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mixed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herbs (MIX) on oxidation/reduction reaction-related and aging-related enzyme in vitro. Methods : We performed MTT assay,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inhibition assay, tyrosinase inh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콜라겐 분해에 따른 감소는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결합조직이 파괴되어 주름과 탄력저하, 피부 처짐의 원인으로 나타난다22). 50% 에탄올 복합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50% 에탄올 복합추출물은 1 mg/ml 농도에서 97%이상의 collagenase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 mg/ml 농도에서는 100%에 가까운 collagenase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 최근 들어, 천연 한방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한방화장품 개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소재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牧丹皮, 芍藥, 甘草, 肉桂, 魚腥草 복합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NIH3T3 마우스의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 항산화효과 및 노화관련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처럼 단일 소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만 복합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복합추출물인 牧丹皮, 芍藥, 甘草, 肉桂, 魚腥草 복합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를 연구하여 기능성 한방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스트로겐은 피부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피부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시간 의존적인 내인적 노화와 주위환경, 특히 자외선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외인적 노화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에스트로겐은 자연노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진피에 있는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며, 콜라겐 대사에 관여해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조절하여 콜라겐 분해를 억제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중지되어 내분비성 노화가 촉진 된다1).
피부노화를 완화할 수 있는 천연소재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외선 노출로 인해 피부는 항산화효소와 글루타치온,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유비퀴놀과 같은 항산화제의 감소로 과잉의 유해한 활성산소 종(ROS;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성한다. 자외선으로 생성된 활성산소 종은 실질적으로 피부의 효소 및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체계를 손상시키며 산화적 스트레스는 지질과 산화, 단백질산화, 피부의 염증반응 유발, 피부면역기능 억제, 세포성분의 손상을 야기 시키고 광노화를 촉진시킨다. 광노화를 유발시키는 활성산소종은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고 주름을 유발시키는 원인 물질로 받아들여지고 있다4,5). 따라서 피부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항산화제,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MMPs (matrix-metalloproteinases)의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노화를 완화할 수 있는 천연소재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피부노화는 어떻게 나눌수 있는가? 피부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시간 의존적인 내인적 노화와 주위환경, 특히 자외선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외인적 노화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에스트로겐은 자연노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진피에 있는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며, 콜라겐 대사에 관여해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조절하여 콜라겐 분해를 억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Uitto J. Connective tissue biochemistry of the aging dermis : Age-related alterations in collagen and elastin. Dermatol. Clin. 1986 ; 4 : 433-46. 

  2. Lee KK, Kim JH, Cho JJ, Choi JD. Inhibitory effect of 150 plant extracts on elastase activity and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Inter. J. Cosm. Sci. 1999 ; 21 : 71-82. 

  3. Chung JH. Photoaging in Asians.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2003 ; 21 : 610-3. 

  4. Garrel C, Fontecave M. Nitric Oxide. Chemistry and Biology Analysis of Free Radicals in Biological Systems. 1995 : 21-35. 

  5. Hogg N. Pro-oxidant and antioxidant effects of nitric oxide. Analysis of Free Radicals in Biological Systems. 1995 : 37-49. 

  6. Ando S, Ando O, Suemoto Y, Mishima Y.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genic inhibitor. J. Invest. Dermatol. 1993 ; 100 : 150-5. 

  7. Kim JY, Yang HJ, Lee KH, Jeon SM, Ahn YJ, Won BR, Park SN.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I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007 ; 33 : 165-73. 

  8. Park JH, Shin YG, Baek SK, Lee UK, Chung H, Park YI.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herbal drugs. Yakhak Hoeji. 1997 ; 41 : 518-23. 

  9. Boo YC, Jeon CO. Antioxidants of Theae Folium and Moutan cortex. J. Korean Agric. Chem. biotechnol. 1993 ; 36 : 326-31. 

  10. Kim SJ, Kweon DH, Lee JH.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6 ; 38 : 584-8. 

  11. 生藥學硏究會. 現代生藥學. 學窓社. 2003 ; 154. 

  12. Kim Sk, Ryu SY, Choi UK, Kim YS. Cytotoxic alkaloids from Houttuynia cordata. Arch. Pharm. Res. 2001 ; 24 : 518-21. 

  13. Song JH, Kim MJ, Kwon HD, Park IH.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al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root. J. orean Soc. Food Sci. Nutr. 2003 ; 32 : 1053-8. 

  14. Lee YJ, Shin DH, Jang YS, Sin JH. Antioxidative effects of fractions from sequential ethanol extracts of Houttuynia cordata, Portulacaceae and sesame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3 ; 25 : 683-6. 

  15. Hwang J, Lee S, Lee JT, Kwon TK, Kim DR, Kim H, Park HC, Suk K. Gangliosides induce autophagic cell death in astrocytes. Br J Pharmacol. 2010 ; 159 : 586-603. 

  16. Wunsch E, Heindrich HG.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Hoppe-Seyler's Physiol Chem. 1963 ; 333 : 149-51. 

  17. Cannell RJP, Kellan SJ, Owsianks AM, Walker JM. Results of a large scale scrr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1988 ; 54 : 10-4. 

  18. Yagi A, Kanbara T, Morinoby N.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1986 ; 3981 : 517-9. 

  19.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 181 : 1199-200. 

  20.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1975 ; 47 : 468-74. 

  21. Stirpe F, Della Corte E.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type D) to oxidase(type O). J Biol Chem. 1969 ; 244(14) : 3855-63. 

  22. Nagase H, Woessner JF. Matrix metalloproteinases. J Biol Chem. 1999 ; 274 : 21491-4. 

  23. Balo J, Banga I. The elastolytic activity of pancreatic extracts. J Biochem. 1950 ; 46 : 380-7. 

  24. Park YJ, Sim SS. Effect of hot-water extract from Laminnaria japonicus on production of melanine and inflammatory mediators. The Graduate School of Food & Drug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2004. 

  25. Prota G.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tol. 1990 ; 75 : 122-7. 

  26. Luciana L, Mensor FS, Menezes GG, Leitao AS, Reis TC, Santos D, Cintia SC, Suzana GL. Screeing of Brazilian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by the use of DPPH free radical method. Phytother. Res. 2001 ; 15 : 127-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