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저항 특성을 고려한 지중송전관로 되메움재의 최적화(I)
Optimization of the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Power Cables considering Thermal Resistivity Characteristics (I)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0 no.4, 2011년, pp.113 - 121  

김유성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조대성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영준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중송전관로의 되메움재로는 보통 강모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모래의 열저항률은 습윤시 $150^{\circ}C$-cm/Watt 정도이고 건조시에는 이보다 2배 이상의 값을 나타낸다. 연구의 최종목표는 함수비 변화에 따라 열저항률의 변화가 작은 재료(습윤시 열저항률 $50^{\circ}C$-cm/Watt, 건조시 열저항률 $100^{\circ}C$-cm/Watt를 목표로 함)의 개발이나, 이 연구에서는 강모래를 포함한 각종 되메움재 후보군에 대하여 함수비, 건조단위중량, 입도분포 등의 차이에 따른 열저항 특성을 탐침법에 의해 조사하고, 시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열저항 특성은 단위중량의 변화, 건조상태의 경우 최적함수비의 상태를 그대로 대기 중에 건조시킨 경우와 최초의 건조 상태에서의 열저항률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밀도가 되도록 입도분포가 개선된 혼합재료는 원재료에 비해 열저항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ver sand has generally used for the backfill material of underground power cables. The thermal resistivity of it has $150^{\circ}C$-cm/Watt in wet condition and more than double in dry condition.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ackfill material which has a small change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목표의 친환경 최적 열소산 되메움재가 개발된다면 지중송전효율 증대에 따른 경제성 향상과, 모래채취 및 운반에 따른 환경훼손 최소화 및 석분 및 쇄석 등 폐기물의 재활용이라는 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 시너지효과를 제고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되메움재로 사용되고 있는 강모래와 화강풍화토, 재생모래, 쇄석, 석분과 같은 되메움재 후보군에 대한 열저항 특성의 비교분석과 함수비, 단위중량, 배합비에 따른 열저항 특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열저항 특성의 평가를 통해 향후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은 되메움 재료의 열저항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지중 케이블시스템의 운영기간동안 낮은 열저항률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처리방법 또는 첨가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흙의 열저항률 결정에는 흙의 구성물질, 밀도, 함수비, 입자크기 및 형상, 입도분포, 온도, 다짐방법과 같은 인자들이 작용하나, 그 중 함수비, 입도분포, 단위중량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Fukagawa et al.
  • 이 연구에서는 주로 되메움재로 사용되고 있는 강모래와 화강풍화토, 재생모래, 쇄석, 석분과 같은 되메움재 후보군에 대한 열저항 특성의 비교분석과 함수비, 단위중량, 배합비에 따른 열저항 특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열저항 특성의 평가를 통해 향후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B. 블록형태의 입자가 둥근 입자보다 작은 열저항률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일반적으로 비교등급의 재료, 광물질 혼합과 밀도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그 유효성은 제한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로주변의 되메움재의 열저항률은 무엇에 따라 변화하는가? 지중송전관로의 송전용량의 증대를 위해서는 전압 및 전류를 증가시켜야하나, 이들의 증가는 관로내의 열 발생의 증가를 초래한다. 한편 관로주변의 되메움재의 열저항률은 함수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열(약 60℃)이 발생되고 있을 경우라 하더라도, 건조시에는 되메움재의 열저항 특성에 따라 열폭주(thermal runaway)현상이 발생하여 케이블의 절연파괴를 일으키거나 송전효율의 저하 요인이 된다(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3).
흙의 열저항률 결정에는 어떤 인자들이 작용하는가?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은 되메움 재료의 열저항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지중 케이블시스템의 운영기간동안 낮은 열저항률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처리방법 또는 첨가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흙의 열저항률 결정에는 흙의 구성물질, 밀도, 함수비, 입자크기 및 형상, 입도분포, 온도, 다짐방법과 같은 인자들이 작용하나, 그 중 함수비, 입도분포, 단위중량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Fukagawa et al., 1974).
송전관로 주변의 되메움재는 발생열을 신속하게 소산시킬 수 있는 재료, 함수비 변화에 따라 열저항률의 변화가 작은 재료(습윤시 열저항률 50℃-cm/Watt, 건조시 열저항률 100℃-cm/Watt를 목표로 함)의 사용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중송전관로의 송전용량의 증대를 위해서는 전압 및 전류를 증가시켜야하나, 이들의 증가는 관로내의 열 발생의 증가를 초래한다. 한편 관로주변의 되메움재의 열저항률은 함수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열(약 60℃)이 발생되고 있을 경우라 하더라도, 건조시에는 되메움재의 열저항 특성에 따라 열폭주(thermal runaway)현상이 발생하여 케이블의 절연파괴를 일으키거나 송전효율의 저하 요인이 된다(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3). 따라서 송전관로 주변의 되메움재는 발생열을 신속하게 소산시킬 수 있는 재료, 함수비 변화에 따라 열저항률의 변화가 작은 재료(습윤시 열저항률 50℃-cm/Watt, 건조시 열저항률 100℃-cm/Watt를 목표로 함)의 사용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대홍, 이대수 (2002), "지중송전관로 되메움재의 열저항 특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18, No.5, pp.209-220. 

  2.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3), 송전용량 증대를 위한 열방산회로 개선에 관한 연구 최종보고서. 

  3. Carlslaw, H. S. and Jaeger, J. C. (1959), Conduction of Heat in Solids, 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4. Fukagawa, H., Imajo, T. and Ogata. N.(1974), Thermal Diffusivity and its Application to Cable Ampacity, CRIEPI-73087. 

  5. IEEE Std 442-1981 (1981), IEEE Guide for Soil Thermal Resistivity Measurement, pp.6-15. 

  6. Imajo, T. (1976), Development of Backfill Soils for Underground Cable(2) - Study on the Optimum Grading Distribution, CRIEPI-72061, 175063. 

  7. Kersten, M. S. (1949), Laboratory Research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Thermal Properties of Soils. Research Laboratory Investigations,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 Technical Report 23,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inn. 

  8. Mitchell, J. K. and Chan, C. K. (1982),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Power Cable, Phase 1-4., EPRI EL-506, EL- 1894, EL-4150, EL-4856. 

  9. Shannon, W. L. and Wells, W. A. (1959), "Tests for Thermal Diffusivity of Granular Materials", Proceedings of ASTM, Vol.47, pp.1044-1053. 

  10. Stolpe, J. (1970), Soil Thermal Resistivity Measured Simply and Accurately, IEEE Transactions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Vol.PAS-89, No.2, February. 

  11. Wisman, R. J. and Burrel, R. W. (1960), Soil Therm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Underground Power Cable, AIIE Committee Report, Transaction of AIEE, Vol.79, pp.792-8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