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구 환경관리를 위한 관리구역 경계 설정방안
Defining the Boundary of Estuarine Management Zone for Estu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7 no.4, 2012년, pp.203 - 224  

이강현 (국립환경과학원) ,  조현정 (안양대학교) ,  노백호 (계명대학교) ,  이창희 (명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질적인 하구환경의 관리를 위해서는 관리구역, 즉 하구역이 먼저 정의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구역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아직까지 체계적인 경계설정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하구의 물리화학적 특성 등의 과학적 자료와 더불어 지리 지형적 특성 및 이용개발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하구역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구를 하구순환의 유지여부에 따라 열린 하구와 닫힌 하구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속한 개별 하구에 대해 물리화학, 지리지형학 및 이용개발 특성을 고려하여 하구수역의 경계를 설정한 후에 하구수역에 영향을 미치는 하구육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순차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라 국내 274개 하구역의 경계를 시범적으로 설정해본 결과 각 하구별로 가용한 자료의 수준과 지역 특성의 차이를 합리적으로 고려한 하구역 경계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finition of estuary and its administrative boundaries is needed for the practical management of estuarine environment. However, the majority of Korean estuaries are lack of scientific data required for defining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For this reason, a systematic way to set the boundar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든 하구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가 부족하다는 현실적 한계점을 고려하여, 중·소규모의 하구를 포함한 모든 규모의 하구에 적용 가능한 하구역 경계설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법적·계획적 차원에서 하구관리, 하구환경의 체계적 조사 및 평가와 연결하기 위하여 하구의 관리범위로서 하구역의 지리적 경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법률적·계획적 차원의 하구관리를 위한 공간적 범위인 하구역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하구 수질관리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해서는 적어도 유역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에 하구수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류유역의 유역경계를 하구육역의 경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구육역의 범위가 넓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하구수질 및 수생태 관리를 위해서는 유역대책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유역경계를 하구육역의 경계로 보았다.
  • (2011)의 우리나라 주요 17개 하구별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들 자료를 Eliot and McLusky(2002)가 제시한 자료와 비교하여 하구역 경계 설정을 위한 자료로서의 가용성을 판단하였다.
  • 하구경계를 결정할 수 있는 물리화학적 특성 등의 과학적 자료와 이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리·지형적 특성 및 이용·개발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과학적 자료가 제한적인 상황에도 중·소규모 하구에도 적용이 가능한 순차적 경계설정 기준을 제시하고, 이 방법에 따라 국내의 하구역 경계를 시범적으로 설정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서남해안의 염분분포 자료가 가용한 하구는 평수 시 염분분포에 따라 경계를 설정한다.
  • 2. ‘-gang’ is a Korean word for river.
  • 3. Open Estuaries are represented by underlining
  • 4. Closed Lakes are represented by shaded area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안한 하구역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하구의 물리화학적 특성 등의 과학적 자료와 더불어 지리 지형적 특성 및 이용개발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하구역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구를 하구순환의 유지여부에 따라 열린 하구와 닫힌 하구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속한 개별 하구에 대해 물리화학, 지리지형학 및 이용개발 특성을 고려하여 하구수역의 경계를 설정한 후에 하구수역에 영향을 미치는 하구육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순차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라 국내 274개 하구역의 경계를 시범적으로 설정해본 결과 각 하구별로 가용한 자료의 수준과 지역 특성의 차이를 합리적으로 고려한 하구역 경계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청정수법에 의해 운영되는 하구프로그램의 경우 하구의 상류 경계는 왕복성 어류가 도달하는 하천의 지점까지로 보고 있어 일반적으로 염분 또는 조석에 근거한 하구의 범위와는 크게 다른 이유는? 실제 미국의 청정수법에 의해 운영되는 하구프로그램의 경우 하구의 상류 경계는 왕복성 어류가 도달하는 하천의 지점까지로 보고 있어 일반적으로 염분 또는 조석에 근거한 하구의 범위와는 크게 다르다2). 이는 하구가 연어 등의 왕복성 어류에 미치는 생태적 영향을 고려해서 관리범위를 설정했기 때문이다. 한편 연안역관리법과3) 해양대기청의 하구보전연구시스템에 의하면4) 담수에 의한 염분의 희석이 없어도 담수인 오대호로 유입되는 하천에 의해 형성되는 하구형태도 하구로 정의하고 있다.
하구란 무엇인가? 하구(河口; estuary)의 정의는 미국 ‘하구프로그램(National Estuary Program)’의 법적 근거인 청정수법(Clean Water Act)에서“강, 시내, 그 밖의 모든 수계의 어귀 및 입구로서 자연적인 개방 해역과의 연결에 방해를 받지 않는 상태여야 하며, 하구 내에서 해수는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에 의해 혼합되어 염분이 희석 되는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구는 전이수역이라는 독특한 자연환경으로 환경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국내에는 하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제도가 미비한 상태이며 환경관리체제가 육상과 해양으로 양분되어 관리의 통합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ionne, J.C., 1963. Towards a more adequate definition of the St. Lawrence estuary. Z. Geomorph., 7: 36-44. 

  2. Elliott, M. and McLusky, D.S., 2002. The need for definitions in understanding estuari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5: 815-827. 

  3. Fairbridge, R.W., 1980. The estuary: its definition and geochemical role. In: Chemistry and geochemistry of estuaries, edited by Olausson, E. and Cato, I., John Wiley, New York. pp. 1-35. 

  4. Humphries, R. and S. Robinson. 1995. Assessment of the Peel-Harvey Estuary system management strategy-a western Australian attempt at integrated catchment management. Wat. Sci. Tech. 32(6): 255-264. 

  5. Kinne, O., 1971. Invertebrates. In: Marine Ecology, edited by Kinne, O., Wiley Interscience, London, pp. 822-995. 

  6. Lee, C.-H., D.S. Kang, J.H. Nam, B.G. Lee, H.J. Yu. 2001.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ies for estuarine environment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Korea Maritime Institute. 

  7. Lee, C.-H., J.H. Nam, S.H. Kim, B.H. Rho, H.J. Moon, T.H. Rho, Y.J. Choi, S.J. Kang, S.D. Park, S.J. Lee, D.W. Kim, S.S. Bang. 2004.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8. Lee, C.-H., J.H. Nam, S.H. Kim, B.H. Rho, H.J. Moon, T.H. Rho, Y.J. Choi, S.J. Kang, H.S. Kim, Y.H. Shim, S.Y. Ahn, C.S. Park, S.J. Lee, D.S. Kang, Y.S. Shin, Y.J. Han, J.K. Kim, J.H. Han. H.K. Park. 2005.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9. Lee, C.-H., Y.G. Shim, J.H. Nam, D.S. Kang, and B.H. Rho, 2007.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strategies for supporting an integrated estuary environmental management, Ocean Policy Research. 22(2): 89-122. 

  10. Lee, K.H., B.H. Rho, H.J. Jho, and C.-H. Lee. 2011. Estuary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Natural Habitat Distribution and Land Uses.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6(2): 53-69. 

  11. McLusky, D.S., 1993, Marine and estuarine gradients. Netherlands Journal of Aquatic Ecology, 27: 489-493. 

  12.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Development of national estuary management strategy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13.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Korea River Inventory. 

  14. Pomeroy, W. M. 1995. The Fraser River Basin-Toward Sustainability. Wat. SCi. Tech. 31(8): 33-39. 

  15. Poole, S. 1996. Recent development and announcement-the United States National Estuary Program. Ocean & Coastal Management. 30(1): 63-67. 

  16. Pritchard, D.W., 1967. What is an Estuary: Physical viewpoint. In: Estuaries, Publication #83, AAAS, Washington, D.C. 

  17. SEP (Severn Estuary Partnership). 2001. Strategy for the Severn Estuary. 165p 

  18. TBEP (Tampa Bay Estuary Program), 2006. The comprehens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Tampa Bay, 151p. 

  19. TEP (Thames Estuary Partnership), 2000. Management guidance for the Thames Estuary. 

  20. Venice System, 1959. Symposium on the classification of brackish waters, Venice, 8-14, April 1958. Archives Oceanography and Limnology, 11: 1-2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