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터민(탈북자)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5 no.2, 2011년, pp.221 - 232  

신기수 (적십자간호대학) ,  조갑출 (적십자간호대학) ,  양선희 (적십자간호대학) ,  이옥철 (적십자간호대학) ,  백희정 (적십자간호대학) ,  이규영 (적십자간호대학) ,  이숙정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sough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Sae-Tu-Min) by studying the quality of life(QoL)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problems. Methods: The targeted subjects were 1400 North Korean settlers who were receiving settlement service by K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새터민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새터민의 일반적 특성과 인지된 건강문제에 따른 삶의 질을 파악하여 새터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이후 남한에 입국하여 하나 원을 통해 교육을 받은 새터민을 대상으로 탈북 후 남한사회에서 다각적으로 적응을 잘 하고 있는 지 파악 하기 위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SF-36)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터민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여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에서 새터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인지된 건강문제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을 살펴보았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의료인들은 새터민을 사회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각각의 영역에서 저하된 삶의 질에 대한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새터민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건강관리 방안과 다차원적인 노력을 간구해야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 측정도구 중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Koh, Chang, Kang, Cha, & Park, 1997)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인 Medical Outcome Survey 36-Item Short Form(SF-36)을 이용하여, 새터민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다른 집단과 객관적으로 비교하여 새터민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터민이란 무엇인가? 북한 이탈주민, 즉 탈북자를 말하는 것으로 2005년초 통일부에 의하여 새터민이라는 명칭으로 전환하였다. 새터민이란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한 때 귀순주민, 탈북자, 북한이탈주민 둥 다양한 표현으로 사용했던 것을 새롭게 순우리 말로 고친 것이다(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0).
새터민의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는 새터민의 정신건강을 측정한 점수가 우울증 환자 보다는 좋고, 일반인 보다는 다소 나빠 가벼운 우울증이 있음을 보고한 Min, Jeon, Son과 Kim (2003)의 선행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새터민의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관계나 풍요한 환경보다 신체적 건강영역과 정신적 건강영역임으로 (Min et al., 2006) 무엇보다 신체적 건강을 포함한 정서적 측면이 깊이 있게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새터민이 겪는 건강 문제는 무엇인가? 특히, 새터민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건강에 문제를 갖고 있다. 북한에서의 식량난과 열악한 생활환경으로 인한 건강상태의 악화와 탈출 후 입국하는 과정에서 받는 생존에 대한 위협 등으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위협을 받는다. 입국 당시 갖고 있던 질환과 지속적인 긴장된 삶 속에서 잠재된 질병들이 입국 후 발병하는 사례도 많다(Park, 2001). 건강상태 악화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어려움과 정보부족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어려워 건강문제 해결이 어렵다(Jeon et al., 2006; Yoon & Kim, 2005). 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걱정과 외로움, 남한사람과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 등으로 인하여 정신건강 상태도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다(Jo,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e, M. A., & Choi, J. A. (2009). A study on treatment-seeking behavior of middleaged and old-age Saeteomin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1, 285-316. 

  2. Choe, M. A., Kim, J. I., Chae, Y. R., Jeon, M. Y., & You, C. H. (2004).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relationship of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6(1), 99-105. 

  3. Ha, S. H. (2004). A study on the settlement policy south Korean society for nort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 Han, S. S., Kim, K. W., Na. K. Y., Chae, D. W., Kim, Y. S., Kim, S., & Chin, H. J. (2009). Quality of life and mortality from a nephrologist's view: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C Nephrology, 11(24), 10-39. 

  5. Jang, J. H. (2010).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Retrieved Dec 10, 2010, from http;//news.mk.co.kr/v3/view.php?year2010&no623149. 

  6. Jeon, W. T., Yu, S. E., Cho, Y. A., Hong, C., Um, J. S., & Seo, S. W. (2006). 3 year follow up study of the way of thinking and satisfaction level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5(3), 252-268. 

  7. Jin, Y. T. (2003). Quality of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Kangwon-do. 

  8. Jo, Y. A. (2005, May 3rd). Understanding of psychologic aspects for north Korean defector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missionary work for north Korea defectors, Seoul, Korea . 

  9. Kim, G. O. (2002). Study on response program of social welfare for adaption to society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0. Koochek, A., Montazeri, A., Johansson, S. E., & Sundquist, J. (2007).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migration: A crosssectional study on elderly Iranians in Sweden.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 5:60 doi:10.1186/1477-7525-5-60. 

  11. Koh, S. B., Chang, S. J., Kang, M. G., Cha, B. S., & Park, J. K. (1997).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Journal of Korean Preventive Medicine, 30(2), 251-266. 

  12. Lee, S. J. (2005). A study on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women in China: Focused on the issues of human trafficking and forced repatri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3. Magilvy, J. K. (1985). Quality of life of hearing-impared older women. Nursing Research, 34(3), 140-144. 

  14. Min, S. G. (2005). Unified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psychiatric. Behavioral Science in Medicine, 1, 28-46. 

  15. Min, S. K., Jeon, W. T., Son, S. W., & Kim, D. K. (2003). Quality of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Social Psychiatry, 8, 28-38. 

  16. Min, S. K., Jeon, W. T., & Kim, D. K. (2006). Quality of life North Korea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5(3), 269-275. 

  17.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0). Dictionary of current affairs of economic terms.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18. Mun, Y. (2005).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using the SF36.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Oh, Y. J. (2006). Saeteomins' post-traumatic stress accompanied by trauma and sha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 Park, H. J. (2008).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from EMF exposure in living condi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Seoul. 

  21. Park, J. Y., Son, M. S., & Lee, M. G. (2000). Aspects of diseases and health care system of North Korea.: Health care in South and North Korea Nov 1. Seoul: Editorial department of Aju South-North health care research center. 

  22. Park, Y. H. (2001). Defection clinical intervention for familie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 institute of family social work 8th workshop announcement, Seoul, Korea 

  23. Ro, Y. J. (1988).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dults in Seoul on the analysis of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Sagrov, S. (2005). Health, quality of life and cancer.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2, 233-240. 

  25. Ware, J. E., Konsinski & Dewey (2001). How to score version 2 of the SF-36 health survey (Stand & Acute Form). 3rd Edition.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6. Ware, J. E., Jr,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6), 473-83. 

  27. Yoon, I. J. (1999). The state of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s/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Journal of Korean Sociology, 33, 511-551. 

  28. Yoon, I. J., & Kim, S. H. (2005). Health and medical car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17(6), 149-182. 

  29. Young, K. J., & Longman, A. J. (1983). Quality of life and person with melanoma: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6, 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