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전지의 충방전 특성에 대한 전산 모델링
Computational Modeling of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Lithium-Ion Batteries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0 no.4 = no.68, 2011년, pp.278 - 285  

이대현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윤도영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 전지의 충 방전 특성에 관한 모델링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전지의 시스템 구성은 단순화된 2차원 형태의 단일셀에 대하여 모델링하였고, 공학적 편미분방정식 풀이자인 FEMLAB을 이용하여 288 K와 318 K 범위내에서 충방전 특성에 대한 열적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에 채택한 물성치 변수들에 대하여 온도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전지의 특징적인 충방전의 사이클 변화와 충방전 전하량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전산모사하였다. 그 결과 충방전 속도에 상관없이 충방전의 주기가 온도가 낮아질수록 짧아짐을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부가하여 전지내에서 리튬이온의 물질전달 현상을 해석하여, 전지의 충방전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utational modelling and simulation for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Lithium-ion batteries have been carried out. The battery system consists of a simplified 2-dimensional single cell for the modelling, in which the thermal modelling on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was condu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낮은 온도에서 방전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확산속도에 의해 확산제한이 걸리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물질전달 계수, 이온 전도성 등 온도 의존성의 변수들에 의해 리튬이온 전지의 열적 거동이 민감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계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특성에 대한 모델링을 통해 전산모사 기법을 구축하고 동시에 전지의 제반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상용 편미분 풀이자인 FEMLAB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리튬 이온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모델링하고 이를 위한 전산모사 기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여러 온도에서 전극과 전해질의 물질전달 방정식과, 수정된 Ohm의 법칙을 적용하여 전하방정식 중심으로 계산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온전지는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무엇이 좋은가? 1990년부터 상용화가 된 이후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는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가벼운 무게와 함께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을 가지고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전지의 형태와 재료의 최적화가 용이하므로, 최근 차세대 에너지원은 물론 Hybrid Electric Vehicle(HEV)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매체로도 각광받고 있다 [1].
리튬이온전지는 어떤 이유로 각광받고 있는가? 1990년부터 상용화가 된 이후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는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가벼운 무게와 함께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을 가지고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전지의 형태와 재료의 최적화가 용이하므로, 최근 차세대 에너지원은 물론 Hybrid Electric Vehicle(HEV)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매체로도 각광받고 있다 [1].
리튬 이온전지는 무엇이 문제가 되는가? 리튬 이온전지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하고 있는데, 특히 전지내에서 리튬이온이 방전되는 동안 비가역적인 부반응이 진행되거나 심한 경우 폭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온도 민감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리튬이온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열적모델링을 통한 리튬 이온전지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Winter, M. and Brodd, R. J.: "What are batteries, fuel cells, and supercapacitors?", Chemical Review, Vol. 104, 4245-4269, (2004). 

  2. Fuller, T.F., Doyle, M., and Newman, J.: "Simul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dual lithium ion insertion cell", J. Electrochem. Soc., Vol. 141(1), 1-10, (1995). 

  3. Doyle, M. and Newman, J.: "Comparison of modeling predictions with experimental data from plastic lithium ion cells", J. Electrochem. Soc., Vol. 143(6), 1890-1899. (1996). 

  4. Arora, P., Doyle, M., Gozdz, A. S., White, R .E. and Newman, J.: "Comparison between computer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data for high-rate discharges of plastic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Vol. 88, 219-231, (2000). 

  5. Pals, R, C. and Newman, J.: "Thermal modeling of the lithium/polymer battery", J. Electrochem. Soc., Vol. 142, 3274-3281 (1995). 

  6. Valoen, L. O. and Reimers, J.N.: "Transport Properties of LiPF6-based Li-ion battery electrolytes", J. Electrochem. Soc., Vol. 152(5), A882-A891, (2005). 

  7. Kumaresan, K., Sikha, G., White, R.E.: "Thermal medel for a Li-ion cell", J. Electrochem. Soc., Vol. 155(2), A164-A171, (2008). 

  8. Doyle, M., Fuller, T. F., and Newman, J.: "Modeling of galvanostatic charge and discharge of the lithium/ polymer/insertion cell", J. Electrochem. Soc., Vol. 140(6), 1526-1533, (1993). 

  9. Sihka, G., Popov, N. B., and White, R. E.: "Effect of porosity on the capacity fade of a lithium-ion battery", J. Electrochem. Soc., Vol. 151(7), A1104-A111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