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고버섯 균사체의 생리활성과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Resources for Functional Food and Biological Activity of Lentinus edoes mycelium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6 no.2, 2011년, pp.25 - 30  

김수민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약리학과) ,  김은주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약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 antioxidant ability, the change of antioxidant ability,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cancer in functional meat ball and sausage prepared from Lentinus edoes mycelium and texturized soy protein. Methods : This experiments was carried out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 균사체의 항산화성, 가공 중가열에 의한 항산화성 변화, 항균성 및 항암성 실험을 실시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고버섯의 약리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표고버섯의 약리효과는 균사체(mycelium) 및 자실체(fruiting body)에 존재하는 성인병 예방과 인터페론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다당체가 종양에 대한 생체 고유의 방어력을 높여줌으로서 간접적으로 종양세포의 증식을 저해하거나3), 암세포나 병원성균을 직접 사멸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대식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이러한 단백다당체는 주로 균사체에 많이 존재하며 바이러스성 질병에 스스로 방어하고 인터페론과 같은 항체생성을 촉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성, 가열에 의한 항산화성 변화, 항균성 및 항암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결론은 무엇인가?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성, 가열에 의한 항산화성 변화, 항균성 및 항암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고버섯 균사체의 항암성을 측정한 결과 생존율은 28%, 종양성장 억제 율은 63%로 높았으며, 종양무게도 1.30±0.4 g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이에 항암소재로서 표고버섯 균사체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il을 달리하여 TBARS를 측정한 결과 지방산패에 대한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성임을 알 수 있었다. 표고버섯 균사체의 가열 전후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을 비교한 실험에서는 두 시료간의 차이가 크지 않아 표고버섯 균사체는 가열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추출용매를 달리한 전자공여능 실험에서는 ethanol추출물 90.85%, 열수추출물 82.14%로 두 시료 모두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첨가 3시간 경과 후에 39.3%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표고버섯이란 무엇인가? ) Sins.)은 원래 송이버섯과 잣버섯에 속하는 버섯으로 우리의 옛 이름으로 향심(香覃)이라 하고, 일본명으로는 시이다케(しいだけ), 한자로는 향균 등의 명칭이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동북아시아의 온대지방과 동남아시아의 아열대 지방에 있는 활엽수림 중주로 참나무의 고목에 발생하는 목재 부후균으로서 동양특산의 식용버섯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JY. Mycology, mushroom cultivation. Seoul, Korea:Co. Deakwang. 1991:259. 

  2. Sung JM, Yoo YB, Cha DY. Mushroom. Seoul, Korea:Co. Kyohak. 1998:64. 

  3. Chihara, G. Immune modulation agents and their mechanisms(Lentinan, a T-cell oriented immunoprotentiator). NY and Basel. 1985;19:409-436. 

  4. Takehara, M. Antiviral activity of virus-like particles from Lentinus edodes(Shiitake). Arch Virol. 1979;59:269-280. 

  5. Takehara, M. Antiviral activity of virus-like particles from Lentinus edodes(Shiitake). on Ehrlich ascites carcinoma in mice. Arch Virol. 1981;68:297-303. 

  6. Tsunoda, A. A mushroom extract as an interferon inducer. Ann NY Acad. Sci. 1969;173:719-725. 

  7. Bohn, JA, JN Be Miller. Beta-1,3-D-glucans as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Carbohydr. Polymers. 1995;28:1433-1439. 

  8. Lucas EH, Ringle RU, Clarke DA, Reilly HC, Stevens JA, Stock CC. Tumor inhibitors in Boletus sdulis and other Holobasidiomycetes. Antibiot Cheotherapy. 1957;7:1-4. 

  9. Chihara G, Hamuro J, Maeda YY, Arai A, Fukuoka, F.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y-saccharides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lentinan, from Lentinus edoeds (Berk.) Sins.(an edible mushroom). Res, Cancer. 1970;30:2776-2781. 

  10. Fujii T, Maeda H, Suzuki F, Ishida 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antitumor polysaccharide, KS-2, extracted hrom culture mycelia of Lentinus edodes L. Antibiotics. 1978;31:1079-1085. 

  11. Bobek P, Odzin L, Kuniak L. Effect of oyster mushroom and isolated B-glucan on lipid peroxidation and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rats fed the cholesterol diet. Nutritional Biochem. 1997;8:469-471. 

  12. Cheung PCK.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extracellular polysacchride from the submerged fermentation of mushroom. Nutr. Res. 1996;16:1953-1957. 

  13. Fukushima M, T Ohashi, Y Fujisara, K Sonoyama, M Nakano.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maitake(Grifola frondosa) fiber, and shiitake(Lentinus dodes) fiber, and enokitake (Flammulina velutipes) fiber in rats.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2001;226:758-765. 

  14. Kim MW, Park MH, Kim GH. Effects of mushroom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on blood levels and energy metabilism in st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 J. Nutrition. 1997;30:743-750. 

  15. Buege JA, Aust SD.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in Enzymol. 1978;105:302-310. 

  1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26:1192-1198. 

  17.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1974;17:472-468. 

  18. Duncan DB. Multiple range and multiple test. Biometeics. 1955;11:1-42. 

  19. Cojocaru IM, Cojocaru M, Musuroi C, Botezat M, Lazar L, Druta A. Lipid peroxidation and catalase in diabetes mellitus with and without ischemic stroke. Rom J Intern Med. 2004;42:423-429. 

  20. Saito M, Sakagami H, Fujisawa S. Cytotoxicity and apoptosis induction by butylated hydroxyanisole(BHA)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ticancer Res. 2003;23:4693-701. 

  21.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5;27:978-984. 

  22. Pryor WA. Oxy-radicals and related species:their formation, lifetimes, and reactions. Annu Rev Physiol. 1986;48:657-667. 

  23. Radiation and aging:free radical damage, biological response and possible antioxidant intervention. Med Hypotheses. 1993;41:473-482. 

  24. Nice DJ, Robinson DS, Holden MA. Characterisation of a heat stable antioxidant co-purified with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from dried peas. Food Chem. 1995;52:393-397. 

  25. Kang YH, Park YK, Lee GD.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6;28:232-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