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편마비환자에서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가 시-거리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uditory Cue AFO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Hemiplegia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2, 2011년, pp.127 - 133  

한진태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본 연구는 단하지 보조기를 사용하는 뇌졸중환자의 시-거리 보행변수에 대한 청각신호 효과에 대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9명의 뇌졸중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는 보조기 착용이 없는 경우, 기존 보조기 착용의 경우 그리고 청각신호 보조기 착용의 경우에 각각 시-거리 보행 변수에 대해 측정하였다. 8대의 동작분석 카메라 시스템(Motion Analysis Corporation, Santa Rosa, USA)을 사용하여 시-거리 보행 변수를 측정하였으며 Wilcoxon rank sum test을 이용하여 양하지의 대칭성을 분석하였고 Friedman test를 사용하여 다른 보조기 사용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았다. Results: 청각 신호 보조기의 경우, 손상측과 비손상측의 보행속도, 활보장 그리고 분속수가 대칭적으로 되었다. 손상측의 경우,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가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대체적으로 보행 변수들이 증가하였다.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 손상측 하지의 보행 속도, 활보장, 보장, 양하지 지지 시간이 증가하였고 단하지 지지 시간은 감소하였다. Conclusion: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 착용 시 보행 속도, 활보장, 보장은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는 증가하였으나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와 기존 단하지 보조기 착용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가 뇌졸중 환자의 시-거리 보행 변수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앞으로 다양한 보행 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ditory cue AFO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hemiplegia.
  • I believe that auditory cue can be used to stimulate the biofeedback sensor and is a method that can improve the gait abi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with and without conventional AFO and auditory cue AFO in patients with hemiplegia and to prove the effects of auditory cue AF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SH, Chung YJ, Park SY.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ability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KAUTPT. 2010;17(2):33-42. 

  2. Churchill AJ, Halligan PW, Wade DT. Relative contribution of footwear to the efficacy of anklefoot orthoses. Clin Rehabil. 2003;17(5):553-7. 

  3. Cruz TH, Dhaher YY. Impact of ankle-foot-orthosis on frontal plane behaviors post stroke. Gait Posture. 2009;30(3):312-6. 

  4. de Wit DC, Buurke JH, Nijlant JM et al. The effect of an ankle-foot orthosis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04;18(5):550-7. 

  5. Ford MP, Wagenaar RC, Newell KM. The effects of auditory rhythms and instruction on walking patterns in individual post stroke. Gait Posture. 2007;26(1):150-5. 

  6. Geboers AC, Drost MR, Spaans F et al. Immediate and long-term effects of ankle-foot orthosis on muscle activity during walking: a randomized study of patients with unilateral foot drop. Arch Phys Med Rehabil. 2002;83(2):240-5. 

  7. Geurts AC, de Haart M, van Nes IJ et al. A review of standing balance recovery from stroke. Gait Posture. 2005;22(3):267-81. 

  8. Hesse S, Reiter F, Jahnke M et al. Asymmetry of gait initiation in hemiparetic stroke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1997;78(7):719-24. 

  9. Jorgensen L, Crabtree NJ, Reeve J et al. Ambulatory level and asymmetrical weight bearing after stroke affects bone loss in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femoral neck differently: bone adaptation after decreased mechanical loading. Bone. 2000;27(5):701-7. 

  10. Kottink AI, Oostendorp LJ, Buurke JH et al. The orthotic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improvement of walking in stroke patients with a dropped foot: A systematic review. Artif Organs. 2004;28(6):577-86. 

  11. Lehmann JF, Condon SM, deLateur BJ et al. Gait abnormalities in hemiplegia: Their correction by ankle-foot orthoses. Arch Phys Med Rehabil. 1987;68(11):763-71. 

  12. Leung J, Moseley A. Impact of ankle-foot orthoses on gait and leg muscle activity in adults with hemiplegia. Physiotherapy. 2003;89(1):39-55. 

  13. Murray MP, Mollinger LA, Gardner GM et al. Kinematic and electromyographic patterns during slow, free and fast walking. J Orthop Res. 1984;2(3):272-80. 

  14. Patterson KK, Gage WH, Brook D et al. Evaluation of gait symmetry after stroke: A comparison of current methods and recommendations for standardization. Gait Posture. 2010;31(2):241-6. 

  15. Patterson KK, Parafianowicz I, Danells CJ et al. Gait asymmetry in community-ambulating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8;89(2):304-10. 

  16. Prassas S, Thaut M, McIntosh G et al. Effect of auditory rhythmic cuing on gait kinematic parameters of stroke patients. Gait Posture. 1997;6(3):218-23. 

  17. Ring H, Treger I, Gruendlinger L et al. Neuroprosthesis for footdrop compared with an ankle-foot orthosis: Effects on postural control during walking. J Stroke Cerebrovasc Dis. 2009;18(1):41-7. 

  18. Roerdink M, Lamoth CJC, Kordelaar J et al. Rhythm perturbations in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afte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7):668-78. 

  19. Schauer M, Mauritz KH. Musical motor feedback (MMF) in walking hemiparetic stroke patient. Clin Rehabil. 2003;17(7):713-22. 

  20. Simons CD, van Asseldonk EH, van der Kooij H et al. Ankle-foot orthoses in stroke: Effects on functional balance, weight-bearing asymmetry and the contribution of each lower limb to balance control. Clin Biomech. 2009;24(9):769-75. 

  21. Thaut MH, Leins AK, Rice RR et al. Rhytumic auditory stimulation improves gait more than NDT/Bobath training in near-ambulatory patients early post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7;21(5):455-9. 

  22. Thaut MH, McIntosh GC, Rice RR. Rhythmic facilitation of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rehabilitation. J Neurol Sci. 1997;151(2):207-12. 

  23. Tyson SF, Thornton HA. The effect of a hinged ankle foot orthorsis on hemiplegic gait: objective measures and user's opinions. Clin Rehabil. 2001;15(1):53-8. 

  24. Wang RY, Lin PY, Lee CC et al. Gait and balance performance improvements attributable to anklefoot orthosis in subjec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2007;86(7):556-62. 

  25. Wang RY, Yen L, Lee CC et al. Effects of an ankle-foot orthosis on balanc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of different durations. Clin Rehabil. 2005;19(1):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