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연령 차이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s and Problem Drinking: Age Differences in Korean Male Workers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2, 2011년, pp.119 - 129  

전경숙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firstly examined the pattern and prevalence of drinking. Secondl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various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ale workers in different age groups.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a weighted population of 3,289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를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한 “2006년 근로환경 조사”(Park, Lee, & Kim, 2007) 자료를 이용하여 남성근로자에 국한하여 연령그룹에 따른 음주 수준 및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심리적 작업 환경 특성과 문제음주와의 관련성이 연령그룹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연령 그룹에 따라 음주 수준 및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 연령그룹에 따라 사회심리적 특성과 문제음주와의 관련성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남성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특성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가설 설정

  • 기존의 국내·외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한국 남성근로자에 있어서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특성은 문제음주와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사회심리적 작업환경특성과 문제음주 사이의 관련성은 연령그룹별로 다를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남성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특성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본 연구자료 또한 음주에 대해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내포하고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문제음주와 영향요인 사이의 관계가 과소평가될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작업환경 요인 뿐 만 아니라 다른 중요 작업환경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폭음을 ‘한 번의 음주 시 소주 7잔 이상 마시는 횟수를 한 달에 한번 이상’으로 정의하고 AUDIT-C의 총점 기준에 의해 문제음주를 정의 하였으나 논의를 위해 비교한 기존 연구들은 AUDIT 총점 또는 CAGE에 의한 측정을 활용하였기에 직접 비교에 주의를 요한다. 다행히 최근 국내 연구를 통해 AUDIT-C의 민감도 및 타당도가 AUDIT-K와 유사한 수준임이 확인된 바 있다(Seong et al., 2009). 셋째, 본 연구는 단면조사연구이므로 문제음주와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요인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기가 어렵다. 즉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요인이 문제음주 위험을 높일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문제음주가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문제음주가 원인이 되어 근로자는 조직에서 동료 및 상사와 갈등을 경험하고 결국 그들의 지지를 받지 못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음주에 대한 작업환경의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향후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이란? 사회심리적 작업환경이란 직무긴장, 직무 스트레스,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와 같은 업무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측면의 작업환경을 말하며, 그동안 사회심리적 작업환경 특성과 음주 소비, 문제음주, 알코올 의존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연구결과가 일치되지 않고 여전히 불명확한 부분이 남아있다.
직업적 측면에서도 근로자가 과도한 음주를 하는 경우 무엇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 , 2010). 직업적 측면에서도 근로자가 과도한 음주를 하는 경우 지각이나 결근이 발생하고 근무태만, 조직 몰입 및 업무 수행능력 저하 및 사고와 질병 등의 산업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Lee & Jekarl, 2002). 최근 국내 연구(Lee, 2006)에 따르면 직장인의 지난 1년간 음주경험은 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sh, K., Kivlahan, D. R., McDonell, M. B., Fihn, S. D., & Bradley, K. A. (1998). The AUDI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AUDIT-C): An effectiveness brief screening test for problem drinking. Ambulatory care quality improvement project(ACQUIP).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rchive of International Medicine, 158, 1789-1795. 

  2. Chon, S. H., Kim, J. T., Cho, J. J., & Ryoo, J. G. (2010). Job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stress on health behavior in Korean worker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 31 , 444-452. 

  3. Clarke, M., Farid, B., & Romaniuk, H. (1990). Occupational risk factors in alcoholism.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5, 1611-1614. 

  4. Cooper, M. L., Russel, M., & Frone, M. R. (1990). Work stress and alcohol effects: A test of stress-induced drink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1, 260-276. 

  5. Crum, R. M., Muntaner, C., Eaton, W. W., & Anthony, J. C. (1995). Occupational stress and the risk of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9 , 647-655. 

  6. Gordon, A. J., Maisto, S. A., Mcneil, M., Kraemer, K. L., Conigliaro, R. L., Kelly, M. E., et al. (2001). Three questions can detect hazardous drinkers. Journal of Family Practice, 50 (4), 313-320. 

  7. Hagihara, A., Tarumi, K., & Nobutomo, K. (2003).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alcohol consumpti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4, 874-8 7 3 . 

  8. Head, J., Stansfeld, S. A., & Siegrist, J. (2004).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alcohol dependence: A prospective stud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1 , 219-244. 

  9. Hemmingsson, T., & Lundberg, I. (1998). Work control, work demands, and work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alcoholism among young men.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2 , 921-927. 

  10. Hingson, R., Mangione, T., & Barrett, J. (1981). Job characteristics and drinking practices in the Bosto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2 , 725-738. 

  11. Hiro, H., Kawakami, N., Tanaka, K., & Nakamura, K. (2007).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ors and heavy drinking: Age differences in male Japanese workers. Industrial Health, 45, 415-425. 

  12. House, J. S., Strecher, V., Metzner, H. L., & Robbins, C. A. (1986).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among men and women in the Tecumseh health stud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 , 62-77. 

  13. Jekarl, J., Kim, K. K., & Lee, J. T. (2010).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rinker's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 and alcohol problems among employee. Health and Social Science, 28, 5-31. 

  14. Jeon, G. S., & Lee, H. Y. (2010). Associated factors of binge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 (1), 91-103.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a).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Retrieved June 15, 2011, from http://kostat.go.kr/kssc/main/MainAction.do?methodsub&catgrp kssc&catid1kssc01&catid2kssc01a&catid3kssc01ac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b).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Retrieved June 15, 2011, from http://kostat.go.kr/kssc/main/MainAction.do?methodsub&catgrpkssc&catid1kssc02&catid2kssc02a&catid3kssc02ab 

  17. Kweon, G. Y. (2005).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of employees: Focus on the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 (2), 93-188. 

  18. Lee, H. J., & Jekarl, J. (2002). Survey on alcohol use of workers for developing employee assistance program (2002-1). Seoul: Korea Drinking Culture and Alcohol Research. 

  19. Lee, S., Chung, W., Kim, I. S., Kim, H. J., Cho, W., Shin, E., et al. (2008). Socioeconomic costs of alcohol drink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9 (3), 201-212. 

  20. Lee, S. Y. (2006). Study on factors having effect on drinking behavior of office worker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7 (2), 113-136. 

  21. Mensch, B. S., & Kandel, D. B. (1988). Do job conditions influence the use of dru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9, 169-184. 

  22. Parent-Thirion, A., Fernandez Macias, E., Hurley, J., & Vermeylen, G. (2007).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Retrieved June 10, 2011, from http://www.eurofound.europa.eu/pubdocs/2006/98/en/2/ef0698en.pdf 

  23. Park, J. S., Lee, G. H., & Kim, J. H. (2007). Report on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in 2006.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4. Room, R., Ferris, J., Laslett, A. M., Livingston, M., Mugavin, J., & Wilkinson, C. (2010). The drinker's effect on the social environment: A conceptual framework for studying alcohol's harm to 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7 , 1856-1871 

  25. San Jose, B., van de Mheen, H., van Oers, J. A., Mackenbach, J. P., & Garretsen, H. F. (2000). Adverse working conditions and alcohol use in men and women.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4 (8), 1207-1213. 

  26. Seong, J. H., Lee, C. H., Do, H. J., Oh, S. W., Lym, Y. L., Choi, J. K., et al. (2009). Performance of the AUDI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AUDIT-C) and AUDIT-K question 3 alone in screening for problem drinking.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395-702. 

  27. Vasse, R. M., Nijhuis, F. J., & Kok, G. (1998). Associations between work stress, alcohol consumption and sickness absence. Addiction, 93 (2), 231-241. 

  28. Yoo, I. Y., Choi, J. Y., & Jung, M. H. (2004). Level of problem drinking, health status and perception of need for moderate drinking by male blue-collar workers in steel facto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 (4), 467-474. 

  29. Yoon, S. H., Bae, J. Y., Lee, S. W., An, K. E., & Kim, S. E. (2006).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among Korean men. Health And Social Sciences , 6 , 31-50. 

  30. Yoon, H. Y., & Park, J. J. (2008). A study on job stress of workers at distribution industry.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31 (4), 4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