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숙인 쉼터 거주 노인의 우울 관련 요인
Depression Related Factors of Elderly Residence in Homeless Shelt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5 no.2, 2011년, pp.289 - 301  

한영란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윤희상 (서울여자간호대학) ,  최애숙 (혜천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ealth behaviors, perceived health status, emotional and cognitive condition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residence in homeless shelters,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on their depression. Method: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using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숙인 쉼터거주 노인의 건강행태, 주관적 건강인식, 정서 및 인지상태와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우울과 관련 있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숙인쉼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주관적 건강인식, 정서 및 인지상태와 우울정도에 대해 파악하고 우울과 관련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노숙인 쉼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거주자의 우울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일예로 노숙인들이 생활하고 있는 각 지역의 공공의료 기관, 즉 보건소등의 협조를 받아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실시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숙인 쉼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주관적 건강인식, 정서 및 인지상태와 우울정도에 대해 파악하고 우울과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차후 정책마련 및 건강관리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 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숙인 문제가 경제 외환위기 이후 부각되기 시작한 이유는? 노숙인 문제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 존재했지만 경제외환 위기이전에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소수의 사회 부적응자 또는 정신질환자들의 문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외환위기 이후 일부 저소득층 근로자들이 노숙인에 편입되면서 숫자가 증가되자, 일반인도 노숙인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어 이 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실업률은 경제외환위기 이후인 1998년에 7%로 가장 높았고, 2000년에는 4%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0년에 다시 5%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Statistics Korea, 2010).
노숙인이란? 최근 제정된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1) 에 의하면, 노숙인은 ‘상당한 기간 동안 일정한 주거 없이 생활하는 자, 노숙인 시설을 이용하거나 상당한 기간 동안 노숙인 시설에서 생활하는 자, 상당한 기간 동안 주거로서의 적절성이 현저히 낮은 곳에서 생활하는 자’를 말하며, 쉼터이용 노숙인과 거리 노숙인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비율을 보면 2009년 4,664명 중 쉼터 이용자가 3,404명, 거리 노숙인이 1,260명으로 쉼터이용 노숙인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노숙인 문제가 경제외환 위기이전에 크게 부각되지 않은 이유는? 노숙인 문제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 존재했지만 경제외환 위기이전에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소수의 사회 부적응자 또는 정신질환자들의 문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외환위기 이후 일부 저소득층 근로자들이 노숙인에 편입되면서 숫자가 증가되자, 일반인도 노숙인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어 이 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tter Health Channel. (2011). Depression and exercise. Retrieved July 21, 2011. from http//www.betterhealth.uic.gov.ou. 

  2. Choi, H. J. (2006).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using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2), 119-129. 

  3. Crane, M., & Warnes, A. M. (2010). Homelessness among older people and service responses.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20, 354-363. 

  4. Han, O. S., Hong, J. P., Ha, J. H., Lee, C., Kim, C. Y., Lee, D. W., & Park, J. I. (2001).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homeless people in a city shelter.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5), 804- 812. 

  5. Han, S. S., Kang, S. W., Yoo, W. K., & Phee, Y. G. (2009).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9(1), 192-212. 

  6. Han, Y. R., Song, M. S., Yoon, H. S., & Choi, A. S. (2009). Health status of homeless shelter residents and suggestions of applicable strategies to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Unpublished manuscript. 

  7. Joyce, D., & Limbos, M. (2009). Identifica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nd mental illness in elderly homeless men. Canadian Family Physician, 55(1110-1), e1-6. 

  8.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9. Lee, J. A., & Kim, J. M. (2010).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4), 1311-1327. 

  10. Lee, B. J. (2009). Cooperation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Mission for the homeless. Retrieved February 25, 2009. In Homeless survey reports and debates.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Korea Diakonia, Seoul. 

  11. Lee, H. S., Kim, H. S., & Jung, Y. M. (2009).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 12-22. 

  12. Lee, T. J., Seo, D. W., Kim, M. S., Nam, G. C., & Kim, S. M. (2003). Strategy for supporting system for homeless and tramp. Korea Institute for Heath and Social Affairs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3. Lee, T. J., No, D. M., Nam, G. C., Jeong, W. O., Joo, Y. S., Kim, S. M., & Woo, S. H. (2007). Evaluation and improvement strategy for homeless policy. Korea Institute for Heath and Social Affairs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 guidebook, Retrieved March 2, 2010, from http://www.mw.go.kr/front/sch /search.jsp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009 Heath and welfare white paper. Retrieved July 22, 2011, from http://www.mohw.go.kr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200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trieved July 21, 2011. from http://knhanes.cdc.go.kr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2009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trieved July 21, 2011. from http://knhanes.cdc.go.kr 

  1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1). Act on welfare and support of self reliance for homeless. Retrieved July 22, 2011, from http://www.mole .go.kr 

  19. Nam, E. W., Ryu, H. G., & Shin., S. H. (2000). The study of homeless' health behavior in Pusan a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6(2), 189-200. 

  20. O'Connell, J. J. (2004). The health care of homeless persons: IV-depression, Boston Health Care for the Homeless Program. 

  21. Park, H. S., & Lyu., S. J. (2004).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mong the homeless in shelter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4), 655-664. 

  22. Park, S. Y. (2009). A study on depression, ADL, IADL, and QOL among community - dwelling,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3(1), 78-90. 

  23. Ploeg, J., Hayward, L., woodward, C., & Johnston, R. (2008). A case of a canadian homelessness intervention programme for elderly people.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6(6), 593-605. 

  24. Reynolds, C. F., Alexopoulos, G. S., & Katz, I. (2002). Geriatric depression: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n Aging, 26(1), 28-31. 

  25. Stergiopoulos, V., & Herrmann, N. (2003). Old and homeless: A review and survey of older adults who use shelters in an urban setting.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48(6), 374-491. 

  26. Song, H. J., Cho C. H., Kang, J. H., Hwang, W. S., & Han, H. K. (2000). Health status and behavior of homeless in seou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1(3), 357-366. 

  27. Song, M. S., Song, H. T., & Mok, J. Y. (2003). Community based cross-sectional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3(4), 127-142. 

  28. Statistics Korea (2010). Number of unemployment, employment rate trends. Retrieved July 22, 2011, from http://www.index.go.k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63& bbsINDX_001 

  29. Turnbull, J., Muckle, W., & Masters, C. (2007). Homelessness and health.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77(9), 1065-1066. 

  30. Yoon, K. A., & Rho, B. I. (2005). Factors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urban homeles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1), 219-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