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니트패션에 나타난 상.하위문화의 혼합특성
Phenomena of Mixture in High.Low Class Culture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4, 2011년, pp.38 - 51  

박문희 (강릉원주대학교 의상디자인과) ,  이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data that designers can utilize substantially, by developing creative materials in knit fashion through the analysis relevant to expression characteristics on the mixture in high low class culture, which were shown in knit fashion of contemporary women, as on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 패션의 디자인 요소를 실루엣, 원사, 조직, 게이지, 색채, 아이템의 7가지 요소로 그 표현 특징을 살펴보았다<;표 1>.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이고 독특한 니트 패션의 디자인을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최근의 문화전반에 걸친 혼합현상 중에서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상하위문화의 혼합 현상의 표현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니트 패션 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고, 의류학 연구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러한 시점에서 현대 니트 패션의 다양한 혼합현상에 관한 연구는 여러 나라의 문화적 이미지와 전통적인 개념의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표현 방식과 새로운 소재개발에 관심을 갖는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는 다양한 미적 표현의 원천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니트패션 분야의 디자인 구상과 전개에 있어서 창의력의 원천과, 다양한 경쟁력을 지닌 독특한 소재로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혼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최근의 트렌드에 주목하여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의 디자인 특성 및 표현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니트 패션 디자인에 있어 창의적이고 독특한 기법으로서 디자이너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런지 패션은 무엇인가? 그런지 패션은 하위 패션으로서 낡아서 해진 듯한 느낌의 의상으로 80년대 말에서 90년대 중반에 거리 패션으로 유행했던 스타일이며,28) 다원화된 사회가 심화되면서 여러 문화적 요소가 혼합되는 양상을 보이는 21세기를 전후로 ‘네오 그런지’로 재탄생하였다. 그런지 패션은 이전의 하위문화 스타일이었던 히피와 펑크의 영향으로 여러 가지 아이템을 겹쳐 입은 레이어링, 이질적인 소재와 색감, 패턴, 형태 등의 다양한 믹스 앤 매치, 미완성된 느낌과 구멍 나고 찢어진 듯한 표현, 하찮은 것들로 여겨지던 병, 고리, 동전 등의 재활용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니트 패션의 상․하위 혼합현상에 대한 표현특성을 분석할 때 실증적 자료 수집을 위해 퍼스트뷰를 이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com)’에서 2000년∼2008년까지 세계 4대 컬렉션인 London, New York, Paris, Milan의 전체 디자이너 컬렉션의 여성 니트 패션의 횡편 니트의 3∼12게이지의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다. 퍼스트뷰는 특히 프레타포르테의 컬렉션 자료를 최대 데이터베이스로 보유하고 있어 자료의 선정이 용이하며, 객관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혼합현상의 표현 특성과 니트 패션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요소로 원사, 조직, 게이지, 실루엣, 색상 및 아이템을 분석의 척도로 사용하여 연도별, 시즌별로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상·하위문화의 혼합의 빈도수와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상류층의 의상과 대중들의 의상의 경계가 확실했던 대립관계의 경계가 해체되기 시작한 계기는 무엇인가? 전통적인 개념으로 상류패션의 특징은 고급스런 소재, 무늬, 색상으로 이루어졌고, 하류패션은 조잡한 디테일과 값싼 소재의 디자인 등으로 이루어진 이분법적인 대립관계였다. 이러한 상류층의 의상과 대중들의 의상의 경계가 확실했던 대립관계는 1960년대의 영 패션이 등장하면서 그 경계가 해체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사람들은 편안한 실루엣을 지향하고 스포츠와 레저 웨어(Leisure wear) 생산자들은 실제 스포츠를 목적으로 하기보다 패셔너블한 어패럴을 강조한 엑서사이즈 웨어(excercise wear)의 공급을 늘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박종구 (2008. 12. 4). 다가올 융합기술 시대. 모바일로 읽는 매일 경제, 자료검색일 2008. 12. 14, 자료출처 http://mk.co.kr/ 

  2. 김석근 (1995). 메리야스공학. 서울: 문운당. p. 40. 

  3. 최은희 (1998). 미술의상에서의 Knitwork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0. 

  4.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5. 이일형 (1995). 현대건축의 혼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1), pp. 35-36. 

  6. 이일형 (1995). 현대건축의 혼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1), pp. 35. 

  7. 이유미 (2001). 패션트렌드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대한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소라 (2003). 서울컬렉션에 나타난 퓨전스타일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수현 (2005).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오승혜 (2000). 20세기 후반 복식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Fusion 현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4 

  12. 김혜영 (2007). 패션디자인과 타 디자인 장르와의 크로스오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경란 (2005). 다문화시대의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1-25. 

  14. 최호정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글로벌, 구조적 하이브리드: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복식 문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경인 (2008). 현대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백정현 (2009). 문화.예술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현상.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Mendes, V., De La Haye, A. (1999). 20th Century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p. 212. 

  18. 정홍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407. 

  19. 박수현 (2005).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0-118. 

  20. 자료검색일 2010. 9. 30, 자료출처 www.samsungdesign.net. 

  21. 박혜원 (1998). 패션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디자인연구, 3, p. 138. 

  22. 하지수 (2002). 1990년대 절충적 기능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 복식, 52(5), p. 156. 

  23. 이은영 (2004). 복식디자인론. 서울: 교문사, pp. 63-68. 

  24. Horn, M. J., & Gurel, L.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pp. 66-67. 

  25. 김영인 외 9인 (2007). 룩 패션을 보는 9가지 시선. 서울: 교문사, p. 66. 

  26. 거리에서 쓰는 라이브 마케팅보고서 (2002). 디지털 시대의 행복한 왕따들, 키덜트族을 아십니까? 서울: 파란통신, p. 6. 

  27. 박수현 (2005).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4. 

  28. 패션전문 자료사전 편찬위 (1997). Fashion 전문 자료 사전. 서울: 한국 사전 연구사, p. 48. 

  29. 박수현 (2005).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1-112. 

  30.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