B2-16를 주발효균으로 하고, 된장에서 분리한 Nattokinase 보다 뛰어난 혈전용해효소를 생산하면서 안전성이 입증된 B. subtilis TP-6를 물성 강화균으로 하여 혼합 배양을 하고자 하 였다. 이에 대두 배지에 각각 1%(v/v) 수준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육 특성을 확인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식품 유래 균들인 식물성 유산균을 대두에 혼합 배양한 대두 발효조성물에서 생산되는 생리활성물질의 기능과 유산균 음료로서 프로바이틱스의 기능 및 대두의 건강기능성 등의 상승적인 효능을 가진 유산균 음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두의 전처리 기술 및 발효유산균 선정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2) 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이란 무엇인가?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은 치즈, 발효유, 유산균 음료 등의 발효 유제품을 비롯하여 각종 발효 식품의 제조에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이다. 특히 국내 대부분의 발효유는 우유를 원료로하여 제조된 살아있는 유산균을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제조된 대표적인 식품이라 할 수 있다.
국내 대부분의 발효유는 무엇을 원료로 하는가?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은 치즈, 발효유, 유산균 음료 등의 발효 유제품을 비롯하여 각종 발효 식품의 제조에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미생물이다. 특히 국내 대부분의 발효유는 우유를 원료로하여 제조된 살아있는 유산균을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제조된 대표적인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발효유를 통하여 섭취된 유산균은 장내 유용균의 증식을 촉진하는 반면, 유해균의 증식은 억제하여 유익균이 우위를 차지하도록 장내 균총의 균형을 개선하며, 그 결과 장관 감염과 식중독의 방지, 장내 부패 억제, 장의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 방지, 면역력 증가, 발암억제, 비타민 B군의 생산 등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것으로 밝혀지고 있다(Ji GE 1994; Doron 등 2005; Müller 등2009).
발효유를 통하여 살아있는 유산균을 섭취하는 것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특히 국내 대부분의 발효유는 우유를 원료로하여 제조된 살아있는 유산균을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제조된 대표적인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발효유를 통하여 섭취된 유산균은 장내 유용균의 증식을 촉진하는 반면, 유해균의 증식은 억제하여 유익균이 우위를 차지하도록 장내 균총의 균형을 개선하며, 그 결과 장관 감염과 식중독의 방지, 장내 부패 억제, 장의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 방지, 면역력 증가, 발암억제, 비타민 B군의 생산 등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것으로 밝혀지고 있다(Ji GE 1994; Doron 등 2005; Müller 등2009). 따라서 유럽 등 서구에서는 요구르트, 유산균 음료와 분말, 과립, 정제 형태의 유산균 생균 제품이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 JH. 2000.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sponge cakes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s on the rat's intestine and serum lipids. MS thesis. Chungnam Uni. Korea 

  2. Cho JI. 2004. Health food using fermented soybean. Korea Patent 10-0448841-0000 

  3. Choi MJ, Jung YJ. 2008. The effects of isoflavones intake level on bone markers and bone related hormones in growing female rats. Kor J Nutr 41:199-205 

  4. Doron S, Snydman DR, Gorbach SL. 2005. Lactobacillus GG: Bacteri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Gastroenter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34:483-498 

  5. Huang CJ, Wang ML, Kuo CY. 2008. Studies on the cholesterol removal ability of plant origin lactic acid bacteria. J Taiwan Livestock Res 41:267-274 

  6. Huang, CJ, Kuo CY. 2006. Studies on the screening,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dairy products with plant origin lactic acid bacteria. J Taiwan Livestock Res 39:239-250 

  7. Igarashi T. 2007. Development of beverage and food using plant origin lactic acid bacterium. Bioindustry 24:32-39 

  8. JI GE. 1994.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intestinal microbial flora in Korea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453-458 

  9. Kim DH, Lee GY, Kim NM, Lee JS. 2003.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various extracts from danmemil and legumes. Kor J Food Nutr 16:347-352 

  10. Kumagai T. 2009. Application of plant origin lactic acid bacteria to food. Food Style 21 13:46-47 

  11. Lee HS, Kim KO. 2007. The Development of yogurt, bread, and cookies with added bean sprout powder and isoflavone extracts. Kor J Food Cookery Sci 23:537-550 

  12. Lee SB, Cho JK. 2007. Functional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sp. and Lactobacillus casei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reof. Korea Patent 1007362550000 

  13. Lim AK, Jung HK, Hong JH, Oh JS, Kwak JH, Kim YH, Kim DI. 2008. Effects of the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7:302-308 

  14. Muller DM, Carrasco MS, Tonarelli GG, Simonetta AC. 2009.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 new bacteriocin with a broad inhibitory spectrum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lp 31 strain isolated from dry-fermented sausage. J Appl Microbiol 106:2031-2040 

  15. Oh JS, Lee GH, Lee WY, Lee KS, Oh MJ. 1988. Effects of alkali treatment of soybean on the quality of soybean milk. J Kor Soc Food Nutr 17:85-94 

  16. Ryu BH, Cho SH, Ha SW, Park KM, Kang KH. 1998. Changes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properties by intake of yoghurt added capsulated or uncapsulated bifidobacteria.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221-225 

  17. Ryu BM, Sugiyama K, Kim JS, Park MH, Moon GS. 2007. Studies on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usijang, fermented soybean paste. J Kor Soc Food Sci Nutr 36:137-142 

  18. Shin HC, Seong HS, Sohn HS. 2004.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health benefits of the soymilk. Korea Soybean Digest 21:15-27 

  19. Yasuhisa S, Takashi M, Fumiyasu I. 2005. Bifidobacterium breve and fermented soymilk prepared with the same. Korea Patent 1004716310000 

  20. Yun ME, Lee DH, Kim MH. 2008. Effects of soy isoflavones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on urinary calcium, magnecium, copper and zinc excretion in postmenopausal women. Kor J Nutr 41:612-6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