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부 특수학교 장애인의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in the special school for students of disability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1 no.1, 2011년, pp.103 - 111  

송윤신 (경복대학 치위생과) ,  장우성 (신구대학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of oral health problems was conducted to 311 students in Special Schools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state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s, to find out the main obstacles against dental services, to secure dental reasonable basis for oral health promotion. Methods : A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특수학교 장애인의 구강건강행태와 치과이용행태를 조사함으로써 장애 학생들의 구강관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장애인에 있어 구강건강상태와 관련된 문제가 다양하게 나타날 뿐 아니라 법정 장애 유형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를 직접 비교하기에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어 기존의 장애인에 대한 구강질환 관련 역학조사는 매우 부족하며,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 치주상태, 의치보철 상태 및 필요도 등 객관적 지표와 구강건강인식도 등 주관적 지표 모두를 포괄한 조사도 없었다8). 이에 본 조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장애인의 구강보건의식 및 치과이용행태를 조사함으로써 장애학생의 구강건강문제와 관련된 행동 및 치과이용의 주된 장벽을 찾아내어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로서 비장애인과 차별 없는 구강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합리적인 장애인 구강보건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장애인들의 구강건강향상을 위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치과 병·의원 개원 시 장애인 진료시설을 의무화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 다음으로 치과진료 비용부담을 줄이는 보험제도의 개선이 필요하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의 개념은 무엇과 연계되어 있는가? 이는 신체적, 정신적 손상이 있다고 할지라도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여 사회생활에 아무 지장이 없다면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아무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라고 하는 것은 한 사회가 어떠한 사람을 장애인이라고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이 개념은 한 국가의 각종 사회복지 서비스와 연계되어 있다1).
장애인이 치과관리를 소흘히 하는 이유는? 장애인 대부분은 현재 자신에게 노출된 전신적인 건강관리와 재활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정작 전신적인 문제로 확대될 수 있는 치과관리는 오히려 소홀히 하는 경향이 많고, 그 때문에 장애인에 있어 구강질환의 발생률과 심각도는 비장애인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이 현실이다5). 또한 장애인의 구강진료기관 이용 시 접근성의 제한에 대한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6,7).
장애의 개념이 사회의 문화적 기대와 환경에 따라서도 변화할 수 있는 이유는? 장애의 개념은 개별 사회의 문화적 기대(cultural expectation)에 따라 다르며, 환경에 따라서도 변화할 수 있다. 이는 신체적, 정신적 손상이 있다고 할지라도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여 사회생활에 아무 지장이 없다면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아무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라고 하는 것은 한 사회가 어떠한 사람을 장애인이라고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이 개념은 한 국가의 각종 사회복지 서비스와 연계되어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한국인구학회. 인구대사전. 서울: 통계청; 2006:585. 

  2. 통계청. e-나라지표: 장애인 현황.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2768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 실태조사, 2005. 한국: 보건복지부; 2006:173. 

  4. Newachheck PW, Hughes DC, Hung YY, Wong S, Stoddard JJ. The unmet health needs of America's children Pediatrics 2000;105:989-997. 

  5. 강부월, 권현숙, 김설악 외 10인. 장애인 구강보건관리학. 1판. 서울: 고문사; 2004: 69-70. 

  6. Burtner AP, Jones JS, McNeal DR, Low DW. A survey of the availability of dental services to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Spec Care Dent. 1990;10:182-184. 

  7. Glassman P, Miller CE, Lechowick J. A dental school's role in developing a rural community-based. Spec Care Dent. 1996;16:188-193. 

  8. 신두교, 정성화, 박지혜, 최연희, 송근배. 우리나라 장애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관련요인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2):248-262. 

  9. 이긍호. 전국 장애인 구강보건 실태조사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2005:5. 

  10. 교육과학기술부. 2009 특수교육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9:15. 

  11. 최미영. 장애인의 보건.의료실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2009;153:46-63. 

  12. 노동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장애인 통계 2009:299. 

  13. 변용찬 저. 생애주기별 장애인 복지욕구 분석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19-90. 

  14. 맹준남, 이광희, 김대업, 배상만. 정신지체장애인과 정상인의 우식경험도 비교조사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00;27(2):202-206. 

  15. Gizani S, Declerck D, Vinckier F, et al. Oral health condition of 12-year-old handicapped children in Flanders(Belgium).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ogy 1997;25:352-357. 

  16. 하순영, 이광희, 김대업, 박종석. 장애인 입소시설과 특수학교의 구강건강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00;27(2):192-201. 

  17. Udin RD, Kuster CG. The influence of motivation on a plaque control program for handicapped children. J Am Dent Ass 1984;109:591-593. 

  18. Kass L. Dental health program for institutionally mentally retarded. Dent Hyg. 1979;53:76-78. 

  19. Johnson R, Albertson D. Plaque control for handicapped children. J Am Dent Ass 1972;84:824-828. 

  20. Full CA, Kerber PE, Boender P, Schneberger N. Oral health maintenance of the institutionalized handicapped child. J Am Dent Ass 1977;94:111-113. 

  21. 최길라, 정성철, 김종열. 정신박약자들의 칫솔질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89;13:133-141. 

  22. 전현선, 김영남, 최연희 외 4인. 전국 시설이용 재가 장애인의 구강진료기관이용과 구강건강관리 행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1):73-82. 

  23. 김영남, 최연희, 전현선 외 7인. 전국 시설이용 장애인의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2005;1(1):18-24. 

  24. 최충호. 치과의사의 장애인 진료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27(1):59-71. 

  25.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보고;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