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우스세포를 이용한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의 병용 처리에 따른 면역활성 효과
Immunological Synergistic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with Herbal Preparation (HemoHIM) and Red Ginseng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2, 2015년, pp.182 - 190  

변명우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영양학부) ,  변의홍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홍삼단)과 생약복합추출물(헤모힘)이 주요 기능성분은 다르지만 면역활성이라는 생리활성 측면에서 동일한 효과를 인정하고 있어서 이들의 병용 처리가 면역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면역활성능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골수에서 분리한 미분화 골수세포선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킨 후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때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세포 증식능 및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활성화된 탐식(면역)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CD80과 CD86의 발현과 탐식(면역)세포의 항원제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 조직적합성 복합체(MHC class II)의 발현이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의 병용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병용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 및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 추출물의 병용 처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 간접적으로 다양한 상승작용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immunological synergistic effects of herbal preparation (HemoHIM) and red ginseng powder granule in various immune cell models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dendritic cells, and mouse splenocytes) from mice. Both herbal preparation and red ginseng extrac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이 주요 기능성분은 다르지만 면역활성이라는 생리활성 측면에서 동일한 효과를 인정하고 있어서 수지상세포,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 등의 다양한 면역세포를 마우스를 통하여 직접 분리하여 두 물질을 병용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면역활성의 작용에 관하여 평가해 보았다.
  •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홍삼단)과 생약복합추출물(헤모힘)이 주요 기능성분은 다르지만 면역활성이라는 생리활성 측면에서 동일한 효과를 인정하고 있어서 이들의 병용 처리가 면역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면역활성능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골수에서 분리한 미분화 골수세포를 선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킨 후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때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세포 증식능 및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이러한 표현형인 CD는 같은 종류의 세포를 분리하거나 분석하는 연구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또한 세포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19).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가 활성화되었을 때 가지는 표현형인 CD80 과 CD86의 발현에 관하여 유세포 분석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Fig. 4).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각각 200 μg/ mL로 고정하여 처리하고 병용 처리구에서는 홍삼추출물 100 μg/mL와 생약복합추출물 100 μg/mL 농도로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된 그룹보다 병용으로 처리된 그룹에서 탐식세포의 표면 활성 인자인 CD80과 CD86의 발현이 더욱더 증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 본 연구에서도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의 병용 처리가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각각 또는 병용 처리하여 Th1 세포가 분비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인 IL-2, IFN-γ와 Th2 세포가 분비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인 IL- 4, 10의 분비능에 관하여 측정하였다(Fig. 7).
  • 따라서 면역증강물질의 면역활성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면역 T 세포의 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장세포를 주로 사용한다(23). 앞선 연구 결과를 통하여 홍삼 농축 분말과립 및 헤모힘의 병용처리는 선천면역계를 담당하는 탐식세포를 활성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고, 후천면역계를 담당하는 T세포에 대한 면역상승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여 면역상승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의 병용 처리가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 등의 탐식세포의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하여 활성화된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생체 외부로부터 병원체가 유입되면 면역세포들은 숙주를 방어하기 위하여 활성화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천면역 반응의 특징은? 면역 반응은 항원에 대한 특이성에 따라 선천성 면역반응과 후천성 면역반응으로 구분되는데, 선천성 면역반응은 주로 탐식세 포들(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항원 특이적인 반응을 수반하지 않는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주로 T세포 및 B세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선천성 면역 반응 후에 식세포에 의하여 제시되는 특이 항원을 인식하면서 면역반응이 개시되며, 면역반응의 강도가 선천면역에 비하여 매우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1,2).
면역기능 저하로 야기되는 위험은? 면역기능은 외부의 병원성 인자들로부터 자기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자기방어 시스템으로 이러한 면역기능이 떨어질 경우 인체는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면역 반응은 항원에 대한 특이성에 따라 선천성 면역반응과 후천성 면역반응으로 구분되는데, 선천성 면역반응은 주로 탐식세 포들(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항원 특이적인 반응을 수반하지 않는다.
면역기능이란? 면역기능은 외부의 병원성 인자들로부터 자기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자기방어 시스템으로 이러한 면역기능이 떨어질 경우 인체는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면역 반응은 항원에 대한 특이성에 따라 선천성 면역반응과 후천성 면역반응으로 구분되는데, 선천성 면역반응은 주로 탐식세 포들(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항원 특이적인 반응을 수반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nnon JG. 2000. Inflammatory cytokines in nonpathological states. News Physiol Sci 15: 298-303. 

  2. Clerici M, Shearer GM. 1994. The Th1-Th2 hypothesis of HIV infection: new insights. Immunol Today 15: 575-581. 

  3. Cho YJ, Yoon SJ, Kim JH, Chun SS. 2005. Biological activity of Chamomile (Matricaria chamomilla 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46-450. 

  4. Byrd JC, Park JH, Schaffer BS, Garmroudi F, MacDonald RG. 2000. Dimerization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II/mannose 6-phosphate receptor. J Biol Chem 25: 18647- 18656. 

  5. Lee JY, Hwang WI, Lim ST. 1998.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DC extract on the growth of cancer cell li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21. 

  6. Jo SK, Park HR, Jung U, Oh H, Kim SH, Lee ST. 2005. Protective effect of a herbal preparation (HemoHIM) on the self-renewal tissues and immune system against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805-813. 

  7. Park HR, Kim SH, Yee ST, Byun MW, Jo SK. 2005. Effects of a herb mixture (HIM-I) on the protection of the hematopoietic- immune system and self-renewal tissues against radiation dam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05-612. 

  8. Park HR, Ju EJ, Jo SK, Jung U, Kim SH, Yee ST. 2009. Enhanced antitumor efficacy of cisplatin in combination with HemoHIM in tumor-bearing mice. BMC Cancer 9: 85. 

  9. Shin SH, Kim DS, Kim SH, Jo SK, Byun MW, Yee ST. 2006. Effect of a herbal composition (HemoHIM) on the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22-1328. 

  10. Baeg IH, So SH. 2013. The world ginseng market and the ginseng (Korea). J Ginseng Res 37: 1-7. 

  11. Yuan HD, Kim JT, Kim SH, Chung SH. 2012. Ginseng and diabetes: the evidences from in vitro, animal and human studies. J Ginseng Res 36: 27-39. 

  12. Park JD. 1996. Recent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20: 389-415. 

  13. Kim YS, Park KM, Shin HJ, Song KS, Nam KY, Park JD. 2002. Anticancer activities of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by activation of macrophages and natural killer cells. Yakhak Hoeji 46: 113-119. 

  14. Cha JH, Lim EM. 2014. Effects of Gardeniae fructus on cytokines in mouse macrophage. J Korean Obstet Gynecol 27: 1-16. 

  15. Ripoll VM, Meadows NA, Raggatt LJ, Chang MK, Pettit AR, Cassady AI, Hume DA. 2008. Microphthalmia transcription factor regulates the expression of the novel osteoclast factor GPNMB. Gene 413: 32-41. 

  16. Lee K, Sohn Y, Lee MJ, Cho HS, Jang MH, Han NY, Shin KW, Kim SH, Cho IH, Bu Y, Jung HS. 2012. Effects of Angelica acutiloba on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actions in vitro and in vivo.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4: 571-577. 

  17. Calixto JB, Campos MM, Otuki MF, Santos AR. 2004. Anti-inflammatory compounds of plant origin. Part II. mod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hemokines and adhesion molecules. Planta Med 70: 93-103. 

  18. Lee JK, Lee MK, Yun YP, Kim Y, Kim JS, Kim YS, Kim K, Han SS, Lee CK. 2001. Acemannan purified from Aloe vera induces phenotypic and functional maturation of immature dendritic cells. Int Immunopharmacol 1: 1275-1284. 

  19. Kikuchi T, Ohno N, Ohno T. 2002.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induced by Candida beta-D-glucan. Int Immunopharmacol 2: 1503-1508. 

  20. Piani A, Hossle JP, Birchler T, Siegrist CA, Heumann D, Davies G, Loeliger S, Seger R, Lauener RP. 2000. Expression of MHC class II molecules contributes to lipopolysaccharide responsiveness. Eur J Immunol 30: 3140-3146. 

  21. Hegde NR, Chevalier MS, Johnson DC. 2003. Viral inhibition of MHC class II antigen presentation. Trends Immunol 24: 278-285. 

  22. Ryu HS, Kim J, Kim HS. 2006. Enhancing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macrophage cell activation. Korean J Food & Nutr 19: 176-182. 

  23. Shan BE, Yoshida Y, Kuroda E, Yamashita U. 1999.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 on human lymphocytes in vitro. Int J Immunopharmacol 21: 59-70. 

  24. Wang JE, Jorgensen PF, Ellingsen EA, Almiof M, Thiemermann C, Foster SJ, Aasen AO, Solberg R. 2001. Peptidoglycan primes for LPS-induced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whole human blood. Shock 16: 178-182. 

  25. Medzhitov R. 2001. Toll-like receptors and innate immunity. Nat Rev Immunol 1: 135-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