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PC (Compound Parabolic Collector) 내 이산화티탄을 이용한 비스페놀 A (Bisphenol A)의 분해에 관한 연구
Study of Degradation of Bisphenol A with $TiO_2$ Powder in CPC System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1 no.1, 2011년, pp.107 - 112  

황안나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임명희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박범국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김지형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PC 시스템 내에서 $Tio_2$ 슬러리와 UVA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하나인 Bisphenol A(BPA)의 분해와 무기화에 대한 연구이다. 실험 영향인자로는 초기농도, 촉매량, UVA 램프 파워, 온도를 고려하였고, 초기농도는 5, 10, 20 mg/L, 촉매량은 0.1, 0.5, 1.0 g/L, UV 램프는 40, 80, 120 W, 온도는 10, 20, 30 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초기농도 가 5 mg/L일 때 BPA는 반응시간 10분에서 80%이상이 분해되었고, 1시간 이후 10 mg/L에서는 97%, 20 mg/L에서는 49%가 분해되었다. $Tio_2$ 주입량이 0.1, 0.5 g/L일 때 BPA 분해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1시간 이후 약 70%가 분해되었으며, 1 g/L에서는 30분 이후에는 80%이상이 분해되었다. 이것은 촉매량이 증가할수록 오염물질과 반응하는 활성점이 증가하여, 광촉 매 반응 또한 증가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UV 램프가 120W일 때 반응시간 10분에서 BPA는 약 60% 이상 급격히 분해 되었다. 온도에 따른 분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온도를 조절하며 수행하였고, 온도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았다. 10 에서는 1시간 이후 46% 분해되었으며, 20에서 67%, 30에서는 69% 분해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mineralization of bisphenol A (BPA), which has been listed as one of endocrine disruptors, were carried out in the CPC system using $Tio_2$ slurry and UVA irradiation. The degradation efficiency has been investigated under the controlled par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CPC 시스템 내에서 자외선 중 실제 지표면에 도달하는 UVA(365nm) 영역과 동일한 UVA램프와 TiO2 슬러리를 가지고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하나인 비스페놀 A의 분해와 총유기탄소의 제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인자로는 오염물질의 초기농도, UV 램프 파워, 촉매량, 온도를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스페놀 A은 주로 무엇을 생산하는 것에 사용하는가? 비스페놀 A는 플라스틱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polycarbonate 수지, 플라스틱 제조경화제, 식품보존용기 등 폭넓게 다량으로 생산되어 소비되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또한, 극소량으로도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는 유사 에스트로겐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European Commission 에서는 비스페놀 A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영향에 대해 보고하였다(European Commission DG ENV.
비스페놀 A를 주로 사용하는 산업은? 비스페놀 A는 플라스틱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polycarbonate 수지, 플라스틱 제조경화제, 식품보존용기 등 폭넓게 다량으로 생산되어 소비되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또한, 극소량으로도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는 유사 에스트로겐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European Commission 에서는 비스페놀 A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영향에 대해 보고하였다(European Commission DG ENV.
Bisphenol A의 사용에 엄격한 규제가 있는 이유는? 비스페놀 A는 플라스틱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polycarbonate 수지, 플라스틱 제조경화제, 식품보존용기 등 폭넓게 다량으로 생산되어 소비되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또한, 극소량으로도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는 유사 에스트로겐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European Commission 에서는 비스페놀 A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영향에 대해 보고하였다(European Commission DG ENV.,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박재홍, 안상우, 장순웅 (2004) 광촉매반응에 의한 DBP와 Bisphenol A의 제거, 한국폐기물학회논문집, 제21권 제7호,pp. 732-739. 

  2. Chiang, C., Lim, T.M., Tsen, L., and Lee, C.C. (2004)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mineralization of bisphenol A by $TiO_2$ and platinized $TiO_2$ , Applied Catalysis A: General, Vol. 261, pp. 225-237. 

  3. Duran, A., Monteagudo, J.M., and Amores, E. (2008) Solar photo- Fenton degradation of reactive blue 4 in a CPC reactor,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Vol. 80, pp. 42-50. 

  4. European Commission DG ENV.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a priority list of substances for further evaluation of their role in endocrine disruption-preparation of a candidate list of substances as a basis for priority setting, BKH Consulting Engineering, 2000. 

  5. Fernandez-Ibanez, P., Sichel, C., Polo-Lopez, M.I., De Cara-Garcia, M., and Tello, J.C. (2009) Photocatalytic disinfection of natural well water contaminated by Fusarium solanio using $TiO_{2}$ slurry in solar CPC photo-reactors, Catalysis Today, Vol. 144, pp. 62- 68. 

  6. Herrmann, J.-M. (1999) Heterogeneous photocatalysi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to the removal of various types of aqueous pollutants, Catalysis Today, Vol. 53, pp. 115-129. 

  7. Hsien, K.-J., Tsai, W.-T. and Su, T.-Y. (2009)Preparation of diatomite- $TiO_{2}$ composite for photodegradation of bisphenol A in water, J. Sol-Gel Sci. Techn., Vol. 51, pp. 63-69. 

  8. Kaneco, S., Rahman, M.A., Suzuki, T., Katsumata, H., and Ohta, K. (2004) Optimization of solar photocatalytic degradation conditions of bisphenol A in water using titanium dioxide,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A: Chemistry, Vol. 163, pp. 419-424. 

  9. Malato, S., Fernandez-Ibanez, P., Maldonado, M.I., Blanco, J., and Gernjak, W. (2009) Decontamination and disinfection of water by solar photocatalysis: Recent overview and trends, Catalysis Today, Vol. 147, pp. 1-59. 

  10. Oller,I., Gernjak, W., Maldonado, M.I., Perez-Estrada, L.A., Sanchez-Perez, J.A., and Mallato, S. (2006) Sola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some hazardous water-soluble pesticides at pilot-plant scal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B, Vol. 138, pp. 507-517. 

  11. Oyama, T., Yanagisawa, I., Takeuchi, M., Koike, T., Serpone, N., and Hidaka, H. (2009) Remediation of simulated aquatic sites contaminated with recalcitrant substrates by $TiO_{2}$ /ozonation under natural sunlight,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Vol. 91, pp. 242-246. 

  12. Rivas, F.J., Encinas, A., Acedo, B., and Beltran, F.J. (2009) Mineralization of bisphenol A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Vol. 84, pp. 589- 594. 

  13. Tsai, W.-T., Lee, M.-K., Su, T.-Y., and Chang, Y.-M. (2009) Photodegradation of bisphenol-A in a batch $TiO_{2}$ suspension reactor,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68, pp. 269-275. 

  14. Wang, R., Ren, D., Xia, S., Zhang, Y., and Zhao, J.(2009)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Bisphenol A(BPA) using immobilized $TiO_2$ and UV illumination in a horizontal circulating bed photocatalytic reactor(HCBPR),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69, pp.926-932. 

  15. Yang, G.-P., Zhao, X.-K., Sun, X.-J., and Lu, X.-L. (2005) Oxidative degradation fo diethyl phthalate by photochemicallyenhanced Fenton reactio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B, Vol. 126, pp. 112-118. 

  16. Zhao, J., Wu, T., Wu, K., Oikawa, K., Hidaka, H., and Serpone, N. (1998) Photoassisted degradation of dye pollutants. 3. Degradation of the cationic dye rhodamine B in aqueous anionic surfactant/ $TiO_2$ dispersions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evidence for the need of substrate adsorption on $TiO_2$ particl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2, pp. 2394-24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