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협력 간의 관계
Conflict Management Styl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llaboration among Hospital Nurses and Physician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20 no.1, 2017년, pp.69 - 78  

이임선 (건양대학교병원) ,  김창희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onflict management styl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in hospital nurses and physician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Using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nurses and 107 physicians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의사 간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갈등관리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사-의사 간 협력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사-의사 간 협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간호사-의사 간 협력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사-의사 간 협력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갈등관리유형과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사-의사 간 협력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사와 의사의 의사소통능력은 각각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사 간 협력이란? 간호사-의사 간 협력이란 간호사와 의사가 목적을 공유하는 곳에서 이루어지는 상호과정(interpersonal process)이다(Petri, 2010). 여기서 상호과정이란 사람들 간에 관계를 맺거나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정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환자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 정도는 환자 치유라는 매우 중요한 공통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의 분수령이 될 뿐 아니라(Casanova et al.,2007), 전문직간의 협력을 근간으로 하는 의료시스템을 강화시키는 역할로까지 확장된다(Lee & Kim, 2009). 특히 환자를 중심으로 한 의료진 간의 협력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Tang, Chan, Zouh, &Liaw, 2013).
기존 논문에서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을 바라보는 의사의 경향은 무엇인가? 여기서 상호과정이란 사람들 간에 관계를 맺거나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Tang 등(2013)은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발표된 간호사-의사 간 협력에 관한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 의사는 간호사-의사 간 협력에 대해 간호사보다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반면 협력의 질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간호사-의사 간 협력의 관련 요인은 의사소통, 존경, 신뢰, 불평등한 파워, 서로의 전문적 역할에 대한 이해 차이, 업무의 우선순위 차이 등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 외에도 간호사의 자율성(Suryanto, Plummer, & Copnell,2016), 간호사의 전문적 가치관과 석사 이상의 학력(Brown,Lindell, Dolansky, & Garber, 2015) 등이 간호사-의사 간 협력의 관련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J. Y.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the level of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types of communication, and the types of nursing performance. Unpublished of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 Brown, S. S., Lindell, D. F., Dolansky, M. A., & Garber, J. S. (2015). Nurses professional values and attitudes toward collaboration with physicians. Nursing Ethics, 22(2), 205-216. https://doi.org/10.1177/0969733014533233 

  3. Casanova, J., Day, K., Dorpat, D., Hendricks, B., Theis, L., & Wiesman, S. (2007). Nurse-physician work relations and role expectation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7(2), 68-70. 

  4. Cho, Y. A., Kim, M. K., Cho, M. S., & Nam, E. Y. (2013). Nurses' communications with health profession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 20-32. 

  5. Despins, L. A. (2009). Patient safety and collaboration of the intensive care unit team. Critical Care Nurse, 29(2), 85-91. https://doi.org/10.4037/ccn2009281 

  6. Dingley, C., Daugherty, K., Derieg, M. K., & Persing, R. (2008). Improving patient safety through provider communication strategy enhancements. In Henriksen, K., Battles, J. B., Keyes, M. A., & Grady, M. L. (Ed.) Advances in Patient Safety: New Directions and Alternative Approaches (Vol. 3: Performance and Tool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ug., 1-18. 

  7. Green, R. L. (2001). Practicing the art of leadership: A problem- based approach to implementing the ISLLC standards. NJ: Prentice-Hall. 

  8. Greer, L. L., Jehn, K. A., & Mannix, E. A. (2008). Conflict transformatio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intragroup conflict and the moderating role of conflict resolution. Small Group Research, 39(3), 278-302. 

  9. Hendel, T., Fish, M. M., & Berger, O. B. (2007). Nurse/physician conflict management mode choices: Implications for improved collaborative practi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31(3), 244-253. https://doi.org/10.1097/01.NAQ.0000278938.57115.75 

  10. Hong, J. Y., Kim, O. H., & Lee, E. K. (2009). The relationship among nurse-doctor collaboratio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4), 601-609. 

  11. Hur, G. H.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26. 

  12. Im, S. I., Kim, H. S., & Park, J. (2012).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74-282. 

  13. Kilmann, R. H., & Thomas, K. W. (1975). Interpersonal conflict handling behavior as reflections of jungian personality dimensions. Psychological Report, 37, 971-980. 

  14. Kim, K. J., Han, J. S., Seo, M. S., Jang, B. H., Park, M. M., Ham, H. M., et al. (2012).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2), 213-221. 

  15. Kim, T. H., Lee, K. N., & Park, K. M. (2008). An analysis on the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8(2), 127-142. 

  16. Lee, A. K., Yeo, J. Y., Jung, S. W., & Byun, S. S. (2013).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299-308. 

  17. Lee, H. S., & Kim, J. K. (2010).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4), 488-496. 

  18. Lee, K. H.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approach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19. Lee, Y. K., & Kim, O. H. (2009). Collaboration between nurse-doctor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e. Medical Communication, 4(1), 49-57. 

  20. Mun, E. H. (201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cale (K-NP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1. Oh, H. K. (2008).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organization conflicts for nurses in hospital set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2. Papa, M. J. (1989). Communicator competence and employee performance with new technology.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55(1), 87-101. 

  23. Petri, L. (2010). Concept analysis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Nursing Forum, 45(2), 73-82. https://doi.org/10.1111/j.1744-6198.2010.00167.x 

  24. Schmalenberg, C., & Kramer, M. (2009).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in hospitals: 20,000 Nurses tell their story. Critical Care Nurse, 29(1), 74-83. https://doi.org/10.4037/ccn2009436 

  25. Suryanto, M., Plummer, V., & Copnell, B. (2016).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in an Indonesian emergency department.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19(2), 82-89. https://doi.org/10.1016/j.aenj.2016.04.001 

  26. Tang, C. J., Chan S. W., Zhou, W. T., & Liaw, S. Y. (2013). Collaboration between hospital physicians and nurse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0(3), 291-302. https://doi.org/10.1111/inr.12034 

  27. Thomas, E. J., Sexton, J. B., & Helmreich, R. L. (2003). Discrepant attitudes about teamwork among critical care nurses and physicians. Critical Care Medicine, 31(3), 956-959. https://doi.org/10.1097/01.CCM.0000056183.89175.76 

  28. Ushiro, R. (2009).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7), 1497-150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011.x 

  29. Woo, S. H. (2000). Literature review with collaboration between doctors and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7(1), 73-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