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학공동연구를 통한 대학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University by the Lens of University-Industry Research Cooperation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6 no.2, 2011년, pp.97 - 113  

최윤수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  김도현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대학의 역할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국내의 대학들은 산업에서의 요구보다는 언론 및 여러 평가기관에서 실시하는 대학 평가 기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대학 평가 지표가 비록 널리 인정받는 기준임에는 틀림없지만 효용성에 대한 논란도 항상 공존해 왔다. 따라서 평가 기준에 초점을 맞춘 대학의 발전이 실질적인 대학 본연의 역할에 부합하는지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과 기업의 공동 연구를 통해 대학 연구의 산업 파급 효과를 측정하고자 시도한 해외 연구를 국내에 적용시켜 보고, 국내의 대학 평가 기준이 현재의 지표로 충분한 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같은 연구는 대학이 단지 연구의 주체가 아니라 창업을 비롯한 다양한 지식확산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하겠다. 본 연구는 해외에 발표된 연구 결과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에 발표된 연구 결과를 함께 분석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the role of universities in the modern society has long been a key agenda of discussion, Korean universities have recently tried to get good results in league tables, mostly published by major media. Although the criteria of evaluation are developed through benchmarking and thoughtful discu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학공동연구(UICs: University-industry co-authored research publications)를 통해 대학 연구 결과의 사회 파급 효과를 측정해 본 Tijssen et al.(2009)의 연구를 바탕으로 UICs 지표가 국내 대학의 연구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활용 될 수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Tijssen et al.(2009)의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들의 산학공동연구 논문을 분석하고자 한다.
  • 하지만 국내 대학의 경우 전체 350개 대학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의 수가 8개 밖에 되지 않아 국내 환경에서 산학공동연구를 통한 대학평가가 기존의 평가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는 검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일보, 경향신문, 조선일보에서 발표하는 국내 대학 종합 순위와 현행 지표 중 산학공동연구 지표와 가장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중앙일보의 교수연구 순위, 경향신문의 연구부문 순위 상위 30위에 올라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산학공동논문을 조사하여 기존의 순위와 비교하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학공동연구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가? • 연구에 포함되어 있는 기업의 대부분이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 위주로 구성될 수 있다. • 연구 성과는 대학 내의 인센티브 제도에 의해 타의로 진행된 연구일 수 있다. • 연구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이미 기업과의 계약이 체결 된 상태일 수 있다. • 공동 연구의 연구자들이 성과에 같은 비율로 기여했다고 볼 수 없다. • 한명의 저자가 두 개 이상의 기관에 소속되어 있을 수 있다.
전통적으로 대학은 어떤 역할을 가지고 있는가? 전통적으로 대학은 교육, 연구, 사회봉사의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은 국가 경제의 원동력으로서 이에 필요한 인력, 시설, 장비 등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노시평, 1997; Hahn, Lowry, Lynch, Shulenberger & Vaughn, 2009). 국내에서도 대학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학문연구와 인재양성의 자유를 인정하고 있다(김호진, 2001; 박종렬·배호순·이영호, 2009; 주삼환, 2006).
정부는 국가 연구・개발(R&D)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연구성과의 관리・활용에 대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사업의 목표는 무엇인가? 지난 2006년 이후, 정부는 국가 연구・개발(R&D)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연구성과의 관리・활용에 대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특허청, 2009). 이 사업의 목표는 OECD 국가 중 중위권에 머물고 있는 우리나라의 지식창출 수준을 끌어올리는데 있다. 사업 내용에는 대학 내 TLO(Technology Licensing Office, 기술이전전담조직) 인력의 질을 높이고, 성과 확산이 우수한 기관을 발굴하겠다는 목표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고도화 된 지식기반 경쟁 시대에서 대학의 지식 창출과 산업으로의 확산 역할이 국가 경쟁력을 키우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할 것이라는 정부의 기대를 나타내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