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실 제거가 '부유' 단감 유목의 질소화합물 분배와 축적 및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fruiting on Nitrogen Partitioning, Accumulation, and Remobilization of Young Trees in 'Fuyu' Persimmon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9 no.4, 2011년, pp.306 - 310  

박수정 (경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4년생인 '부유' 감나무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착과수와 결실 후 어린 과실을 따버린 제과수의 수체 부위별 질소화합물 분배 비율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저장양분의 축적 그리고 다음해 새로운 생장에 이들 저장양분의 재이용 관계를 구명하였다. 6월 15일부터 11월 1일까지 아미노산은 착과수의 영구기관에서 변화의 일관성이 없는 반면 제과수에서는 아미노산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착과수와 비교하면, 제과수의 영구기관에 축적된 주당 아미노산 함량이 3년생은 1.66g, 4년생은 3.48g 많았다. 이 기간 동안 착과수에서는 증가한 총 단백질의 50% 이하가 영구기관으로 분배되었으나 제과수에서는 그 비율이 90% 이상이었고, 특히 뿌리로 분배된 비율이 3년생은 94%, 4년생은 76%에 달하여 뿌리의 단백질 축적이 현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착과수의 영구기관에 축적된 주당 단백질 함량과 비교하면 제과수의 3년생은 1.64g, 4년생은 2.58g이 많았다. 이 기간 동안 질소화합물이 착과수의 잎에서 0.50-0.56g이 감소하였고, 과실에서 0.66-0.78g이 증가하였다. 이듬해 신초생장기 동안 아미노산은 전년도 착과수와 제과수의 영구기관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단백질은 전년도 제과수의 뿌리에서 특히 감소하였다. 새로운 생장 부위의 아미노산과 단백질은 전년도 제과수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과수는 착과수보다 뿌리를 주축으로 하는 영구기관에 더 많은 질소화합물을 축적함으로써 다음해의 생장과 결실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in various parts of 3- and 4-year-old persimmon (Diospyros kaki cv. Fuyu) with fruits (fruited) and without fruits (defruited). The effect of the changes was then related to the storage and their reutilization for new grow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적인 수준으로 착과시킨 감나무와 과실을 완전히 제거한 감나무의 유목에 있어서 뿌리를 포함한 수체 부위별 질소화합물 분배와 축적의 변화를 밝히고, 다음해 축적된 질소화합물의 재이용과 새로운 생장부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착과 유무라는 극단적인 경우만을 전제로 질소화합물의 분배와 함께 양적인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를 조사하였다. 화분에 재식된 유목을 공시한 실험이므로 근권이 제한되지 않는 포장에서나 성목의 경우에도 이러한 결과가 재현될 수 있을지는 과제로 남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수의 수체에 축적되는 저장양분의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데 표지가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과수의 수체에 축적되는 저장양분은 다음해 생장과 과실생산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저장양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Cheng and Fuchigami, 2002; Taylor and May, 1967; Titus and Kang, 1982). 저장양분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데 표지가 될 수 있는 부위별 물질분배는 과학적인 수체 관리를 위해 반드시 이해되어야 한다. 수용부위 활성이 높은 과실이 많으면 많을수록 다른 부위로 분배되는 물질의 양이 그만큼 줄어들고, 이는 저장양분 부족으로 나타나 다음해 수체 생장과 과실생산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Choi et al.
감나무의 저장양분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감나무의 발육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신초나 과실과 같은 특정 부위에 한정되었을 뿐 수체 모든 부위에 대한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경우는 드물다. 감나무의 저장양분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착과량이라 할 수 있다(Choi et al., 2002, 2010a; Collins and George, 1997).
저장양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02, 2010a; Collins and George, 1997). 과수의 수체에 축적되는 저장양분은 다음해 생장과 과실생산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저장양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Cheng and Fuchigami, 2002; Taylor and May, 1967; Titus and Kang, 1982). 저장양분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데 표지가 될 수 있는 부위별 물질분배는 과학적인 수체 관리를 위해 반드시 이해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eng, L. and L.H. Fuchigami. 2002. Growth of young apple trees in relation to reserve nitrogen and carbohydrates. Tree Physiol. 22:1297-1303. 

  2. Choi, S.T., D.S. Park, S.M. Kang, and Y.C. Cho. 2010a. Effect of fruit-load on the growth, absorption, and partitioning of inorganic nutrients in young 'Fuyu' persimmon trees. Sci. Hort. 126:408-412. 

  3. Choi, S.T., S.M. Kang, D.S. Park, W.D. Song, and G.H. Ahn. 2003. Effect of different severities of summer pruning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tree growth in young 'Fuyu' and 'Nishimurawase' persimmon. J. Kor. Soc. Hort. Sci. 44:569-578. 

  4. Choi, S.T., S.M. Kang, D.S. Park, W.D. Song, and K.K. Seo. 2002. Thinning effect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reserve accumulation of persimmon trees defoliated in early autumn. J. Kor. Soc. Hort. Sci. 43:660-665. 

  5. Choi, S.T., W.D. Song, D.S. Park, and S.M. Kang. 2010b. Effect of different girdling dates on tree growth, fruit characteristics and reserve accumulation in a late-maturing persimmon. Sci. Hort. 126:152-155. 

  6. Collins, R.J. and A.P. George. 1997. Managing crop load on non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L.) grown in the subtropics. Acta Hort. 436:251-260. 

  7. George, A.P., R.J. Nissen, R.J. Collins, and T.S. Rasmussen. 1995. Effects of fruit thinning, pollination and paclobutrazol on fruit set and size of persimmon (Diospyros kaki L.) in subtropical Australia. J. Hort. Sci. 70:477-484. 

  8. Kang, S.M., K.C. Ko, and J.S. Titus. 1982. Mobilization and metabolism of protein and soluble nitrogen during spring growth of apple trees. J. Amer. Soc. Hort. Sci. 107:209-213. 

  9. Kim, J.C. and S.M. Kang. 2006. Fruit-load effect on seasonal changes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s in shoots of mature persimmon trees during senescence. Hort. Environ. Biotechnol. 47:329-335. 

  10. Kim, Y.K., C.S. Lim, S.M. Kang, and J.L. Cho. 2009. Root storage of nitrogen applied in autumn and its remobilization to new growth in spring of persimmon trees (Diospyros kaki cv. Fuyu). Sci. Hort. 119:193-196. 

  11. Park, D.S., S.M. Kang, G.M. Shon, C.W. Ro, and W.K. Shin. 1999. Growth and carbohydrate accumulation of shoots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Fuyu' persimmon as affected by the size of bearing mother branches. J. Kor. Soc. Hort. Sci. 40:455-458. 

  12. Park, D.S., S.M. Kang, S.T. Choi, C.A. Lim, and W.D. Song. 2003. Effect of secondary-shoot prunings on fruit growth and following year's fruit set of 'Fuyu' persimmon. J. Kor. Soc. Hort. Sci. 44:678-682. 

  13. Park, D.S., S.T. Choi, K.K. Seo, K.H. Ahn, S.C. Kim, W.D. Song, and S.M. Kang. 2000. Shoot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Fuyu' persimmon as affected by the size of bearing mother branches and the time of fruit-load adjustment. J. Kor. Soc. Hort. Sci. 41:401-405. 

  14. Park, D.S., S.T. Choi, S.C. Kim, and S.M. Kang. 2008. Yield, fruit quality, and branch extension of 'Fuyu' persimmon as affected by the length of bearing mother branches. Kor. J. Hort. Sci. Technol. 26:101-105. 

  15. Park, S.J. 2002. Effect of different degrees of defoliation on fruit quality, reserve accumulation and early growth of young Fuyu persimmon. Kor. J. Hort. Sci. Technol. 20:110-113. 

  16. Taylor, B.K. and L.H. May. 1967. The nitrogen nutrition of the peach tree. II. Storage and mobilization of nitrogen in young trees. Austral. J. Biol. Sci. 20:389-411. 

  17. Titus, J.S. and S.M. Kang. 1982. Nitrgen metabolism, translocation, and recycling in apple trees. Hort. Rev. 4:204-246. 

  18. Yoon, M.S. 1996. Seasonal changes of nitrogenous compounds and carbohydrates in one-year-old seedling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J. Kor. Soc. Hort. Sci. 37:257-2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