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척도의 타당화 및 진단 분할점 산출
A Study of the Validity of and Cut-Off Scores for 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2 no.2, 2011년, pp.81 - 88  

김하나 (서울대학교 연건보건진료소 상담실)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K-ASDS), to calculate the cut-off score in the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Further, we examined classification error rate when applying cut-off scores. Methods : One hund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SDS는 AS 진단에서 사용되는 비교적 새로운 도구로,4) 본 연구는 K-ASDS의 수렴, 변별 타당도를 확인하고 진단 분할점을 산출하여 K-ASDS의 심리측정 적절성에 대한 증거를 늘려보고자 하였다.
  • 신뢰도는 내적 일관성 계수(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아울러 문항과 총점 간의 상관을 산출하여 이 척도의 전체 내적 일관성을 저해 하는 문항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네 집단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월령(나이)차이가 유의미하여 월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공변량분석으로 실시하였고,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김주현과 신민섭이 타당화한 한국판 ASDS의 후속 연구로 AS 아동을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필요한 절단점수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정상집단군을 포함시켜 한국판 AS 지수(K-ASQ)를 구하여 장애 집단간 비교를 실시하고 ROC 분석으로 얻어진 분할점에 입각하여 집단을 분류할 경우 집단의 전체 분류 적중률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김주현과 신민섭이 타당화한 한국판 ASDS의 후속 연구로 AS 아동을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필요한 절단점수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정상집단군을 포함시켜 한국판 AS 지수(K-ASQ)를 구하여 장애 집단간 비교를 실시하고 ROC 분석으로 얻어진 분할점에 입각하여 집단을 분류할 경우 집단의 전체 분류 적중률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S만의 독특한 특징의 예는 무엇이 있는가? 4,5) AS가 PDD와 구별되는 범주를 가진 장애인지 아니면 PDD 연속선상 장애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진단적 도구가 개발되었으나, 주로 PDD를 진단하는 척도였다.6-9) 임상가들은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AS를 포함한 자폐 핵심 증상과 관련한 정보들을 얻으려고 하였지만, AS만의 독특한 특징(예를 들어, 특이한 언어표현, 서툰 운동, 제한된 관심사)은 이러한 도구들로 측정되거나 고려될 수 없었다.4) AS만을 측정하는 도구가 개발되지 않아서 AS 연구의 진행을 더디게 하여, 임상적, 교육적 장면에서 이 장애에 관한 논의를 용의하게 하지 못했던 점은 그 동안의 많은 연구와 논쟁에 있어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과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아동 간에 유사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증상은 자폐 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와 비슷하나 언어 발달은 비교적 정상범위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ICD-10에서도 언어발달 지연의 부재를 강조하고 있다.1) 또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아동의 하위집단 중 사회성이 떨어지고 운동발달이 더딘 아동들은 사회적 이해 능력 및 관습적인 사회적 이해 능력이 적고, 말투와 운동감각이 서투르거나 특이하며, 감각에 있어 매우 작은 자극에도 혐오감을 나타낸다는 측면에서 AS 아동과 비슷하다. ADHD 아동에게서 이런 특징이 매우 흔하게 발견되어, 과거 20년동안 스칸디나비아에서는 ADHD 와 발달 조정장애를 같이 보이는 경우를 DAMP(deficit in attention, motor, and perception)라고 진단하기도 하였다.
아스퍼거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 AS)는 사회적 능력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어 사회적 상호 교류에 어려움이 있고, 행동 관심 및 활동이 한정되어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장애이다. 이러한 증상은 자폐 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와 비슷하나 언어 발달은 비교적 정상범위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ICD-10에서도 언어발달 지연의 부재를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zatmari P, Brenner R, Nagy J. Asperger's syndrome: A review of clinical features. Can J Psychiatry 1989;34:554-560. 

  2. Yoo HJ. Concept and Diagnosis of Asperger's disorder. J Kyung Hee Univ Med Cent 2007;23:118-124. 

  3. Kim JH, Shin MS. A study of Reliability & validity for 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16:98-105. 

  4. Boggs KM, Gross AM, Gohm CL. Validity of the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J Dev Phys Disabil 2006;18:163-182. 

  5. Matson JL, Wilkins J. Nosology and diagnosis of Asperger's syndrome. Res Autism Spectr Disord 2008;2:288-300. 

  6. Lord C, Rutter M, Le Coteur A.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 revised version of a diagnostic interview for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possibl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 Autism Dev Disord 1994;24:659-685. 

  7. Lord C, Risi S, Lambrecht L, Cook EH, Leventhal BL, Dilavore PC, et al.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generic: a standard measure of social and communication deficits associated with the spectrum of autism. J Autism Dev Disord 2000;30:205-223. 

  8. Schopler E, Reichler RJ, Renner BR.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1998. 

  9. Gilliam JE. Gilliam Autism Rating Scale. Austin: Pro-ed;2001. 

  10. Gillberg IC, Gillberg C. Asperger Syndrome: Some Epidemiological Considerations.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89;30:631-638. 

  11. Kadesjo B, Gillberg C, Hagberg B. Brief report: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n seven-year-old children: a total population study. J Autism Dev Disord 1999;29:327-331. 

  12. Attwood T. Asperger's Syndrome: A Guide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1998. 

  13. Safran SP. Asperger syndrome: The emerging challenge to special education. Except Child 2001;67:151-160. 

  14. Scott FJ, Baron-Cohen S, Bolto P, Brayne C. The CAST (Childhood Asperger Syndrome Test):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UK screen for mainstream primary-school-age children. Autism 2002; 6:9-31. 

  15. Myles B, Bock S, Simpson S.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Austin: Pro-ed;2001. 

  16. South M, Williams BJ, McMahon WM, Owley T, Filipek PA. Utility of the Gilliam Autism Rating Scale in research and clinical populations. J Autism Dev Disord 2002;32:593-599. 

  17. Yang YR, Shin MS. Comperison of KEDI-WISC and BGT performance between the Asperger's disorder and PDD NOS children. Korean J Child & Adol Psyciatr 2009;18:277-292. 

  18. Gillberg C, Billstedt E.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Coexistence with other clinical disorders. Acta Psychiatr Scand 2000;102:321-330. 

  19. Klin A, Sparrow S, Marans W, Carter A, Volkmar F. Assessment issu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In: Klin A, Volkmar F, Sparrow S, editors. Asperger Syndrome. New York: Guilford Press;2000. 

  20. Wellman HM, Lagattuta KH. Developing understandings of mind. In: Baron-Cohen S, Tager-Flusberg H, Cohen D, editors. Understanding other minds: Perspectives from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2th ed. UK: Oxford University Press;2000. 

  21. Han MK, Ghim HR, Son JW, Ghim YL, Choi HO. Understanding of mind, social competenc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inhibitory control. J Child Educ 2009;18:277-292. 

  22. Miler JN, Ozonoff S. The external validity of Asperger Disorder: Lack of evidence from the domain of Neuropsychology. J Abnorm Psychol 2000;109:227-238. 

  23. Prior M, Eisenmajer R, Leekam S, Wing L, Gould J, Ong B, et al. Are there subgroups within the autistic spectrum: A cluster analysis of a group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98;39:893-902. 

  24. Howlin P. Assessment instruments for Asperger syndrome. Child Psychol Psychiatr Rev 2000;5:120-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