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큰뱀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과 주름에 관련된 tyroinase,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4.70\;{\mu}g$/mL로 측정되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큰뱀무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ethyl acetate 분획 $0.22\;{\mu}g$/mL로,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큰뱀무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큰뱀무 추출물의 경우 $1{\sim}25 \;{\mu}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은 $10 \;{\mu}g$/mL 농도에서 ${\tau}_{50}$이 416.2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측정으로는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를 측정하였는데 ethyl acetate 분획에서 $95.23 \;{\mu}g$/mL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50 % 에탄올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이 각각 6.27, $4.31\;{\mu}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큰뱀무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큰뱀무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항산화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effects of Geum aleppicum Jacq. extracts on tyrosinase and elastase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G. aleppicum Jacq. extract ($4.70\;{\mu}g$/mL) showed the most prominent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 OH 등)가 생성되는 계에서의 이들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 가능한 큰뱀무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추출물(혹은 분획)의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활성과 free radical 소거활성,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에 대한 총항산화능, tyrosinase, elastase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큰뱀무의 전초는 어떤 외형적 특징이 있는가? )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몽고, 시베리아, 유럽에 분포한다. 전초는 오기조양초(五氣朝陽草)라고 하며, 같은 과 식물인 뱀무에 비해 작은 꽃자루에 퍼진 털이 있고 과탁의 털이 짧다[18]. 중국에 자생하는 큰뱀무의 성분으로는 benzoic acid, gallate acid, salicylic acid, vanilin, 3,4,5-trihydoxybenzoic dehyde, 3,4,5-triydoxybenzoic acid ethyl ester 등이 알려져 있으며[19], 큰뱀무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
피부에서 과잉으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여기서 말하는 활성산소종은 1O2 (singlet oxygen) 및 H2O2 (hydrogen peroxide)와 같은 몇 종류의 비라디칼들을 비롯하여 O2·- (superoxide anion radical)이나 · OH(hydroxy radical)과 같은 산소 라디칼들이 있고, 광범위한 범위에서는 생체성분과의 반응으로 유래된 ROO · (peroxyl radical), RO · (alkoxyl radical), ROOH (hydroperoxide) 및 HOCl (hypochlorous acid) 등을 포함한다[8,9].
중국에 자생하는 큰뱀무의 성분은 무엇인가? 전초는 오기조양초(五氣朝陽草)라고 하며, 같은 과 식물인 뱀무에 비해 작은 꽃자루에 퍼진 털이 있고 과탁의 털이 짧다[18]. 중국에 자생하는 큰뱀무의 성분으로는 benzoic acid, gallate acid, salicylic acid, vanilin, 3,4,5-trihydoxybenzoic dehyde, 3,4,5-triydoxybenzoic acid ethyl ester 등이 알려져 있으며[19], 큰뱀무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 큰뱀무는 동양에서 거풍제습, 활혈소종의 효능이 있고, 요퇴비통, 이질, 붕루백대(崩漏白帶), 질타손상, 인통 나력을 치료하는데 쓰인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 Y. Kang, M. O. Shin, J. H. Son, and S. J. Bae,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elastrus orbiculatus, J. Life Science, 19(1), 52 (2009). 

  2. C. K. Zhoh, B. N. Kim, S. H. Hong, and C. G. Han,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natural aromas for substitution of paraben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8(1), 166 (2002). 

  3. K. Shimizu, R. Kondo, K. Sakai, N. Takeda, and T. Nagahata, The skin-lightening effects of artocarpin on UVB-indused pigmentation, Planta Med., 68(1), 79 (2002). 

  4. B. A. Jukiewicz, D. L. Bissett, and G. R. Buettner, Effect of topically applied tocopherol on ultraviolet radiation-mediated free radical damage in skin, J. Invest. Dermatol., 104, 484 (1995). 

  5. D. L. Black, R. Chatterjee, and D. P. Hannon, Chronic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increase in skin iron and the photoprotective effect of topically applied iron chelators, Photochem. Photobio., 54(2), 215 (2008). 

  6. M. Kubo and H. Matsuda, Development studies of cuticle and medicinal drugs from natural sources on melanin biosynthesis, Fragrance J., 8, 48 (1995). 

  7. J. C. Fantone and P. A. Ward, Role of oxygen- 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nn. J. Path., 107, 397 (1982). 

  8. S. N. Park, Effect of natural products on skin cells: action and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5(2), 77 (1999). 

  9. C. Garrel and M. Fontecave, Analysis of free radicals in biological systems, eds. A. E. Favier, J. Cadet, B. Kalyanaraman, M. Fontecave, and J. L. Pierre, 21, Birkhauser-Verlag, Basel (1995). 

  10. N. Hogg, Analysis of free radicals in biological systems, eds. A. E. Favier, J. Cadet, B. Kalyanaraman, M. Fontecave, and J. L. Pierre, 21, Birkhauser- Verlag, Basel (1995). 

  11. J. L. Pierre, Analysis of free radicals in biological systems, eds. A. E. Favier, J. Cadet, B. Kalyanaraman, M. Fontecave, and J. L. Pierre, 21, Birkhauser- Verlag, Basel (1995). 

  12. G. W. Burton and K. U. Ingold, Vitamin 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physics organic chemistry to the exploration of its structure and function, Acc. Chem. Res., 19, 194 (1986). 

  13. K. Scharffetter-Kochanek, Photoaging of the connective tissue of skin: its prevention and therapy, antioxidants in disease mechanism and therapy, Advances in Pharmacology, 38, 639 (1997). 

  14. D. L. Bissett, R. Chatterjee, and D. P. Hannon, Chronic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increase in skin iron and the photoprotective effect of topically applied iron chelators, Photochem. Photobiol., 54, 215 (1991). 

  15. D. L. Bissett and J. F. McBride, Iron content of human epidermis from sun-exposed and non-exposed body sites, J. Soc. Cosmet, Chem., 43, 215 (1992). 

  16. C. Joshi, C. Carrarob, and A. Pathak, Involveme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oxidation of tyrosine and dopa to melanin and in skin tanning,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42(1), (1987). 

  17.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1), 75 (1997). 

  18. K. H. Bae,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J. S. Hwang, Kyo-Hak Publishing Co., Seoul (2000). 

  19. G. LI, X. Yang, Y. Wang, F. Mu, L. Dong, D. Chen, and H. LI, Isolation and structure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Geum aleppicum Jacq., Journal of Jilin University (Medicine Edition), 2, (2006). 

  20. Y. H. Choi, M. J. Kim, H. S. Lee, C. Hu, and S. S. Kwak, Antioxidants in leaves of Rosa rugosa, Kor. J. Pharmacogn., 28, 179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