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구의 지형적.자연서식지.이용개발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Estuary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Natural Habitat Distributions and Land Use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6 no.2, 2011년, pp.53 - 69  

이강현 (명지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노백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조현정 (명지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이창희 (명지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하구의 특성과 분포를 반영한 분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 고해상도 항공사진 및 지형도 등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463개 하구의 특성과 분포를 파악하였고, 이들 하구의 하구순환 유지 여부, 지형적 특성, 자연서식지 특성, 이용개발 특성에 기초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하구 순환이 이루어지는 235개의 '열린하구'는 지형적 특성에 따라 '산지/절벽형', '사취형' 및 '깔대기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하는 하구는 각각 41, 87, 107개로 분류되었다. 구분된 각 하구는 다시 자연서식지 특성과 이용 개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여, 열린하구는 총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하구순환이 차단된 228개의 '닫힌하구'는 차단 형태에 따라 '직접차단'과 '하구호' 형성에 의한 간접차단으로 구분하였다. 직접차단 형태의 하구를 다시 자연서식지 및 이용개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하는 하구는 각각 25, 64, 55개로 분류되었다. 간접차단 하구는 84개가 파악되었으나 세분하지 않아 닫힌하구는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유형분류 체계는 하구의 지형적 특성, 자연서식지의 현황 및 토지이용 특성을 모두 반영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하구관리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관리방향을 설정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assification of estuaries based on their multi-component and multidisciplinary processes is important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estuaries. In this study, an integrated GlS-based analysis system including high resolution aerial photographies and topographic maps was used to classify 463 estu...

주제어

참고문헌 (19)

  1. 노백호, 이창희 등, 2006.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 이창희 등, 2001. 하구.석호육해전이수역통합환경관리방안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 이창희 등, 2003. 하구역 환경보전 전략 및 통합환경관리방안 수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 이창희 등, 2004.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이창희 등, 2005.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6. 이창희, 심영규, 남정호, 강대석, 노백호, 2007. 하구 환경관리의 통합성 확보를 위한 관리체제 개선방안. 해양정책연구. 22(2): 89-122. 

  7. 한강유역환경청, 2007. 한강하구 습지보전계획 수립연구. 한강유역환경청. 

  8. 환경부, 2007. 하구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법제도 마련연구. 환경부. 

  9. Boyd, R., Dalrymple, R., and Zaitlin, B. A., 1992. Classification of clastic coastal depositional environments. Sedimentary Geology. 80: 139-150. 

  10. Cortright, R., Weber, J. and Bailey, R., 1987. Oregon estuary plan book. Department of Land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11. Digby, M. J., Saenger, P., Whelan, M. B., McConchie, W., Eyre, B., Holmes, N., and Boucher, D., 1998. A physical classification of Australian Estuaries. Report prepared for the urban water research associationn of australia. centre for coastal management. southern cross university. lismore NSW. 57 pp. 

  12. Engle, V. D., Kurtz, J. C., Smith, L. M., Chancy, C., Bourgeois, P., 2007. A classification of U.S. estuaries based on physical and hydrologic attribute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29: 397-412. 

  13. Graham, J. E., Neville S. B., David J. G., and Peter, R. L., 2000. The conservation significance of estuaries: a classification of Tasmanian estuaries using ecological, physical and demographic attributes as a case study. Biological Conservation. 92: 383-397. 

  14. Halcrow, 2002. Futurecoast, produced for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CD-ROM. 

  15. Heap, A., Bryce, S., Ryan, D., Radke, L., Smith, C., Smith, R., Harris, P. and Heggie, D., 2001. Australian Estuaries and Coastal Waterways: A Geoscience Perspective for Improved and Integrated Resource Management. AGSO Record, Canberra. 

  16. Hume, T. M. and Herdendorf, C. E., 1988. A geomorphic classification of estuaries and its application to coastal resource management: A New Zealand example. Journal of Ocean and Shoreline Management. 11: 249-274. 

  17. Hume, T. M., Snelder, T., Weatherhead, M., and Liefting, R., 2007. A controlling factor approach to estuary classification. Ocean and Coastal Management. 50: 905-929. 

  18. Ryan, D. A., Heap, A. D., Radke, L., and Heggie, D. T., 2003. Conceptual models of Australia's estuaries and coastal waterways: applications for coastal resource management. Geoscience Australia Record. 136 pp. 

  19. Townend, I., Wright, A., and Price, D.,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gross properties of UK estuaries. In: Modelling Estuary Morphology and Process, Report Prepared by the EMPHASYS consortium for the Estuaries Research Programme Phase 1, MAFF Project FD1401, December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