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 착용이 보행 시 하지 내 협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Intra-limb Coordination in Individuals Wearing a Knee Extension Constraint Brace during Walking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0 no.3, 2016년, pp.207 - 214  

장윤희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정보라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강성재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류제청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김규석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문무성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고창용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 착용 후 보행시 하지 내 협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7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32.3{\pm}2.7$ 세, $175.2{\pm}3.8cm$, $76.2{\pm}8.7kg$)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무릎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고 10m의 평지를 보행하였다. 이때 시공간적 파라미터, 하지의 각도, 하지 내 연속상대 위상(CRP)를 측정 및 계산하였다. 그 결과 시공간적 요인은 차이가 없었다 (all p > 0.05). 무릎보조기 착용 시 엉덩관절의 가동범위 및 각도 변화는 없었으나, 무릎관절의 가동범위는 감소하였으며 ($65.5{\pm}3.75^{\circ}$ vs. $60.5{\pm}3.5^{\circ}$, p < 0.05), 최대 굴곡 역시 감소하였다 (입각기: $31.9{\pm}4.6$ vs. $25.6{\pm}5.5$, 유각기: $76.7{\pm}3.1$ vs. $68.9{\pm}3.4$, all p < 0.05). 발목관절의 가동범위는 변화가 없었으나, 최대 배측굴곡 ($22.4{\pm}2.6$ vs. $19.2{\pm}2.1$, p< 0.05)은 감소하였으며, 최대 족저굴곡이 증가하였다 ($9.5{\pm}3.0$ vs. $15.7{\pm}2.2$, p<0.05). 대부분의 CRP는 차이가 없었으며, 유각기 엉덩관절과 무릎관절 사이의 CRP만 감소하였다 ($93.0{\pm}7.8$ vs, $84.7{\pm}4.9$, p < 0.05). CRP의 표준편차는 대부분 증가하였다 (유각기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사이: $25.1{\pm}6.7$ vs. $32.4{\pm}1.9$, 입각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사이: $46.0{\pm}12.9$ vs. $80.1{\pm}31.1$, 유각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 사이: $34.5{\pm}4.1$ vs. $37.6{\pm}3.1$, all p < 0.05).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 착용은 관절의 각도, 하지 내 협응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보행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fluence on intra-limb coordination in individuals wearing knee brace during walking. Seven healthy male adults ($32.3{\pm}2.7$ years old, $175.2{\pm}3.8cm$, $76.2{\pm}8.7kg$) participated. They wore knee brace or didn't wear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RP를 기반으로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 착용 여부에 따른 하지 내 엉덩관절,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의 협응을 평가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정상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보행 시 기능성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 착용 여부에 따른 하지 내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간 협응에 대한 차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무릎 보조기 착용 시 무릎과 발목의 각도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엉덩관절과 무릎관절 사이의 협응 및 무릎관절과 발목관절 사이의 협응 또한 변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무릎 보조기 착용 보행 시 시상면에서의 하지 관절의 거동 및 관절간 협응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무릎 보조기의 경우 프레임으로 인하여 시상면을 제외하고 다른 면(plane)은 제한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치료 이후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은? 모든 스포츠 활동에서 손상을 가장 많이 받는 신체 부위는 무릎이며, 특히 무릎 손상의 44%는 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알려져 있다 [1]. 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인한 수술 및 재활치료 비용은 전체 의료비 중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치료 이후에도 스포츠 활동 복귀로 인한 재손상과 퇴행성 무릎관절염, 만성 무릎 불안정성, 반월판 및 연골손상과 같은 후유증은 여전히 의료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2].
기존의 무릎보조기 사용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에 최근에는 스포츠 무릎 손상을 사전에 방지 하기 위한 예방 측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3], 이 중 무릎보호대의 착용은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전방 변위를 유의하게 감소시켜 스포츠 활동 도중 무릎 부상률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4,5]. 기존의 무릎보조기 사용은 주로 수술 후 초기 재활치료 단계에서 무릎관절의 과도한 염좌를 예방하거나, 재발 방지 또는 수술 후 무릎 보호 차원에서 착용하였으나, 점차적으로 스포츠 활동 중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그 사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미 임상에는 네오프렌이나 카본 소재 등을 이용한 다양한 무릎보조기가 상용화되어 있으며, 그중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knee extension constraint brace)는 점프, 착지 동작 시 무릎의 굴곡 각도를 증가시키고, 후방 지면반발력을 감소시켜 무릎의 비접촉식 전방십자인대 손상을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2].
유각기에서 무릎 보조기 착용 시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사이의 CRP_SD와 무릎관절과 발목관절 사이의 CRP_SD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반하여 유각기에서 무릎 보조기 착용 시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사이의 CRP_SD와 무릎관절과 발목관절 사이의 CRP_SD는 증가하였다. 이는 유각기동안 무릎 보조기 착용으로 무릎의 굴곡이 억제되고, 발목의 족저 굴곡이 증가하여, 발끌림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발끌림 방지(foot clearance)를 위하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eeuwisse, W. H., Sellmer, R.and Hagel, B. E., "Rates and risks of injury during intercollegiate basketball."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31, no. 3, pp. 379-385, 2003. 

  2. Stanley, C. J., Creighton, R. A., Gross, M. T., Garrett, W. E.and Yu, B., "Effects of a knee extension constraint brace on lower extremity movements after ACL reconstruction."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R), vol. 469, No. 6, pp. 1774-1780, 2011. 

  3. Ford, K. R., Myer, G. D.and Hewett, T. E., "Valgus knee motion during landing in high school female and male basketball player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5, No. 10, pp. 1745-1750, 2003. 

  4. Teitz, C. C., Hermanson, B. K., Kronmal, R. A.and Diehr, P. H., "Evaluation of the use of braces to prevent injury to the knee in collegiate football players." J Bone Joint Surg Am, vol. 69, No. 1, pp. 2-9, 1987. 

  5. Sitler, M., Ryan, C. J., Hopkinson, L. W., Wheeler, L. J., Santomier, J., Kolb, L. R.and Polley, C. D., "The efficacy of a prophylactic knee brace to reduce knee injuries in football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at West Point."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18, No. 3, pp. 310-315, 1990. 

  6. Han, K.-H.and Lim, B.-O., "The Effects of Knee Brace on the Knee Muscular Neuro-Biomechanical Variables during the Rebound in Female Highschool Basketball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 17, No. 4, pp. 107-113, 2007. 

  7. Van Uden, C. J. T., Bloo, J. K. C., Kooloos, J. G. M., Van Kampen, A., De Witte, J.and Wagenaar, R. C., "Coordination and stability of one-legged hopping patterns in patien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reliminary results." Clinical biomechanics, vol. 18, no. 1, pp. 84-87, 2003. 

  8. Kurz, M. J., Stergiou, N., Buzzi, U. H.and Georgoulis, A. D., "The effect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truction on lower extremity relative phase dynamics during walking and running." 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vol. 13, no. 2, pp. 107-115, 2005. 

  9. Chang, Y. H., Jung, B., Kang, S., Ryu, J., Mun, M.and Ko, C. Y., "Evaluation of intralimb coordination in transfemoral amputee during level walking."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ol. 10, no. 2, pp. 147-153, 2016. 

  10. Chiu, S.-L., Chang, C.-C., Dennerlein, J. T.and Xu, X., "Age-related differences in inter-joint coordination during stair walking transitions." Gait & posture, vol. 42, No. 2, pp. 152-157, 2015. 

  11. Russell Esposito, E.and Wilken, J. M., "The relationship between pelvis-trunk coordination and low back pain in individuals with transfemoral amputations." Gait & posture, vol. 40, no. 4, pp. 640-646, 2014. 

  12. Yi, L. C., Sartor, C. D., Souza, F. T.and Sacco, I. C. N., "Intralimb Coordination Patterns in Absent, Mild, and Severe Stages of Diabetic Neuropathy: Looking Beyond Kinematic Analysis of Gait Cycle." PloS one, vol. 11, No. 1, pp. e0147300, 2016. 

  13. Hamill, J., Palmer, C.and Van Emmerik, R. E. A., "Coordinative variability and overuse injury." BMC Sports Science,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4, no. 1, pp. 1, 2012. 

  14. Chen, H.-L., Lu, T.-W.and Chou, L.-S., "Effect of concussion on inter-joint coordination during divided-attention gait." Journal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vol. 35, no. 1, pp. 28-33,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