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직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Mental Health of Offic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3, 2013년, pp.228 - 239  

전경자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산업환경보건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s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stress, depression, and burn-out among office workers. Method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31 office workers who worked in one workplace from April 10 to 30, 2012. The impact of psychosocial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다면적인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근로자 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다면적인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파악한다. • 사무직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자기효능감,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한다. •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자기효능감이란?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은 사회심리적 측면의 업무환경으로 근골격계질환, 심혈관질환, 정신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다(Kristensen, Hannerz, Høgh, & Borg, 2005). 자기효능감은 특정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근로자는 과업 수행에 대한 장애를 더 적게 인식하고 정신 건강 문제를 더 적게 야기하며 조직에서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Alligood & Marriner Tomey, 2010; Han, 2005).
자기효능감이 높은 근로자의 특징은? 자기효능감은 특정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근로자는 과업 수행에 대한 장애를 더 적게 인식하고 정신 건강 문제를 더 적게 야기하며 조직에서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Alligood & Marriner Tomey, 2010; Han, 2005). 따라서 근로자의 정신건강 중재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lligood, M. R., & Marriner-Tomey, A. (2010).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7th ed.). Maryland Heights, Mo: Mosby/ Elsevier, 434-453. 

  2. Aust, B., Rugulies, R., Skakon, J., Scherzer, T., & Jensen, C. (2007). Psychosicial work environment of hospital workers: Validation of a comprehensive assessment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 , 814-825. 

  3. Bjorner, J. B., Albertsen, K., & Rugulies, R. (2010). Introduction to the supplement on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 in honour of Tage Sondergard Kristensen.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Suppl 3), 90-105. 

  4. Choi, E. S. (2012). Follow-up study of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The 19th Yonkang Scholarly Journals, 7-57. 

  5. Eurofound. (2012).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 Survey,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Luxembourg. 

  6. Han, K. H. (2005).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loyees' dispositional traits and job burnout.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18 (2), 531-555. 

  7. Issever, H., Ozdilli, K., Altunkaynak, O., Onen, L., & Disci, R. (2008). Depression in Tax Office Workers in Istanbul and its Affecting Factors.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17 (5), 414-420. 

  8. Jang, I. S. (2009).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health-related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patterns of male workers at a steel facto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 153-164. 

  9. June, K. J. (2011). Strategy for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The 18th Yonkang Scholarly Journals, 150-200. 

  10. June, K. J., & Choi, E. S. (201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l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 (1), 1-12. 

  11. Kristensen, T. S., Hannerz, H., Hogh, A., & Borg, V. (2005).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 a tool for the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1 (6), 438-449. 

  12. Lee, K. S., Lee, D. B., Kwon, I. S., & Cho, Y. C. (2011).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among small-scaled manufacturing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3 (2), 99-111. 

  13. Leither, M. P. (1991). Coping patterns as predictors of burnout: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2, 123-144 

  14. Nuebling, M., & Hasselhorn, H. M. (2010).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in Germany: From the validation of the instrument to the formation of a job-specific database of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120-124. 

  15. Park, K. C., Lee, K. J., Park, J. B., Min, K. B., & Lee, K. W. (2008).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0 (3), 215-224. 

  16. Pejtersen, J. H., Kristensen, T. S., Borg, V., & Bjorner, J. B. (2010). The second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Suppl 3), 8-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