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지폐수 처리용 미생물의 분리 및 복합 미생물제제의 개발
Isolation of Microorganisms and Development of Microbial Augmentation for Treatment of Paper Mill Wastewater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4 = no.132, 2011년, pp.554 - 560  

강대욱 (국립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  서현효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지폐수의 효율적인 생물학적 처리와 폐수특성에 적합한 미생물제제의 개발을 위하여 토양 및 산업폐수로부터 방향족 화합물에 분해활성이 높은 KN11, KN13 및 KN27 균주와 세포 외 섬유소 가수분해효소 생산 균주 GT21 등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분류를 통해 이들 분리주 KN11, KN13, KN27 및 GT21 등은 Acinetobacter sp., Neisseria sp., Bacillus sp., Pseudomonas sp.와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어 최종적으로 각각 Acinetobacter sp. KN11, Neisseria sp. KN13, Bacillus sp. KN27, Pseudomonas sp. GT21로 명명하였다. 제지폐수 중 난분해성 물질과 COD 증가원인 물질을 분석하고자 GC/MS를 이용하여 방향족 화합물 및 그 유도체들을 검출하였다. 분리균주 Acinetobacter sp. KN11, Neisseria sp. KN13, Bacillus sp. KN27 및 Pseudomonas sp. GT21의 균체로 구성된 미생물제제 J30을 제조하여 제지폐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연구에 사용하였다. 미생물제제 J30의 제지폐수에서 COD 제거를 위한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7.5였으며 배양 60시간에서 최대의 COD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실 규모의 pilot plant에서 미생물제제 J30의 COD 제거효율은 87%의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bial augmentation on the biological treatment of paper mill wastewater. Three bacteria (KN11, KN13, KN27) capable of degrading aromatic compounds and a bacterial strain (GT21) producing an extracellular cellulase were isolated from soil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지폐수 속에 존재하며 다양한 오염원인 난분해성 물질 및 독성 물질의 분해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하여 제지 폐수처리에 적합한 미생물 제제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제지폐수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 및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펄프 및 제지폐수는 어떤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는가? 펄프 및 제지폐수의 처리는 대부분 물리화학적 처리와 생물학적 처리를 병행하고 있으며 폐수처리 공정 전 단계에 부유고형물의 제거를 위한 응집침전 혹은 가압부상 방식의 물리화학적 처리를 채택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펄프생산은 일부 회사에 한정되어 있어 폐수의 발생량은 극히 미미한 실정이며 국내에서의 펄프 및 제지폐수는 대부분 제지폐수에 한정되어 있다[10,11].
제지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시 발생하는 문제점은? 펄프의 가공에서 시작되는 제지폐수는 생산지종에 따라 다양한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어서 폐수의 성상도 수시로 변한다. 제지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시 다양한 폐수 성상과 부하 변동으로 인한 활성오니의 충격현상, 처리율 감소와 침전불량의 벌킹현상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제지폐수에는 lignin과 같은 난분해성 물질, 분산제, 형광 표백제와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 생물학적 처리에서 발생되는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1,10,17].
제지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생성된 물질들로 어떤 것이 있는가? 제지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시 다양한 폐수 성상과 부하 변동으로 인한 활성오니의 충격현상, 처리율 감소와 침전불량의 벌킹현상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제지폐수에는 lignin과 같은 난분해성 물질, 분산제, 형광 표백제와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 생물학적 처리에서 발생되는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1,1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fonso, M. D. 1992. Nanofiltration removal of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from alkaline bleaching effluents in a pulp and paper plant. Water Res. 26, 1639-1643. 

  2. Ascon-Cabrera, M. and J. M. Lebeault. 1993. Selection of xenobiotic-degrading microorganisms in a biphasic aqueous system. Appl. Environ. Microbiol. 59, 1717-1724. 

  3. Ambujom, S. and V. B. Manital. 1995. Phenol degradation by a stable aerobic consortium and its bacterial isolates. Biotechnol. Lett. 17, 443-448. 

  4. APHA, AWWA, and WEF.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s., APHA, Washington. 

  5. Babrock, R. W. Jr. 1991. Enricher-reactor bioaugmentation of activated sludge for degradation of hazardous wastewater. Ph. D. thesis, Univ. Calif. Los Angeles, California. 

  6. Babrock, R. W., Jr. K. S. Ro, C. C. Hsieh, and M. K. Stenstorm. 1992. Development of an off-line enricher-reactor process for activated sludge degradation of hazardous wastes. Water Environ. Res. 64, 782-791. 

  7. Barnard, J. L. 1972. Biological nutrient removal without the addition of chemicals. Water Res. 9, 485-493. 

  8. Cowan, N. R. and K. J. Steel. 1974. Manual for the identification bacteria. 2nd eds., Cambridge University, London. 

  9. Katayama, T., F. Nakatsubo, and T. Higuchi. 1986. Degradation of a phenyl coumarin, a lignin substructure model by Fusarium solani M-13-1. Mokuzai Gakkaichi 32, 535-544. 

  10. Kim, M. G. and W. Y. Ahn. 1998. Biodegradation of kraft lignins by white rot fungi-lignin from pitch pine. J. Korean Eng. 17, 156-170. 

  11. Kim, G. H. 1991. Study on COD removal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paper mill wastewater. pp. 143-151. Vol. 16, Civil and Environmental Institut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2. Komagata, K. and K. I. Suzuki. 1987. Lipid and cell-wall analysis in bacterial systematics, pp. 161-207, In Colwell, R. R. and R. Grigorova (eds.), Methods in Microbiology. Vol. 19, Academic Press, London. 

  13. Ko, Y. H., I. H. Ha, and K. S. Bae. 198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aphthalene-degrading strain, Pseudomonas putida N3.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16, 199-204. 

  14. Lee, W. S., S. W. Jung, C. S. Park, B. D. Yoon, J. E. Kim, and H. M. Oh. 2001.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chlorinated phenols by a mixed culture.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9, 115-120. 

  15. Legrini, O., E. Oliveris, and A. M. Braun. 1993. Photochemical process for water treatment. Chem. Rev. 93, 671-674. 

  16. MacFaddin, J. F. 1984. Biochemical tests for identification for medical bacteria. 2nd eds,.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Maryland. 

  17. Orhon, D. 1992. The effect of residual COD on the biological treatability of textile wastewater. Water Sci. Technol. 26, 815-822. 

  18. Otte, M. P., J. Gagnon, Y. Comeau, N. Matte, C. Greer, and R. Sampson. 1994. Activation of an indigenous microbial consortium for bioaugmentation of pentachlorophenol/ creosote contaminated soils. Appl. Microbiol. Biotechnol. 40, 926-932. 

  19. Pan, B. and L. Hartmann. 1992. Activity of biomass in RBC system treating pulp Industrial wastewater. J. Environ. Eng. 118, 744-754. 

  20. Peter, H. A. S., S. M. Nicholas, M. E. Sharpe, and J. F. Holt. 1986.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Williams and Wikins Co., Baltimore, Maryland. 

  21. Pfral, C., G. Ditzelmuller, M. Loidl, and F. Streichsbier. 1990. Microbial degredation of xenobiotic compounds. FEMS Microbiol. Ecol. 73, 255-262. 

  22. Son, Y. J., O. J. Sul, D. K. Chung, I. S. Han, Y. J. Choi, and C. S. Jeong.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ichoderma sp. C-4 producing cellulas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346-353. 

  23. Stanbury, P. F. and A. Whitaker. 1984. The isolation,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of Industrial microorganisms. pp. 26-73, In Whitaker, A. and P. F. Stanbury (eds.), Principles of Fermentation Technology. Pergamon Press, Oxford. 

  24. Tamaoka, K. and K. Komagata. 1984. Determination of DNA base composition by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EMS Microbiol. Lett. 25, 125-128. 

  25. Vaishnav, D. D. and E. Korthals. 1989. Effect of microbial concentration on biodegradation rates of phenols. J. Ind. Microbiol. 4, 307-314. 

  26. Wood, P. J., J. D., Erfle. and R. M. Teather. 1988. Use of complex formation between Congo Red and polysaccharides in detection and assay of polysaccharide hydrolases. pp. 63-65, In Wood, E. A. and S. T. Kelloge (eds.), Method in Enzymology. Vol. 160, Academic Press, Orlando, Florid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