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각된 가치와 위험이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수입패션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식딜러와 비공식딜러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for Imported Apparel in Internet Shopping Mall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4, 2011년, pp.63 - 75  

김효정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on purchasing behavior for imported apparel from official dealer and unofficial dealer in internet shopping mall. A total of 363 female subjects with ages ranging between 20's and 30's completed the qu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수입패션제품을 공식딜러와 비공식딜러를 통해 수입된 패션제품으로 각각 나누어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과 플로우가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입의류를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을 공식딜러와 비공식딜러로 나누어 소비자들이 인터넷에서 수입패션제품 구입 시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이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충동구매 성향과 플로우가 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으며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수입패션 제품을 공식딜러와 비공식딜러를 통해 수입된 패션 제품으로 각각 나누어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과 플로우가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는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딜러를 통해 수입된 패션제품 브랜드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될때 지각된 가치의 세 요인인 편의·효율가치, 정보적 가치, 구매 후 가치에 대해 충동구매성향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위와 같은 선행연구를 통해 공식·비공식 딜러를 통한 인터넷 쇼핑몰의 수입패션제품 구매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과 가치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인 충동구매 성향과 플로우가 영향을 주게 되며, 이 영향으로 구매행동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조정효과를 할 것으로 보고 요인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인터넷 쇼핑몰에서 수입패션제품 구매 시, 충동구매 성향이 높을수록 지각된 가치가 구매행동에 미칠 영향력은 수입패션의류의 유통경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H-1).
  • 가설2: 인터넷 쇼핑몰에서 수입패션제품 구매 시, 충동구매 성향이 낮을수록 지각된 위험이 구매행동에 미칠 영향력은 수입패션의류의 유통경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H-2).
  • 가설3: 인터넷 쇼핑몰에서 수입패션제품 구매 시, 플로우가 높을수록 지각된 가치가 구매행동에 미칠 영향력은 수입패션의류의 유통경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H-3).
  • 가설4: 인터넷 쇼핑몰에서 수입패션제품 구매 시, 플로우가 낮을수록 지각된 위험이 구매행동에 미칠 영향력은 수입패션의류의 유통경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H-4).
  • 둘째, 소비자들의 인터넷 이용 정도에 따라서 인터넷 쇼핑업체에 대한 구매행동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인터넷 쇼핑몰의 수입패션제품 구매 경험의 빈도나 양에 따라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인터넷 쇼핑업체에 대한 구매행동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 쇼핑에 대하여 충동구매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인터넷 쇼핑의 경우 배너광고나 다양한 판촉 유형은 오프라인 쇼핑에 비해 실행하기가 수월하기 때문에 충동구매성향이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인터넷 쇼핑 중 경험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생각이나 느낌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플로우의 개념은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라고 볼 수 있다.
김귀남은 화장품 전문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점포 이미지를 연구하였는데,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는가? 김귀남42)은 화장품 전문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점포 이미지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화장품 쇼핑몰 이미지 중 온라인 상품기획 이미지와 감각적 경험 이미지, 사이트 디자인 이미지는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가 플로우 상태를 경험할수록 정보탐색의도가 증가한다고 밝혔다.
최근 온라인상에서 수입패션브랜드 제품들을 취급하는 쇼핑몰이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병행수입제 실시 이후 국내에 들어오지 않은 미유통 브랜드나 제품, 품절되어 국내에서는 구입하기 어려운 상품도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구매가 가능 하다.14) 이와 함께 최근 온라인상에는 수입패션브랜드 제품들을 취급하는 쇼핑몰이 급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먼저 매스티지 현상이 일어나면서 한정된 계층에게만 소비가 이루어지던 수입패션브랜드가 대중화 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입패션브랜드들은 중간 유통 경로를 최소화하여 병행 수입 또는 기업의 자체적인 수입 유통망을 통해 일반 점포형 매장에서 구입하는 것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도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신수연, 나현정 (2003). 애고점포에 따른 명품브랜드 소비자의 쇼핑성향 및 점포속성 중요도. 복식문화연구, 11(4), pp. 474-486. 

  2.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2010). 패션마케팅 (제3 개정판). 서울: 수학사, pp. 489-497. 

  3. 수입명품시장 3조원대 넘어서 (2008. 5). 패션채널, pp. 56-61. 

  4. 남은하, 이진화 (2009).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위험지각이 구매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3 (11), pp. 1707-1718. 

  5. 이규혜, 최자영 (2007). 패션제품 인터넷 쇼핑 시 지각 되는 위험과 구매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태도의 역할. 복식문화연구, 15(3), pp. 472-482. 

  6. 나운규, 홍병숙 (2008).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과 신뢰가 지각된 유용성, 태도 및 패션상품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5), pp. 834- 845. 

  7. 안주아 (2008). 인터넷 쇼핑몰 브랜드 소비자의 구매경험에 따른 지각된 위험과 정보탐색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8(1), pp. 161-194. 

  8. 이승민, 구양숙 (2004). 온라인 소비자의 패션제품 구매 만족도의 영향변인 연구-인터넷 패션제품 이용경험과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2(7), pp. 103-118. 

  9. 이은진, 홍병숙 (2006). 서비스 품질 평가와 위험지각이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패션상품 구매의도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5), pp. 79-87. 

  10. 김한나 (2008). 인터넷 쇼핑 중 구매결정연기가 쇼핑감정과 쇼핑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저널, 10(1), pp. 133-160. 

  11. 권소영, 이진영, 오희선, 서용한 (2004).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촉각단서욕구가 의류상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구매경험, 지각된 위험의 조절효과.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pp. 618-624. 

  12. 송명화, 황진숙 (2008). 유행선도력에 따른 대행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2(2), pp. 179-189. 

  13. 김경희 (2008). 대학생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특성, 인터넷 패션 쇼핑몰 이미지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2), pp. 198-208. 

  14. 나현정 (2003). 수입명품브랜드의 유통 실태와 구매자의 태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24. 

  15. 박선희 (2000. 8. 11). 해외 브랜드 병행 수입 물량 는다. 어패럴뉴스. 자료검색일 2010. 10. 15, 자료출처 http://www.appnews.co.kr 

  16. 의류유통구조변화가 의류업체에 미치는 영향 (2008. 5). 패션채널, pp. 212-222. 

  17. Bauer, R. A. (1960). Consumer Behavior as Risk Taking in Hancock, R.S., ed. Dynamic Marketing of a Changing World,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 387-398. 

  18. Kaplan, L. B., Szybillo, G.J., & Jacoby. J. (1974).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in Product Purchases: a Across-Valid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3), pp. 287-291. 

  19. 류은정, 조오순 (2005). 인터넷 쇼핑가치가 의류 제품의 인터넷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쇼핑몰 속성 지각과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3(2), pp. 209-220. 

  20. 이미영 (2005). 인터넷 의류 쇼핑몰 점포 속성지각과 쇼핑가치가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pp. 155-165. 

  21. 이은진, 홍병숙 (2006). 인터넷 쇼핑에서의 플로우 경험과 실용적 가치 지각이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8), pp. 1188-1198. 

  22. 문태현 (2004). 인터넷쇼핑몰의 과다한 가격할인 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6-65. 

  23. Kashyap, R. & Bojanic, D. C. (2000). A Structural Analysis of Value, Quality, and Price Perceptions of Business and Leisure Traveler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9(1), pp. 45-52. 

  24. Zeithaml, V. A. (1984). Issues in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Consumer response to Price.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11, pp. 612-616. 

  25. Grewal, D. (1998). The Effects of Price-Comparison Advertising on Buyers' Perception of Acquisition Value, Transaction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62(2), pp.46-59. 

  26. Chang, T & A. Wildt (1994), Price,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1), pp 16-27. 

  27. 윤정근, 이영찬, 이영구 (2010).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의 지각된 가치 및 고객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경영학회지, 13(1), pp. 5-28. 

  28. 나윤규, 서현석 (2007).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과 의류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지각된 쇼핑가치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6), pp. 626-636. 

  29. Levy, M. (1976). Deferred Gratification and Social Clas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00(2), pp 123-135. 

  30. Solnick, J. V. (1980). An Experimental Analysis of Impulsivity and Impulse Control in Humans. Learning and Motivation, 11(3), pp. 61-77. 

  31. Weinberg, P & Gottwald, W. (1982). Impulsive Consu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1), pp 43-57. 

  32. 진현정, 이은영 (2009). 욕구인식과 인지적 노력에 근거한 의류상품 비계획구매 의사결정과정. 한국의류학회지, 33(10), pp. 1601-1610. 

  33. 박은주, 강은미 (2002). 의류제품의 충동구매행동과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한국마케팅과학회지, 9, pp. 1-23. 

  34. 안승철 (1996). 충동구매 소비자의 구매행위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pp. 1-19. 

  35. 문태현 (2004). 인터넷쇼핑몰의 과다한 가격할인 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8-55. 

  36. Hoffman, D. L. & Novak, T. P. (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 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 Journal of Marketing, 60 (July), pp. 50-68. 

  37. 김귀남 (2002). 인터넷 쇼핑몰의 점포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정보탐색의도와 플로우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4. 

  38. 김종호, 신용섭 (2004).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플로우와 전형성이 밀착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저널, 6(1), pp. 17-39. 

  39. 양윤, 백수원 (2003).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과 소비자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4(2), pp. 73-103. 

  40. 문태현 (2004). 인터넷쇼핑몰의 과다한 가격할인 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6-47. 

  41. 김선숙, 이은영 (2003).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의류상품 쇼핑행동 유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 pp. 1036-1047. 

  42. Hoffman, G. D. (1984). Our Competitor is Our Environment. Progress Grocer Value, March, pp. 28-32. 

  43. 김명옥 (2005).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플로우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20. 

  44. 두정완 (2003). Flow 개념과 인터넷상의 소비자 구매의도와의 관계 및 Flow유형에 따른 구매행동 차이 분석-. 경영학연구, 32(1), pp. 87-118. 

  45. 한상린, 박천교 (2000). Flow 개념을 이용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소비자 구매의도 결정요인 분석. 마케팅연구, 15(1), pp. 187-2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