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백추출물 및 분획물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및 Elastase 억제 효과
Nitric Oxide Production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 and Its Fraction from Phellodendri Cortex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5 no.1, 2017년, pp.22 - 28  

엄지나 ((주)지에프씨) ,  민진우 ((주)지에프씨) ,  주광식 ((주)지에프씨) ,  강희철 ((주)지에프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o date, the anti-wrinkle efficacy of phellodendri cortex has not been defin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of 80% methanol extract of Phellodendri cortex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Methods and Results: We pre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황백나무 추출물과 약리성분 berberine, palmatine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다양하게 보고되어왔으며, 특히 염증 억제 활성에 관련된 보고가 다양하게 이루어진 바 있으나, 황백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주름 억제 효과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백나무에 이미 알려진 염증 억제 활성과 더불어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황백을 이용하였다. 황백을 80% methanol 추출한 뒤, ethyl acetate 용매 분획하여 염증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지표 물질 berberine 및 palmatine과 그 활성을 비교하였고 TLC를 통하여 황백 추출물과 분획물에서 지표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백은 무엇인가? 황백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은 운향과 (Rut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인 황백나무 껍질을 벗긴 수피를 말려 약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전 지역을 비롯한 중국, 일본에 분포하여 자생되고 있다 (Lee, 1993). 황백은 신라 시대에 처음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한국의 전통 한약재로서 해독, 해열, 황달, 설사, 요도관 및 피부 감염증, 무릎과 발의 통증에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한약재로 황백의 효능은? 황백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은 운향과 (Rut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인 황백나무 껍질을 벗긴 수피를 말려 약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전 지역을 비롯한 중국, 일본에 분포하여 자생되고 있다 (Lee, 1993). 황백은 신라 시대에 처음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한국의 전통 한약재로서 해독, 해열, 황달, 설사, 요도관 및 피부 감염증, 무릎과 발의 통증에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여러 연구에 의해 황백나무의 피부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 (Lee et al.
황백의 약리성분은? , 2003)이 보고되었으며, 구강균 (Kwak, 2004)에 대한 저해 효과가 확인된 바 있다. 약리 성분으로 berberine, palmatine, jatrorrhizine, phellodendrine, menisperine, candicine, magnoflorine 등 여러 종류의 alkaloid를 함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주성분은 berberine으로 이와 같은 유효성분들의 분리에 대한 연구는 여러 차례 이루어진 바 있다 (Kim et al., 2013a, 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ffuso F, Mercurio V, Fazio C and Fazio S. (2010).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effects of berberine. World Journal of Cardiology. 2:71-77. 

  2. Cannell RJ, Kellam SJ, Owsianka AM and Walker JM.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ica. 54:10-14. 

  3. Cho EA, Cho EH, Choi SJ, Park KH, Kim SY, Jeong YJ, Ku CS, Ha BJ, Jang DI and Chae HJ. (2011). Screening of antiwrinkle resource from herbal medicinal extracts and stability test of its cosmetic produ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19:126-135. 

  4. Chung SR, Choi MW, Park ID and Kim KH. (2010). Effect of berberine on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in mice. Journal of Life Science. 20:1276-1280. 

  5. Creasey WA. (1979). Biochemical effects of berberine. Biochemical Pharmacology. 28:1081-1084. 

  6. DeWitt DL, Rollins TE, Day JS, Gauger JA and Smith WL.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56:10375-10382. 

  7.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and Tannenbaum SR.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ytical Biochemistry. 126:131-138. 

  8. Ikram M. (1975). A review on the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genus Berberis. Planta Medica. 28:353-358. 

  9. Jung HK, Jang JH, Ko JH, Kang BM, Yeo JH, Cho JH, Cho HW, Bean CG, Kim SC and Jung WS. (2014).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Korean native Dendrobium moniliforme methanol extract.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22:331-338. 

  10. Kim JB, Shin WS, Kwon YI and Bang BH. (2013a).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bacterial components in cortex phellodendri.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6:547-552. 

  11. Kim KH, Ahn SC, Lee MS, Kweon OS, Oh WK, Kim MS, Sohn CB and Ahn JS. (2003).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isolated from the barks of Phellodendron amurens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5:503-509. 

  12. Kim YH, Choi JE, Hong JY, Jo CW, Lee JM and Kim SJ. (2013b). A new compound isolation and structure analysis form Phellodendron amurense fruit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1:269-275. 

  13. Kong WJ, Wei J, Zuo ZY, Wang YM, Song DQ, You XF, Zhao LX, Pan HN and Jiang JD. (2008). Combination of simvastatin with berberine improves the lipid-lowering efficacy. Metabolism. 57:1029-1037. 

  14. Korhonen R, Lahti A, Kankaanranta H and Moilanen E. (2005). Nitric oxide production and signaling in inflammation. Current Drug Targets-Inflammation and Allergy. 4:471-479. 

  15. Kraunsoe JAE, Claridge TDW and Lowe G. (1996).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rypsin inhibitor. Biochemistry. 35:9090-9096. 

  16. Kuo CL, Chi CW and Liu TY. (2004). The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berberine in vitro and in vivo. Cancer Letters. 203:127-137. 

  17. Kupeli E, Kosar M, Yesilada E, Baser KHC and Baser C.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antinociceptive and antipyretic effects of isoquinoline alkaloids from the roots of Turkish Berberis species. Life Sciences. 72:645-657. 

  18. Kwak DJ. (2004).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hellodendri cortex on the Streptococcus muta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ygienic Science. 10:99-107. 

  19. Lee CB. (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488. 

  20. Lee GH. (2012). Introduction of reference medicinal plant material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80-83. 

  21. Lee JG, Choi JY, Oh JS, Jung HW, Choi EH, Lee HS, Kim JA, Chang TS, Son JK and Lee SH. (2007). Isolation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compounds from the phellodendri cortex.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8:387-393. 

  22. Lee KK, Kim JH, Cho JJ and Choi JD. (1999a). Inhibitory effects of 150 plant extracts on elastase activity and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21:71-82. 

  23. Lee SS, Kim YH and Lee MK. (1999b). Inhibition of monoamine oxidase by palmatine.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2:529-531. 

  24. Manach C, Morand C, Crespy V, Demigne C, Texier O, Regerat F and Remesy C. (1998). Quercetin is recovered in human plasma as conjugated derivatives which retain antioxidant properties. FEBS Letters. 426:331-336. 

  25. Ranke J, Molter K, Stock F, Bottin-Weber U, Poczobutt J, Hoffmann J, Ondruschka B, Filser J and Jastorff B. (2004). Biological effects of imidazolium ionic liquids with varying chain lengths in acute Vibrio fischeri and WST-1 cell viability assay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58:396-404. 

  26. Rice-Evans CA, Miller NJ and Paganga G. (1996).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0:933-956. 

  27. Semwal DK, Rawat U, Semwal R, Singh R and Singh GJP. (2010). Anti-hyperglycemic effect of 11-hydroxypalmatine, a palmatine derivative from Stephania glabra tubers. Journal of Asian Natural Products Research. 12:99-105. 

  28. Sharma JN, Al-Omran A and Parvathy SS. (2007). Role of nitric oxide in inflammatory diseases. Inflammopharmacology. 15:252-259. 

  29. Tan W, Lu J, Huang M, Li Y, Chen M, Wu G, Gong J, Zhong Z, Xu Z, Dang Y, Guo J, Chen X and Wang Y. (2011). Anti-cancer natural products isolated from Chinese medicinal herbs. Chinese Medicine. 6:27-27. 

  30. Yoon I, Cho JY, Kuk JH, Wee JH, Jang MY, Ahn TH and Park KH. (2002).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4:898-904. 

  31. Yu HE, Dela Paz LMM, Bea YJ, Lee DH, Park JS, Kwak HS, Kim HK and Lee JS.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aging bioactive substances from medicinal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1136-1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