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 진주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 A Case Study of Jinju City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4 no.4, 2011년, pp.92 - 101  

조정현 (정림이엔씨) ,  이창학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백태경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 구도심부 상업지역의 공동화로 인한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현 시점에서 진주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의 범위는 구득자료의 한계와 연구의 목적을 감안하여 진주시의 동지역으로 한정하였다. 진주의 도시공간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다변량해석(Multivariate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7개의 지역(중심지, 공업지, 일반주거지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진주시는 장래 낙후된 도시이미지의 쇄신, 서부경남의 중심도시로의 부활을 위해서는 앞서 지역별 현상을 감안하여 도심 노후지역의 전면적인 도심재개발, 재건축사업 및 재정비촉진사업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상평공단 이전 및 초장동 일원과 연계한 신도시 건설, 현재 계획 중인 혁신도시의 차질 없는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urban structure of Jinju city where urban doughnut phenomena, development of new town at suburban zone and establishment of innovation city appear. The sphere of this study was set limit to Jinju's dong area due to taking the limitation of data. Multivariate analysis was d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손세욱과 유상혁(2000)은 대전시 공간구조의 변화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도시의 구성요인인 인구 · 고용 · 지가 · 개발밀도를 사용하여 도시의 성장단계, 밀도 및 밀도경사분석 그리고 중심지 변화 및 식별 등의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전시의 도시성장 및 도시공간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효율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가를 규명하였다. 또한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따른 중심지체계는 어떤 모습으로 바뀌어 가는지 그 중심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공간구조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통계자료(통계연보, 과세대장, 인구주택 총조사, 사업체기초통계조사) 등을 속성자료로 활용하여 GIS DB를 구축함과 동시에 현재의 진주시 내부의 공간구조를 설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대전시의 도시성장 및 도시공간구조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효율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가를 규명하였다. 또한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따른 중심지체계는 어떤 모습으로 바뀌어 가는지 그 중심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 이에 따라 중앙동을 비롯한 기존 구 도심부 상업지의 공동화로 인한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최근의 도시균형발전 움직임과 양호한 자연환경, 광역교통망의 형성으로 신시가지의 개발이 활발하다.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진주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살펴보고 밝혀 지역개발사업 및 도시관리계획 시 지역현황을 파악하는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며, 연구과정은 그림 2와 같다.
  • 군집분석은 대상이 가지고 있는 속성 가운데 유사한 성향을 바탕으로 동질적 군집으로 묶어 집단 내에 공통된 특성을 찾아내어 지역을 구분할 수 있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의 결과를 유형화하기 위하여 요인부하량을 대상으로 클러스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간구조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나? 도시공간구조는 도시고유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유사도시와의 성격비교, 도시화 정도, 도시경제, 사회문화의 발달 정도, 도시시설물의 적정성, 등 연구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관관계분석은 무엇인가? 상관관계분석은 두 변수간 상호 선형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어느 정도의 밀접성을 가지면서 변화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변수상호간에 상관관계가 높을 경우 다중공선성 문제를 야기하고 데이터의 왜곡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다변량해석을 사용하여, 진주의 도시공간구조를 분석한 결과는? 진주시의 제 1지역(중앙동)과 제 7지역(기존도심 다수지역)은 도시의 계획적 개발에 있어 시발지점으로 중앙동이 일부 상업중심지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으나 중앙동 1개동을 제외하고 인근상업지역의 쇠퇴에 따라 중심업무지구(CBD) 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원인으로 저층고밀도의 개발이 완료된 지 오래된 구시가지가 새로운 도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저가의 토지를 이용한 도심의 외연확산 및 기존 주거기능의 침투에 따른 토지이용혼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 7지역의 외부 주거지역 또한 노후화 및 상업기능의 침투로 주거지로서의 매력이 낮은 편이며 도시기반시설 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의 경우 향후 CBD로의 중심성 회복이 필요한 지역으로서 도심재개발, 도시재생사업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제 2지역인 초장동은 현재 도시교외지역으로 농경지 특성을 보이고 있으나 상위계획에서 주거기능을 강화하고 있어 새로운 신시가지 개발이 예상되는 지역이다. 제 4지역인 상대2동과 상평동은 상평공단이 입지한 관계로 공업지의 특성인 제조업생산액, 2차산업 종사자수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현재의 용도지역과 유사성을 보였으나, 상위계획인 기본계획에서 상평중생활권의 중심지로 상업·업무·주거·문화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어 향후, 공단이전이 불가피해 보이며 전면 재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 5지역은 최근 택지개발사업으로 개발이 완료된 평거동 지역으로 신흥주거지역답게 기반시설이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제 3지역인 가호동도 학교요인이 강한 신개발 지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제 6지역인 망경, 이현, 판문동의 경우도 넓은 배후산지를 끼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존도심부인 제 7지역과 특별한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들 지역 또한 재개발, 재건축사업을 통한 도심회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진주시는 향후 낙후된 도시이미지의 쇄신, 서부경남의 중심도시로의 부활을 위해서는 앞서 지역별 현상을 감안하여 도심지 노후지역의 전면적인 도심재개발, 재건축사업 및 재정비 촉진사업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상평공단 이전 및 초장동 일원과 연계한 신도시 건설, 현재 계획 중인 혁신도시의 차질 없는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구자훈. 1998. 지형수치지도를 활용한 표준분석구역 설정 및 토지이용 정보체계의 구축방법론. 한국GIS 학회지 6(2):169-182. 

  2. 김남린. 2007. 도시공간구조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강릉시를 사례로. 상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0쪽. 

  3. 김영, 하청현, 안정근. 2004.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이용한 지방 연담도시의 도시공간구조 비교분석 및 상호작용분석. 국토계획 39(6):7-22. 

  4. 김진유. 2005. 주택가격변동으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4쪽. 

  5. 노재윤. 2007. 도시공간구조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쪽. 

  6. 도영준. 2000. 광주시 도시공간구조의 형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4쪽. 

  7. 박연수. 1997. 우리나라의 도시성장 결정요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8쪽. 

  8. 박희윤. 2000. 개항 이전 마산시 도시형성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7쪽. 

  9. 백태경. 2008. GIS DB를 이용한 용도지역과 토지이용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 118-126. 

  10. 손세욱, 유상혁. 대전시 중심지 식별과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5 (3):51-66. 

  11. 유장근, 허정도, 조호연. 2003. 대한제국(大韓帝國) 시기(時期) 마산포(馬山浦) 지역(地域)의 러시아 조차지(租借地) 성립 과정과 각국공동 조계(各國共同租界) 지역의 도시화(都市化).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Vol.16. 46쪽. 

  12. 조정현. 2009. 진주시의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쪽. 

  13. 진주시. 2008. 2025년 진주시 도시기본계획. 

  14. 최영준. 2001. 대전시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0쪽. 

  15. 최호현. 2008. 울산시 공간구조 변화의 시기 구분과 특성. 울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4쪽. 

  16. Baek, T.K. and T. Chishaki. 1999. GIS デ? タを用いた中高層階住居?用地?の指定のため の地?選定とその評?手法の開?に?する?究 -東京都文京?をケ?ススタディとして.日本都市計??? 都市計? 48(1):47-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