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아바 잎 추출액을 이용한 직물의 천연염색(I) - 구아바 잎 추출액의 특성과 견직물에 대한 염색성 -
Natural Dyeing of Fabrics with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Extract - Characteristic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Extract and Dyeability with Silk Fabrics -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3 no.5, 2011년, pp.778 - 789  

한미란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  이정숙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s with guava leaf extract was investigated. Mixed components of flavonoid and tannin seem to be the components of guava leaf extract. The temperature and time for dyeing of silk fabrics with guava leaf extract were $40^{\circ}C$ and $90^{\circ}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염색이란 무엇인가? 천연염색은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이나 동물, 광물에서 얻어지는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섬유에 염색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천연염료는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 동물, 광물 등에서 얻어지는 염료로서 천연물의 본질적 속성에 변화를 주지 않고 추출한 것이다(곽미정, 2009). 천연염료는 식물의 잎과 꽃, 열매, 수피(樹皮), 심재(心材), 뿌리(根)를 이용하는 식물성염료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매염제에 의하여 여러 가지 색을 낼 수있는 다색성 염료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구아바란 무엇인가? 구아바(Psidium guajava L.)는 도금양과(Myrtaceae)에 속하는 아열대성 식물로서 guava, guayabo, kuawa로 불려지며, 전세계적으로 아열대성 기후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Begum et al., 2002).
천연염색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우수한 염료 식물의 탐색과 이용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천연염색은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이나 동물, 광물에서 얻어지는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섬유에 염색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천연염료는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 동물, 광물 등에서 얻어지는 염료로서 천연물의 본질적 속성에 변화를 주지 않고 추출한 것이다(곽미정, 2009). 천연염료는 식물의 잎과 꽃, 열매, 수피(樹皮), 심재(心材), 뿌리(根)를 이용하는 식물성염료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매염제에 의하여 여러 가지 색을 낼 수있는 다색성 염료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식물성염료에서 원예식물이나 농산물의 부산물은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이 높을 경우 천연염재 구입의 용이성과 함께 이용성의 다양화 및 향상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창출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김인옥, 2008). 이런 측면에서 천연염색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우수한 염료 식물의 탐색과 이용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농산물의 생산과정이나 수확 후에 버려지는 부산물 중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이 높은 것들을 발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이상필,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감귤밭 ${\rightarrow}$ 남해, 녹차밭 ${\rightarrow}$ 고성 ${\cdots}$ 지도가 바뀐다. (2007, 8. 27). 한겨레신문. 자료검색일 2011, 5. 12, 자료출처 http://www.hani.co.kr 

  2. 강인아. (2002). 결명자 색소 추출액에 의한 견직물의 금속매염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곽미정. (2009). 키토산 가교처리된 면직물의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성희. (2010). 차가버섯 추출염액을 이용한 닥섬유 혼방직물의 염색성과 항균효과. 한국의류학회지, 34(3), 472-479. 

  5. 김인옥. (2008). 땅콩껍질을 이용한 천연염색.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호정. (2006). 추출조건에 따른 호두외피추출물의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4), 465-470. 

  7. 설정화, 최석철. (1994). 견의 탄닌처리에 관한 연구(II) -매염제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염색가공학회지, 6(2). 1-9. 

  8. 설정화, 최석철, 조경래. (1995). 견의 탄닌처리에 관한 연구(III) - 축합형 탄닌과 가수분해형 탄닌의 비교-. 한국염색가공학회지, 7(3), 60-67. 

  9. 안경조. (2000). 염색의 과학. 서울: 경춘사, pp. 192-193. 

  10. 이상필. (2005). 배 유과 및 잎을 이용한 직물의 천연염색.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영숙. (2008). 감초 추출물에 의한 직물의 염색성과 기능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정고은 이정순. (2011). 대나무 추출물의 염색성과 기능성 (제2보)-단백질섬유에 대한 염색성-. 한국의류학회지, 35(3), 336-346. 

  13. 조경래. (1991). 칡잎 색소의 특성과 염색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3), 281-288. 

  14. 조경래. (2004). 천연염료와 염색. 서울: 형설출판사, p. 71. 

  15. 조경래, 김미숙. (2003). 느릅나무껍질 추출액에 의한 염색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5(1), 30-38. 

  16. 木村光雄, 道明美保子. (2007). 自然を染める-植物染色の基礎と應用-.東京: 木魂社, pp. 79-80. 

  17. 伊藤三, 松尾友明,飯伏雄二, 玉利信人. (1987). グアバに含まれるポリフェノルの消 長とその特性. 園芸學會雜誌, 56(1), 107-113. 

  18. 島潤子, 堀 徹治, 保井久子. (2001). マウスにおけるグァバ葉熱水抽出物のインフルエン ザウイルス感染性阻止作用. 日本食品化誌, 8(1), 11-16. 

  19. Batick, M. J. (1984). Ethnobotany of palms in the neotropics. In: Prance, G.T., Kallunki, J.A. (EdS.), Advences in economic botany : Ethnobotany in neotropics. New York: New York Botanical Garden, pp. 9-23. 

  20. Begum, S., Hassa, S. I., Siddiqui, B. S., Shaheen, F., Ghayur, M. N., & Gilani, A. H. (2002). Triterpenoids from the leaves of Psidium guajava. Phytochemistry, 61, 399-403. 

  21. Deguchi, Y., Osada, K., Uchida, K., Kimura, H., Yoshikawa, M., Kudo, T., Yasui, H., & Watanuki, M. (1998). Effects of extract of guava leaves on the development of diabetes in the db/db mouse and on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of human subjects. Nippon Nogeikagaku Kaishi, 72(8), 923-931. 

  22. Fransworth, N. R., & Bunyaprapatsara N. (1990). Thai medicinal plants recommended for primary health care in Thailand. Bangkok, Thailand: Mahidol University, pp. 202-207. 

  23. Hong, N. L. (1998). Chinese Medicinal herbs of Hong Kong. 2, Hang Chiewing sa Kwang, Hong Kong, pp. 104-105. 

  24. Jaiarj, P., Wongkrajang, Y., Thongpraditchote1, S., Peungvicha1, P., Bunyapraphatsara, N., & Opartkiattikul, N. (2000). Guava leaf extract and topical haemostasis. Phytother. Res, 14(5), 388-391. 

  25. Kimura, S., Tamaki, T., & Aoki, N. (1985). Acceleration of fibrinolysis by the N-terminal peptide of alpha 2-plasmin inhibitor.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66(1), 157-160. 

  26. Lozoya, X., Reyes-Morales, H., Chavez-Soto, M. A., Martinez-Garcia, Mdel, C., Soto-Gonzalez, Y., & Doubova, S. V. (2002). Intestinal anti-spasmodic effect of a phytodrug of Psidium guajava folia in the treatment of acute diarrheic disease. J. Ethnopharmacology, 83, 29-24. 

  27. Nantitanon, W., Yotsawimonwat, S., & Okonogi, S. (2010). Factors influencing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guava leaf extract.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43(7), 1095-1103. 

  28. Okuda, T., Yoshida, T., Hatano, T., Yaaki, K., & Ashid, M. (1982). Ellagitannins of the Casuarinaceae, Stachyuraceae and Myrtaceae. Phytochemistry, 21(12), 2871-28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