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외선 B 조사 마우스에서 표피멜라닌세포 변화에 대한 헤모힘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HemoHIM on Epidermal Melanocytes in Ultraviolet-B irradiated Mice 원문보기

방사선방어학회지 = Radiation protec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v.36 no.2, 2011년, pp.93 - 98  

이해준 (한국원자력의학원) ,  김종춘 (전남대학교 수의학과) ,  문창종 (전남대학교 수의학과) ,  정우희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  박혜란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  조성기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  장종식 (경북대학교 축산학과) ,  김태환 (경북대학교 수의학과) ,  김성호 (전남대학교 수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57BL/6 마우스에서 자외선 B(UV-B) 조사에 의한 표피 멜라닌세포의 변화에 대한 헤모힘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UV-B를 매일 $80\;mJ{\cdot}cm^{-2}$ ($0.5\;mW{\cdot}sec^{-1}$)씩 7일간 조사하고 헤모힘을 UV 조사 전 또는 조사 후에 복강내주사, 경구투여 또는 피부에 도포하여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효과 및 형성된 멜라닌세포에 대한 미백효과를 dihydroxyphenylalanine (DOPA)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귀등쪽 표피를 분리하여 관찰한바, 정상대조군에서는 $mm^2$당 13~15개의 멜라닌세포가 관찰되었다.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주사군에서 44.9%, 경구투여군에서는 35.6%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피부도포군에서는 30% 이상의 유의성 있는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형성된 멜라닌세포의 감소 효과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주사군의 경우 3주 및 6주에 각각 18.3%, 12.5%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고, 경구투여군에서는 3주 및 6주에 각각 16.9%, 20.4%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피부도포군의 경우 3주에 32.0%, 6주에 31.2%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헤모힘이 UV에 의한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제 및 미백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성 단미생약, 유효성분,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및 형성된 세포의 감소 촉진에 관여하는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duced the activation of melanocytes in the epidermis of C57BL/6 mice by ultraviolet-B (UV-B) irradiation, and observed the effect of an herbal preparation (HemoHIM, HH) on the formation, and decrease of UV-B-induced epidermal melanocytes. C57BL/6 mice were irradiated by UV-B $80\;mJ{\cd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헤모힘의 주요 구성 단미인 당귀, 천궁 및 백작약은 식품공전에 등재되어있는 무독성의 물질이며, 복합제로서도 독성 효과를 전혀 나타내지 않은 물질로 알려져 있다[26]. 따라서 헤모힘은 안전한 천연물 유래, 멜라닌 침착 방지 및 피부미백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성 단미생약, 유효성분,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및 형성된 세포의 감소 촉진에 관여하는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헤모힘의 UV에 의한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및 형성된 멜라닌세포의 감소 효과를 관찰한 바, 복강내 주사,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적용에서 공히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UV에 의한 피부손상은 일부 물리적 작용을 포함하나 대부분 활성산소에 의한 DNA 손상이 주원인[21,22]으로 작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의 사용처는? 다양한 피부보호제 및 미백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수반된 문제점도 보고되고 있다. 미백제로서, 4-hydroxyanisole 및 hydroquinone 등은 기미, 주근깨, 반점 및 임신기 hyperpigmentation과 같은 과잉 색소증 치료에 국소적용 되고 있다.
멜라닌이란? 멜라닌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tyrosine이 tyrosinase를 주효소로 하는 효소의 작용으로 합성되어 멜라노좀 과립을 형성하고, 생성된 멜라닌은 각질형성세포로 이동되어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의 노화나 일광각화증을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과잉생산에 의한 피부의 색소침착 및 멜라닌 전구물질들에 의한 독성으로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부정적인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1,2].
4-hydroxyanisole 및 hydroquinone 등은 어디에 적용되는가? 다양한 피부보호제 및 미백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수반된 문제점도 보고되고 있다. 미백제로서, 4-hydroxyanisole 및 hydroquinone 등은 기미, 주근깨, 반점 및 임신기 hyperpigmentation과 같은 과잉 색소증 치료에 국소적용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강력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을 보이지만 색소 세포의 변성 또는 치사를 일으키고 세포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aufman RJ. Vectors used for expression in mammalian cells. Meth. In. Enzymol. 1991;205: 87-92. 

  2. Weixiong L, Helene ZH. Induced melanin reduces mutations and killing in mouse melanoma. Phytochem. Phytobiol. 1997;65:480-484. 

  3. Maeda K. Fukada M. In viv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Cosmet. Chem. 1991;42: 361-368. 

  4. Dawley RM, Flurkey WH. 4-hexylresocinol, a potent inhibitor of mushroom tyrosinase. J. Food Sci. 1993;58:609-610. 

  5. Tomita K, Oda N, Ohbayashi M, Kamei H, Miyaki T, Oki T. A new screening method for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using Streptomyces bikiniensis. J. Antibiot. (Tokyo) 1990;43:1601-1605. 

  6. Laskin JD, Piccinini LA. Tyrosinase isozyme heterogeneity in differentiating B16/C3 melanoma. J. Biol. Chem. 1986;261:16626-16635. 

  7. Naeyaert JM, Eller M, Gordon PR, Park HY, Gilchrest BA. Pigment content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does not correlate with tyrosinase message level. Br. J. Dermatol. 1991;125:297-303. 

  8. Jo SK, Park HR, Jung UH, Oh H, Kim SH, Yee ST. Protective effect of a herbal preparation (HemoHIM) on the selfrenewal tissues and immune system against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34:805813. 

  9. Chakraborty AK, Funasaka Y, Komoto M, Ichihashi M. Effect of arbutin on melanogenic proteins in human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1998;11: 206-212. 

  10. Kahn V. Effect of kojic acid on the oxidation of DL-DOPA, norepinephrine, and dopamine by mushroom tyrosinase. Pigment Cell Res. 1995;8: 234-240. 

  11. Nerya O, Vaya J, Musa R, Izrael S, Ben-Arie R, Tamir S. Glabrene and isoliquiritigenin as tyrosinase inhibitors from licorice roots. J. Agric. Food Chem. 2003;51:1201-1207. 

  12. Shin NH, Ryu SY, Choi EJ, Kang SH, Chang IM, Min KR, Kim Y. Oxyresveratrol as the potent inhibitor on dopa oxidase activity of mushroom tyrosin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8;243:801-803. 

  13. Kim JA, Choi JY, SoN AR, Park SH, Xu GH, Lee JG, Oh IS, Kim JJ, Chang HW, Chung SR, Jang TS, Lee SH. Inhibitory effect of some natural polyphenols isolated from euphorbiaceae plants on melanogenesis. Kor. J. Pharmacogn. 2004;35:157- 163. 

  14. Kim CT, Kim WC, Jin MH, Kim HJ, Kang SJ, Kang SH, Jung MH, Lim YH. Inhibitors of melanogenesis from the roots of Peucedanum praeruprorum. Kor. J. Pharmacogn. 2002;33:395-398. 

  15. Choi DY, Ahn SY, Lee SG, Han JS, Kim EC, Lee HB, Shin JH, Kim EK, Row KH. Separation and performance test of whitening agent in Rhodiola sachalinens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4; 19:169-173. 

  16. Chun HJ, Hwang SG, Lee JS, Baek SH, Jeon BH, Woo WH. Inhibitory effects of butyl alcohol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Kor. J. Pharmacogn. 2002;33: 130-136. 

  17. Slominski A, Tobin DJ, Shibahara S, Wortsman J.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 Rev. 2004;84:1155- 1228. 

  18. Gerson DE, Szabo G. Effect of single gene substitution on the melanocyte system of the C57BL mou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histology. Nature. 1968;218:381-382. 

  19. Reynolds J, The epidermal melanocytes of mice. J. Anat. 1954;88:45-58. 

  20. Jimbow K, Uesugi T. New melanogenesis and photobiological processes in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of precursor melanocytes after UV-exposure: ultra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precursor melanocytes from Langerhans cells. J. Invest. Dermatol. 1982;78:108-115. 

  21. Black HS. Reassessment of a free radical theory of cancer with emphasis on ultraviolet carcinogenesis. Integr. Cancer Ther. 2004;3:279-293. 

  22. Ichihashi M, Ueda M, Budiyanto A, Bito T, Oka M, Fukunaga M, Tsuru K, Horikawa T. UV-induced skin damage. Toxicology. 2003;189:21-39. 

  23. Pelle E, Huang X, Mammone T, Marenus K, Maes D, Frenkel K. Ultraviolet-B-induced oxidative DNA base damage in primary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and inhibition by a hydroxyl radical scavenger. J. Invest. Dermatol. 2003;121:177-183. 

  24. Zastrow L, Groth N, Klein F, Kockott D, Lademann J, Ferrero L. UV, visible and infrared light. Which wavelengths produce oxidative stress in human skin? Hautarzt 2009;60:310-317. 

  25. Jagetia GC. Radioprotective potential of plants and herbs against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J. Clin. Biochem. Nutr. 2007;40:7481. 

  26. Kim SH, Kim JC, Kim SR, Lee HJ. Evaluation on biosafety in long-term administration, teratogenicity and local toxicity of developed product. KAERI/CM-867-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