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잡곡 재배 시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관리방법을 개선하고 피복작물과 잡곡의 작부체계를 개선 및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잡곡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헤어리베치구에서 수수의 초장과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 종실수량은 무처리구 보다 각각 46.4%, 88.7%, 7.9% 높았으며 수량 또한 105.1% 많았다. 조의 경우도 무처리구 보다 각각 45.6%, 50.9%, 37.8%로 초장, 엽록소 함량, 엽록소형광이 높았으며 종실수량도 134.9% 높은 결과를 보였다. 호밀처리구에서 수수의 초장과 엽록소 함량, 엽록소형광은 무처리구 보다 각각 7.1%, 10.8%, 10.8% 높았으나 수량은 25.8% 감소하였다. 조는 무처리구 보다 각각 28.9%, 17.2%, 1.3% 감소하였으며 수량 또한 119.1% 감소하였다. 헤어라베치구에서 잡곡에 대한 녹비 효과가 좋았다. 2. 잡곡 출수 전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잡초 발생량은 무처리에 비해 감소하였고 건물중은 헤어리베지와 무처리 차이가 없었으나 호밀은 31.6% 감소하여 호밀에서 잡곡 출수 전 잡초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출수 후에는 혜어리베치의 장초발생량은 159%, 건물중은 55.2% 증가하였으며 호밀에서는 각각 55.2%, 10.9%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출수 후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잡초 억제효과는 미약하였다. 3. 발생한 주요 잡초종은 총 16종으로 일년생잡초 12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8월~9월의 우점 잡초종으로는 헤어리베치는 바랭이와 돌피였으며, 호밀 처리 시 강아지풀, 바랭이, 돌피 등이 우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weed suppressing effects of two winter cover crops, hairy vetch and rye in foxtail millet and sorghum fields in 2010. Crop growth and development and weed occurrences in the fields were examined to know the efficiency of proposed cropping system. In hairy v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잡곡 생산의 걸림돌인 잡초문제 해결을 위해 피복작물로 잡초관리 방법을 개선하고, 두과와 화본과 피복작물을 도입한 잡곡 작부체계의 개선 및 효율을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피복작물-잡곡 작부체계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잡곡 재배 시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관리방법을 개선하고 피복작물과 잡곡의 작부체계를 개선 및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잡곡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ampiglia, E., R. Paolini, G. Colla, & R. Mancinelli. 2009. The effects of cover cropping on yield and weed control of potato in a transitional system. Field Crop Res. 112: 16-23. 

  2. Cardina, J., 1995. Biological weed management. In: Smith, A. E. (Ed.), Handbook of Weed Management Systems. Marcel Dekker, New York, pp. 279-341. 

  3. Celette, F., A. Findeling, & C. Gary. 2009. Competition for nitrogen in an unfertilized intercropping system: The case of an association of grapevine and grass cover in a Mediterranean climate. Eur. J. Agron. 30: 41-51. 

  4. den Hollander, N. G. & L. Bastiaansa. 2007a. Clover as a cover crop for weed suppression in an intercropping design: I. Characteristics of several clover species. Eur. J. Agron. 26: 92-103. 

  5. den Hollander, N. G. & L. Bastiaansa. 2007b. Clover as a cover crop for weed suppression in an intercropping design: II. Competitive ability of several clover species. Eur. J. Agron. 26: 104-112. 

  6. Evans, J. R. & I. Terashima. 1987. Effects of nitrogen nutrition on electron transport componets and photosynthesis in spinach, Aust. J. Plant Physiol. 14: 281-292. 

  7. Fisk, J. W. & O. B. Hesterman. 2001. Weed suppression by annual legume cover crops in no-tillage corn. Agron. J. 93: 263-298. 

  8. Kuo, S. & U. M. Sainju. 1997. Winter cover crop effects on soil organic carbon and carbohydrate in soil. Soil Sci. 61: 145-152. 

  9. Moore, M. J., T. J. Gillespie, & C. J. Swanton. 1994. Effect of cover crop mulches on weed emergence, weed biomass, and soybean (Glycine max) development. Weed Technol. 8: 512-518. 

  10. Ngouajioa, M. & H. Mennanb. 2005. Weed populations and pickling cucumber (Cucumis sativus) yield under summer and winter cover crop systems. Crop Prot. 23: 521-526 

  11. Petersen, J. & A. Rover. 2005. Comparison of sugar beet cropping systems with dead and living mulch using a glyphosateresistant hybrid. J. Agron. Crop Sci. 191: 55-63. 

  12. Teasdale, J. R. & C. S. T. Daughtry. 1993. Weed suppression by live and desiccated hairy vetch (Vicia villosa). Weed Sci. 41: 207-212. 

  13. Wyland L. J, L. E. Jackson, W. E. Chaney, K. Klonsky, S.T. Koike, & B. Kimple 1996. Winter cover crops in a vegetable cropping system: Impacts on nitrate leaching, soil water, crop yield, pests and management costs. Agric. Ecosyst. Environ. 59: 1-17. 

  14. 강명훈, 전승호, 이세훈, 윤성탁, 황재복, 김석현, 심상인. 2010. 잡곡-피복작물 작부체계에서 잡초 발생과 작물 생장. 한국잡초학회지, 30: 243-242. 

  15. 김선, 임일빈, 강종국, 이상복, 안설화, 김재덕. 2007. 피복작물이 논 재배 콩의 잡초 발생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27: 53-54. 

  16. 김창호, 김성민, 채제천, 이효원. 1994.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39: 431-4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