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C와 스마트 폰 기반 임상간호분류체계 교육 코스웨어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원문보기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12 no.3, 2011년, pp.49 - 56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이인근 (경북대학교 의료정보원천기술연구소) ,  조훈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료정보학과) ,  김화선 (대구한의대학교 IT의료산업학과)

초록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간호사나 간호학생들의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분류체계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북 가이드라인과 개발된 PC 기반 가이드라인의 검색 시간을 비교한 결과 3.5배 이상 빠른 결과를 획득하였다. 오류율도 4배 이상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 실무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중재 및 평가 가이드라인에 접근하므로 환자에게 정확한 중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urgently needed to develop programs supporting lifelong education for nurses and students of nursing, which are not restricted by time or space and use personal computers or smartph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CC(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into a education program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간호사나 간호 학생들의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 표준용어체계 중 임상간호분류체계(CH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를 웹 기반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적용하고 스마트 폰에까지 개발 및 적용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분류체계를 웹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간호학생의 임상 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였다. 북 가이드라인과 개발된 웹 가이드라인의 검색 시간을 비교한 결과 3.
  • 위해 개발되었다. 처음 개발 목적은 미국의메디케어(Medicare) 환자들에게 제공된 간호에대해 기대되는 간호결과와 가정간호 서비스를제공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결정하기 위해 환자를 사정하고 분류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16, 17], 임상간호분류체계의 프로세스는 사정(assessment), 진단(diagnosis), 결과(outcome), 계획 (planning), (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 Wilkinson, A. Forbes, J. Bloomfield and C. Fincham Gee, "An exploration of four web-based open and flexible learning modules in post-registration nurse education", Int J Nurs Stud, vol.41, no.4, pp. 411-424, 2004. 

  2. J. Liaskos and M. Diomidus, "Multimedia technologies in education," Stud Health Technol Inform, vol. 65, pp. 359-372, 2002. 

  3. J. Blair, "E-learning: A virtual challenge for educators", Nurs Times, vol.98, no.31, pp. 34-35, 2002. 

  4. P. Goettner, "Effective e-learning for healthcare", Health Manag Technol, vol.21, no.12, pp. 63-64, 2000. 

  5. J. Denehy and S. Poulton, "The use of standardized language in individualized healthcare plans", J Sch Nurs, vol.15, no.1, pp. 38-45, 1999. 

  6. M. L. Aquilino and G. Keenan, "Having our say. Nursing's standardized nomenclatures", Am J Nurs, vol.100, no.7, pp. 33-38, 2000. 

  7. G. Keenan and M. L. Aquilino, "Standardized nomenclatures: Keys to continuity of care, nursing accountability and nursing effectiveness", Outcomes Manag Nurs Pract, vol.2, no.2, pp. 81-86, 1998. 

  8. K. M. Parris, P. J. Place, E. Orellana, J. A. Calder, K. Jackson, A. Karolys, M. Meza, C. Middough, V. Nguyen, N. W. Shim and D. Smith, "Integrating nursing diagnoses, interventions, and outcomes in public health nursing practice", Nurs Diagn, vol.10, no.2, pp. 49-56, Apr-Jun 1999. 

  9. S. K. Allred, K. F. Smith and L. Flowers, "Electronic implementation of national nursing standards--nanda, noc and nic as an effective teaching tool", J Healthc Inf Manag, vol.18, no.4, pp. 56-60, 2004. 

  10. J. Denehy and S. Poulton, "The use of standardized language in individualized healthcare plans", J Sch Nurs, vol.15, no.1, pp. 38-45, 1999. 

  11. 김정애, "역전파 신경망모델을 이용한 간호진단 자율학습프로그램 개발" 대한의료정보학회지, 제5권, 제2호, pp. 67-76, 1999. 

  12. 유지수, 유황빈, 박지원, 고일선, "간호정보의 처리, 분석, 관리 기술개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간호진단시스템 구현", 대한의료정보학회지, 제4권, 제2호, pp 49-58, 1998. 

  13. 박성애, 박정호, 이혜자, 박성희, 정면숙, 주미경, "간호결과지표를 이용한 간호진단 및 중재관리 시스템", 제7권, 제1호, pp. 35-43, 2001. 

  14. G. Keenan, J. Stocker, V. Barkauskas, M. Treder and C. Heath, "Toward collecting a standardized nursing data set across the continuum: Case of adult care nurse practitioner setting", Outcomes Manag, vol.7, no.3, pp. 113-120, 2003. 

  15. G. Keenan, V. Barkauskas, J. Stocker, M. Johnson, M. Maas, S. Moorhead and D. Reed, "Establishing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sensitivity of noc in an adult care nurse practitioner setting", Outcomes Manag, vol.7, no.2, pp. 74-83, Apr-Jun 2003. 

  16. CCC(Clinical Care Classification), Available at: http://www.sabacare.com Accessed December 10 2010. 

  17. K. S. Virginia,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CCC) System Manual: A Guide to Nursing Documentation,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6. 

  18. N. R. Hardiker, A. Casey, A. Coenen and D. Konicek, "Mutual enhancement of diverse terminologies", AMIA Annu Symp Proc, pp. 319-323 2006. 

  19. N. R. Hardiker, D. Hoy and A. Casey, "Standards for nursing terminology", J Am Med Inform Assoc, vol.7, no.6, pp. 523-528, 2000. 

  20. M. R. Harris, J. R. Graves, L. M. Herrick, P. L. Elkin and C. G. Chute, "The content coverag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erminologies: The example of postoperative pain", Proc AMIA Symp, pp. 335-339 2000. 

  21. ANA(American Nurses Association), Available at: http://www.nursingworld.org, Accessed December 01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