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상호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oopera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5 no.2, 2011년, pp.209 - 220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  배진희 (예수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박선영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mutual cooperation among those engaged in public and private nursing and social welfare to understand contributing factors. Method: The subjects were 289 nurses and 279 social workers. The level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간호, 사회복지 종사자의 상호 협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공공․민간 간호, 사회복지 종사자의 상호 협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많은 연구들이 개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면서 기관전체의 연계 협력에 대한 것인지 개인차원의 경험에 관한 것인지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질문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인력간 협력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자료수집의 단위가 개인이고, 개인 단위의 협력이 조직간이나 서비스간 협력의 출발점이라는(Kim, M.
  •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간호 · 사회복지 분야의 협력 수준 제고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최근 이용자 중심의 포괄적 서비스 전달과 서비스 질의 향상, 효율적 서비스 전달을 위해 간호 · 복지 분야간 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 민간 부문의 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상호 협력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 정리하면 본 연구는 간호사와 사회복지사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기초로 공공 · 민간 간호, 사회복지 종사자의 상호 협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조직 및 업무 관련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The dummy variable was 0 for without training experience and was 1 for with training experienc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력 혹은 연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는 배경은 무엇인가? 복잡한 문제를 가진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 간 협력 및 연계는 국내․외 대인서비스 분야의 주요한 관심사이자 과제이다 (Raak, Paulus, & Mur-Veeman, 2005). 자원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조직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으로써 조직간 상호협력이 강조되고 있다(Choi, Kang, Choi, & Choi, 2003). 한편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서비스 포괄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써도 분야 간 혹은 조직 간 협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 대인서비스 분야의 주요한 관심사이자 과제는 무엇인가? 복잡한 문제를 가진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 간 협력 및 연계는 국내․외 대인서비스 분야의 주요한 관심사이자 과제이다 (Raak, Paulus, & Mur-Veeman, 2005). 자원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조직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으로써 조직간 상호협력이 강조되고 있다(Choi, Kang, Choi, & Choi, 2003).
양질의 서비스 제공과 효율적 서비스 전달을 위해 어느 분야와 연계 및 협력이 중요해졌나? 인구노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해 양질의 서비스 제공과 효율적 서비스 전달을 위해서 간호(보건)분야와 복지 분야의 연계 및 협력이 특히 중요한 상황이다. Itzhaky, Gerber와 Dekel(2004)은 최근 학제 간 연계 개입 중에서도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협력이 매우 필요하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n, Y. H. (2007).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nd community health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1), 102-109. 

  2. Ann, Y. H., Jang S. J., & Choi, K. (2006). Outcome assessment of a demonstration project on integration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1), 5-15. 

  3. Ann, Y. H., Yang, S. O., Kim, S. S., & Yi, S. E. (2005).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i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9(2), 177-187. 

  4. Bae, E. Y. (2007). A study on networks of community welfar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searching for policy impli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5. Choi, J. S., Kang, Y. S., Choi, S. A., & Choi, S. M. (2003). A study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collaboration among multi-purposed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9, 87-112. 

  6. Davey, B., Levin, E., Iliffe, S., & Kharicha, K. (2005). Integration health and social care: Implications for joint working and community care outcomes for older people.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9(1), 22-34. 

  7. Ducanis, A., & Golin, A. (1979). The intedisciplinary health care team. London : Aspen Systems Corporation. 

  8. Eum, K. W. (2004). A study on connective characteristics between public health welfare institutions in Gunsan. Community Development Research, 4(1), 153-174. 

  9. Ham, C. H. (2003).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agencies in community welfare practice: The attitudes of practitioners and clients of community welfare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5, 309-339. 

  10. Horwath, J., & Morrison, T. (2007). Collaboration, integration and change in children's services: Critical issue and key ingredients. Child Abuse & Neglect, 31, 55-69. 

  11. Itzhaky, H., Gerber, P., & Dekel, R. (2004). Empowerment, skill, and values: A comparative of nurses and social work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1, 447-455. 

  12. Johnson, P., Wistow, G., Schulz, R., & Hardy, B. (2003). Interagency and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in community care: The independence of structure and value.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7(1), 69-83. 

  13. Jung E. H. (2003). Social work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network among social welfare agenc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4. Jung, S. K. (2002). A study on the communitybased linkage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s in Bucheo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5. Kim, I. S., & Woo, A. Y. (2003).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for women in Buch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3, 179-207. 

  16. Kim. J. Y., & Park, S. K. (2001).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r-agency coordination in family violenc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7, 107-147. 

  17. Kim, M. J., & Lee, I. S. (2008).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1, 51-78. 

  18. Kim, M. J. (2004). A study on the coopera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in community health and welfare serv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Kim, T. S., Ham, C. H., & Moon, C. J. (2001). Attitudes toward care management as connecting framework of healthcare and social work within local communi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3, 233-282. 

  20. Kim, Y. S. (2006). A study on linkages health and welfare services in home care for the aged. Health and Social Science, 19, 71-96. 

  21. Kwon, Y. H. (2002). A study on the alternatives for the activation of the visiting nursing works of local public health centers and the social welfare link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2. Lee, E. K. (2010). Working atmosphere and the role of agency influencing collaborative working between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 the application of E-S model to two pilot projec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2(1), 155-183. 

  23. Lo, K. H., & Kim, C. K. (2008). A study on network between of health care services for senior citizens in rural area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7, 235-258. 

  24. Park, J. D. (2003). Social welfare worker's recognition on health profession for coordination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social welfare workers in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Dae-gu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5. Park, K. S. (2008). Network structure of the health and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for the elderly -among the groups of the public welfare offices, privat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nd public health offices. Social Welfare Policy, 35, 245-269. 

  26. Park, M. E. (2002).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linking services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1, 63-91. 

  27. Payne, M. (1993). Linkages: Effective networking in social care. London: Whiting & Birch. 

  28. Raak, V. A., Paulus, A., & Mur-Veeman, I. (2005). Why do health and social care providers co-operate? Health Policy, 74, 13-23. 

  29. So, A. Y., & Hong, M. S. (2005). analysis of health and social needs for the establishment of coordinated health and social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9(2), 188-203. 

  30. Yoo, I. Y. (2003). A study on link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 and barrier`s factors of visiting nurses and social welfare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113-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