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nsgenic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expressing the bar gene inserted in the plant genome has been generated previously through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The GM zoysiagrass (event: JG21) permits efficient management of weed control of widely cultivated zoysiagrass...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km에서 5 km까지 단계적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JG21 들잔디가 환경방출된 1년차에 반경 500 m 이내의 동종 및 근연종에 대해서 유전자 이동가능성을 조사한다. 조사대상 지역 내에서 대상식물 체가 없는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식물체를 이식하여 보충하고, 종자수집 및 발아된 식물체에 제초제살포 시험을 통해서 유전자이동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 최종 선발된 제초제저항성 들잔디를 실용화하기 위한 환경위해성평가 재료는 도입 유전자의 복제수가 1 copy 수를 갖는 식물체이다. 다음은 최종 선발된 제초제저항성 들잔디 (이벤트명: Jeju Green21, 이하 JG21)의 분자생물학적 검정을 통해서 확인된 정보들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1987)가 보고되었고, JG21로부터 새롭게 생성된 단백질이 알레르기 반응성을 유발한다는 증거는 없다. 따라서 JG21 들잔디에서 발현되는 PAT 단백질의 알레르기 유발가능성 대해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FDA, FAO/WHO의 프로토콜을 토대로 PAT 단백질 염기 서열의 알레르겐 상동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PAT 단백질의 염기서열은 알려진 알레르겐의 염기서열과 35% 이하의 낮은 상동성을 보였고, 연속된 8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도 일치하지 않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초제저항성 들잔디의 위해성심사 승인을 위한 환경위해성평가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초제 저항성 들잔디의 환경위해성평가 내용인 도입 유전자의 특성 및 주변염기서열 검정, 농업적 특성 검정, 유전자이동성 검정, 잡초화 가능성 검정, 비표적생물체에 대한 위해성 검정, 인체 및 동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와 위해요소 억제 방안 등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그러나 개발된 GM 들잔디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생물학적 안전성평가를 거쳐 상업적 재배 승인을 얻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초제저항성 들잔디의 위해성심사 승인을 위한 환경위해성평가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초제 저항성 들잔디의 환경위해성평가 내용인 도입 유전자의 특성 및 주변염기서열 검정, 농업적 특성 검정, 유전자이동성 검정, 잡초화 가능성 검정, 비표적생물체에 대한 위해성 검정, 인체 및 동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와 위해요소 억제 방안 등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주변 비표적 생물체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JG21이 자연 생태계의 미생물 및 곤충의 분포변화와 새로운 종을 생성하여 교란을 시키는지 분석하였고, 유전자 전이여부를 확인하여 생태계의 기본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아직까지 주변 미생물로의 유전자 전이와 미생물의 상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고, 생태계의 가장 하위계층에 대한 안전성평가를 통해서 인체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주기별로 환경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 이러한 GM 작물의 재배면적 증가는 재배포장 외부로 비의도적 방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환경위해성평가에서는 유전자변형 작물의 비의도적 방출에 대한 주기 적인 환경모니터링과 위해요소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 안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JG21의 비의도적 방출가능성을 탐지하기위하여 점진적 확산방법 이용하여 격리포장 외부의 자연환경에 대한 환경모니터링을 수행 하였다. JG21의 환경모니터링은 재배시험 포장으로부터 반경 3 km이내 자연환경의 일반 들잔디에 대해서 유전자 이동 가능성을 검정하였다 (Fig.
  • 이러한 이유는 국내 GM 작물의 개발 기술은 세계적으로 동등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나, GM 작물에 대한 환경위해성평가 기술 및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JG21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는 국내 GM 작물의 환경위해성평가 기술 확보를 위한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세계적인 추세에 있는 GM 작물의 개발과 환경위해성 평가는 21세기 신품종 육성 및 상품화에 있어서는 반드시 거쳐야할 관문이다.
  • 본 연구의 JG21의 표적 생물체는 재배지에서 발생한 대상 잡초이며, 비표적 생물체는 곤충과 미생물이다. 비표적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평가는 JG21 과 일반 들잔디 재배포장에서 서식하고 있는 곤충 및 미생물의 분포와 변이종의 출현 등을 조사하였고, JG21에 도입된 유전자가 토양 및 곤충장내 미생물로의 수평적 유전자 전이 (Horizontal Gene Transfer)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토양 및 곤충 장내미생물의 분포 조사는 JG21과 일반 들잔디 포장에서 서식하는 토양 미생물과 들잔디 잎을 먹고 사는 대표적 곤충인 풀무치 (Locusta migratoria)를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 주변 비표적 생물체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JG21이 자연 생태계의 미생물 및 곤충의 분포변화와 새로운 종을 생성하여 교란을 시키는지 분석하였고, 유전자 전이여부를 확인하여 생태계의 기본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 GM작물의 실용화를 위한 재배 현황은 어떠한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 육종에 의한 작물개량과 재배기술의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고,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갖는 기능성 GM (Genetically Modified) 작물의 개발 및 실용화 추진이 요구된다. 전세계적으로 GM작물의 실용화를 위한 재배는 1996년 상업적 재배가 시작된지 15년이 지난 2010년 현재 GM 작물의 재배면적이 1억4800만 ha에 이르고 있으며 (ISAAA 2011), GM 토마토 (Flavr Savr)가 상업적으로 재배 승인된 이후 2010년현재까지 22작물의 124개 품목에 대해서 상업적 재배가 승인되었다 (ISAAA 2011). 국내의 경우 GM작물의 상업적 재배승인은 단 한건도 없는 실정이나, 사료용 및 가공용 LMO 작물의 수입은 위해성심사를 통해서 118개 품목이 승인되었다.
국내에서 GM작물의 실용화를 위한 환경 위해성평가 시험은 무엇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고 있는가? 국내의 경우 GM작물의 상업적 재배승인은 단 한건도 없는 실정이나, 사료용 및 가공용 LMO 작물의 수입은 위해성심사를 통해서 118개 품목이 승인되었다. 국내에서 GM작물의 실용화를 위한 환경 위해성평가 시험은 2010년 현재 약 76건이 보고되었고, 제초제저항성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를 비롯한벼, 고추, 콩 등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Lee SW 2010). 최근 제초제저항성 들잔디는 국내 최초로 상업적 재배를 시도하고자 약 7년간 환경위해성평가를 수행하 였고, 2010년 11월에 위해성심사를 농촌진흥청에 신청 하였다.
기존의 교배육종, 돌연변이 육종과 생명공학을 이용한 기능성 들잔디 품종개발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들잔디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가 원산지이나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었고, 국내 자생 들잔 디의 경우 일본 및 중국과 차이가 있어 한국잔디 (Zoysia koreana)로 명명되기도 한다. 들잔디의 이용은 공원, 골프장, 축구장 등과 같은 스포츠산업과 도로 비탈면, 댐, 간척지 등의 토양침식방지를 위한 녹화산업에 매년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잔디관련 사업규모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또한 골프장 및 잔디재배 지역의 증가는 재배관리 시에 잡초방제 및 병해충방제를 위한 농약 사용량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으며, 농약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시키고 있다 (Choi et al. 1990; Schleich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ae TW, Lee HY, Ryu KH, Lee TH, Lim PO, Yoon PY, Park SY, Riu KZ, Song PS, Lee YE (2007) Evaluation of horizontal gene transfer from genetically modified zoysiagrass to the indigenous microorganisms in isolated GMO field. Korean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34:75-80 

  2. Bae TW, Vanjildorj E, Song SY, Nishiguchi S, Yang SS, Song IJ, Chandrasekhar T, Kang TW, Kim JI, Koh YJ, Park SY, Lee J, Lee YE, Ryu KH, Riu KZ, Song PS, Lee HY (2008)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engineered herbicidetolerant Zoysia japonica. J Environ Qual 37(1):207-18 

  3. Bae TW, Kim J, Song IJ, Song SY, Lim PO, Song PS Lee HY (2009) Production of unbolting lines through gamma-ray irradiation mutagenesis in genetically modified herbicide-tolerant Zoysiajaponica. Breeding Science 59:103-105 

  4. Choi ML, Kim DH (2000)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Korean lawngrass (Zoysia japonica). J Kor Soc Hort Sci 41: 455-458 

  5. Choi JS, Fermanian TW, Wehner DJ, Spomer LA (1990) Effect of temperature, moisture and soil texture on DCPA degradation. Agron J 80(1):108-113 

  6. Choi JS, GM Yang (2004) Development of new hybrid cultivar 'Senock' in Zoysia grass. Kor Turfgrass Sci 18:1-12 

  7.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2003) Report on the 4th session of the Codex ad hoc intergovernmental task force on foods derived from biotechnology (ALINORM 03/34A). In Codex principles and guidelines on foods derived from biotechnology. 26th session, Rome, Italy. June-7 July, 2003. Joint FAO/WHO Food standards program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8. Dunfield KE, Germida JJ (2001)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rhizosphere and root interior of field- grown genetically modified Brassica napus. FEMS Microbiol. Ecol 38:1-9 

  9. FAO/WHO (1996) Biotechnology and food safety. Report of a joint FAO/WHO consultation.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Food and Nutrition Paper. Rome, Italy 

  10. FDA (1992) Statement of policy: foods derived from new plant varieties. Federal Register 57:22984-23005 

  11. Ge Y, Norton T, Wang ZY (2006) Transgenic Zoysia (Zoysia japonica) plants obtained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Plant Cell Rep 25:792-98 

  12. Gyamfi S, Pfeifer U, Stierschneider M, Sessitsch A (2002) Effects of transgenic glufosinate-tolerant oilseed rape (Brassica napus) and the associated herbicide application on eubacterial and Pseudomonas communities in the rhizosphere. FEMS Microbiol Ecol 41:181-190 

  13. Herouet C, Esdaile DJ, Mallyon BA, Debruyne E, Schulz A, Currier T, Hendrickx K, Van der Klis R, Rouan D (2005) Safety evaluation of the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roteins encoded by the pat and bar sequences that confer tolerance to glufosinate-ammonium herbicide in transgenic plants. Regul. Toxicol Pharmacol 41:134-149 

  14. Hoffmann T, Golz C, Schieder O. (1994) Foreign DNA sequences are received by a wild-type strain of Aspergillus niger after co-culture with transgenic higher plants. Current Genetics 27: 70-76 

  15. Honda M, Kono M (1963) 芝の形態?びに解剖學的硏究. 特に日本芝 Zoysia japonica Steud. について. 千菓大園藝學部學術報告 (11):1-22 

  16. Hong KH, Yeam DY (1985) Studies in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korean lawngrasses (Zoysia spp.). J Kor Soc Hort Sci 26:169-178 

  17. Inokuma C, Sugiura K, Cho C, Okawara R, Kaneko S (1996)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plasts of Japanese lawngrass. Plant Cell Rep 15:737-7741 

  18.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from website. Available from: (http://www.isaaa.org and http://www.isaaa.org /gmapprovaldatabase) 

  19. Kang HG, Bae TW, Jeong OC, Sun HJ, Lim PO, Lee HY (2009) Evaluation of Viability, Shedding Pattern, and Longevity of Pollen from Genetically Modified (GM) Herbicide-tolerant and Wild-type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J plant Biol 52:630-634 

  20. Kim HK, Kim KS, Joo YK, Hong KH, Kim KN, Lee JP, SY Mo, Kim DH (1996) Variati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accessions of Zoysia species and their hybrid lines. Kor Turfgrass Sci 10:1-11 

  21. Kim YL, Lee SK, Oh SH (1987) A study of allergy skin tests with Korean pollen extracts. Yonsei Medical Journal 28:112-118. 

  22. Kim YT, Park BK, Hwang EI, Yim NH, Lee SH, Kim SU (2004) Detection of recombinant marker DNA in genetically modified glyphosate-tolerant soybean and use i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J Microbiol Biotechnol 14:390-394 

  23. Kitamura F (1967) 芝生と芝生用植物, 加島喜代志, 東京, pp 45-65 

  24. Lee BK,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maize in cultivated fields and along the transportation routes of the Incheon Port in South Korea 

  25. Lee MS (1988) 잔디 밭 잡초의 분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Kor Turfgrass Sci 2:59-64 

  26. Lee YE, Yang SH, Bae TW, Kang HG, Lim PO, Lee HY (2011) Effects of field-grown genetically modified zoysia grass o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J. Microbiol. Biotechnol. 21(4):333-340 

  27. Lee SW (2010) 국내 외 GM 식물의 개발 및 산업화 현황. Kor J Plant BioTech 37(3):305-312 

  28. Lei Z, Xing WD, Rong HF, Qiu WH, Ma CX (2004) Optimization of major factors for tissue culture and Agrobacteriummediated genetic transformation of Japanese lawngrass (Zoysia japonica). Acta Prataculturae Sinica 13:100-105 

  29. Li RF, Wei JH, Wang HG, He J, Sun ZY (2006) Development of highly regenerable callus lines and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Chinese lawngrass (Zoysia sinica Hance) with a cold inducible transcription factor, CBF1. Plant Cell Tissue Organ Cult 85:297-05 

  30. Liu YG, Mitsukawa N, Oosumi T, Whittier RF (1995) Efficient isolation and mapping of Arabidopsis thaliana T-DNA insert junctions by thermal asymmetric interlaced PCR. Plant J 8:457-463 

  31. Lim SH, Kang BC, Shin HK (2004) Herbicide Resistant Turfgrass (Zoysia japonica cv. 'Zenith') Plants by Particle bombardment- mediated Transformation. Kor Turf Sci 34(5):221-229 

  32. Mohr KI, Tebbe CC (2006) Deversity and phylotype consistancy of bacteria in the guts of three bee species (Apoidea) at an oilseed rape field. Environmental Microbiology 8:258-272 

  33. Oh KS, Oh BY, Lee YK, Lee BM, Lee JG (2000) 제초제 Dicamba 의 토양미생물 및 잔디 효소에 의한 분해. 한국농약과학회지 4: 26-30 

  34. OECD (2001) Test No. 420: Acute oral toxicity. Fixed dose procedure.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17 December 2001, pp 1-14 

  35. Park KW, Lee BK, Kim CK, Kim DY, Park JY, Ko EM, Jeong SC, Chio KH, Woon KW, Kim HM (2010)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at a grain receiving port and along transportation routes in the Republic of Korea. Food Control (21)4:456-461 

  36. Richardson AO, Palmer JD (January 2007). "Horizontal Gene Transfer in Plants".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58(1): 1-9 

  37. Richman JR, Watrud LS, Lee EH, Burdick CA, Bollman MA, Storm MJ, King GA and Malllory-Smith C (2006) Establishment of transgenic herbicide-resistant creeping bentgrass (Agrostis stolonifera L.) in onoagronomic habitats. Molecular Ecology (in press) 

  38. Schleicher LC, Shea PJ, Stougaard RN, Tupy DR (1995) Efficacy of dissipation of dithopyr and pendimethalin in perennial ryegrass turf. Weed Science 43(1):140-148 

  39. Schmalenberger, A, Tebbe CC (2002)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rhizosphere of a transgenic, herbicideresistant maize (Zea mays) and comparison to its non-transgenic cultivar Bosphore. FEMS Microbiol Ecol 40:29-37 

  40. Schmidt JO (1994) Toxinology of venoms from the honeybee genus apis. Toxicon 33:917-927 

  41. Sjoblad R, McClintock JT, Engler R (1992) Toxicological considerations for protein components of biological pesticide products. Regul Toxicol Pharmacol 15:3-9 

  42. Sun HJ, Kang HG, Bae TW, Cho TG, Kim J, Lim PO, Riu KZ, Lee HY (2010) Digestibility assessment of the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AT) protein in the leaf tissue powder of transgenic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in simulated gastric fluid (SGF) J Plant Biol 53:113-120 

  43. Thomas K, Aalbers M, Bannon GA, Bartels M, Dearman RJ, Esdaile DJ, Fu TJ, Latt CM, HadWeld N, Hatzos C, HeXe SL, Heylings JR, Goodman RE, Henry B, Herouet C, Holsapple M, Ladics GS, Landry TD, MacIntosh SC, Rice EA, Privalle LS, Teiner HY, Teshima R, Thomas K, Van R Ree M Woolhiser, Zawodny J (2004) A multi- laboratory evaluation of a common in vitro pepsin digestion assay protocol used in assessing the safety of novel proteins. Regul Toxicol Pharmacol 39:87-98 

  44. Toyama K, Bae CH, Kang JG, Lim YP, Adachi T, Riu KZ, Song PS, Lee HY (2003) Production of herbicide-tolerant zoysiagrass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Mol Cells 16(1):19-27 

  45. Watrud LS, Henry Lee E, Fairbrother A, Burdick C, Reichman JR, BollmanM, Storm M, King G, Van de Water PK (2004) Evidence for landscape-level, pollen-mediated gene flow from genetically modified creeping bentgrass with CP4 EPSPS as a marker. PNAS 101: 14533-14538 

  46. 戶刈義次 (1960) 雜草防除의 新技術, 日本富民協會, pp 13-18 

  47. Yu TY, Yeam DY, Kim YJ, and Kim SJ (1974) Morphological studies on Korean lawn grasses (Zoysia spp.). J Kor Soc Hort Sci 15:79-91 

  48. Zhang L, Wu D, Zhang L, Yang C (2007)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Japanese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containing a synthetic cryIA(b) gene from Bacillus thuringiensis. plant Breeding 126 (4):428-4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