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다공성 필름 분석
An Analysis of a Porous Film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551 - 558  

김경이 (서일대학 식품생명과학과) ,  이은경 (이경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식품 포장 물질로서 항균성질을 갖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다공성 필름의 성능과 효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무가 갖는 특유의 향인 피톤치드 정유는 휘발성 화학물질로서, 항균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천연물질이다. Limonene은 편백나무 정유중의 한 성분으로 분해없이 증류되며, 효과적인 항균성분을 나타내는 한편 비교적 안정한 테르펜류이다. 피톤치드 정유를 함유한 효과적인 항균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의 최적조건을 찾은 결과, T-500:에탄올:경화제의 비율이 5:20:0.3이었고, 최소 항균성을 나타내는 피톤치드 정유의 농도는 2%였다. 피톤치드는 기체상 접촉을 통한 적용법이 항곰팡이성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피톤치드를 포함한 필름들이 A-50LF1, A-25SF2, B-50SF1, C-50LF1, C-25SF2, D-50SF1와 같이 여러가지 다른 조건으로 만들어졌고, $1{\ell}$ 반응기 안에서 저장기간에 따르는 limonene 성분을 얻기 위하여 GC-MSD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항균층 폭이 25 mm, 길이 20 cm인 필름 2개를 사용했을 때가 항균층 50 mm, 길이 20 cm 필름 1개를 사용했을 때보다 밀폐된 반응기에 limonene이 더 많이 보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필름 제조 시 안쪽 필름의 20 ${\mu}m$의 기공 쪽보다 옆 단면 층과 층 사이의 기체 확산이 더 크게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필름 두께가 피톤치드 방출량에 미치는 영향은 필름이 두꺼울수록 초기에는 오히려 덜 방출되었으나, 하루가 지나면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방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5^{\circ}C$와 70% 습도 조건에서 14일 동안 식빵 저장 실험에서 곰팡이 유무를 확인한 결과, 작은 사이즈 2개를 넣었을 때가 큰 사이즈 1개를 넣었을 때보다 저장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신선도 유지성분인 편백 정유가 갖는 항균성분 중, limonene의 방출 특성과 조건을 분석함으로써 필름조건의 자료를 공유하여 향후 식품에 대한 적용 확대가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volatility of a porous film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extract as a method to effectively package food compounds. Phytoncide was contacted the state of gas and showed effective antimicrobial properties. L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식품 포장 물질로서 항균성질을 갖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다공성 필름의 성능과 효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무가 갖는 특유의 향인 피톤치드 정유는 휘발성 화학물질로서, 항균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천연물질이다.
  •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매의 최적 비율을 찾아 시도하였으며, 필름의 두께를 고려하여 필름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편백나무 추출물 중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성분인 phellandrene, thujone, iso-bornylacetate, limonene 중에서 limonene을 선택하여 저장 기간에 따라 휘발되는 양을 분석하였다. 향후 그 외의 항균성분들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필름이 산업적 이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에 사용되는 화학적 합성 보존료는 어떤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가? 항균 포장재는 첨가물질의 종류와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Lee 등 2003). 화학적 합성 보존료가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돌연변이나 심각한 질병 유발 등의 문제가 되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Lee & Lim 1998). 이에 최근에는 천연물에 존재하는 항균 활성 물질들이 가공식품의 저장, 유통기간을 증진시키는 목적을 갖고 천연의 항균제제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Jang 등2010).
편백정유의 항균 성분은 무엇인가?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매의 최적 비율을 찾아 시도하였으며, 필름의 두께를 고려하여 필름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편백나무 추출물 중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성분인 phellandrene, thujone, iso-bornylacetate, limonene 중에서 limonene을 선택하여 저장 기간에 따라 휘발되는 양을 분석하였다. 향후 그 외의 항균성분들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필름이 산업적 이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항균 포장재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에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성 및 저장성을 연장하기 위하여 포장조건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기능성 포장형태가 진행되고 있다(Vermeiren 등 1999). 항균 포장재는 첨가물질의 종류와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Lee 등 2003). 화학적 합성 보존료가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돌연변이나 심각한 질병 유발 등의 문제가 되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Lee & Lim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viano WS, Mendonca-Filho RR, Alviano DS.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Croton cajucara Benth linalool-rich essential oil on artificial biofilms and planktonic microorganisms. Oral Microbiol Immunol 20:101-105 

  2. Caccioni DRL, Guizzardi M, Biondi DM, Renda A, Ruberto G. 1998. Relationship between volitil components of citrus fruit essential oils and antimicrobial action on Penicillium digitatum and Penicillium italicym. Inter. J Food Microbiol 43:73-79 

  3. Chldefied-Chezet F, Zet M, Guerry J, Food Chalchat C, Fusillier M, Vasson. 2004.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laleuca alternifolia essential oil on human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and monocytes. Free Radic Res 38:805-811 

  4. Choi MH. 2007. Freshness preservatives of film-type. GN. 10-0755346 

  5. Chung JY, Choo JH, Lee MH, Hwang JK. 2006. Anticariogenic activity of macelignan isolated from Myristica fragrans (nutmeg)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Phytomedicine 13: 261-266 

  6. Cimanga K, Kambu K, Tona L, Apers S, Debruyne T, Hermans N, Totte J, Pieters L, Vlietinck AJ. 2002. Correlation between chemical compos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some aromatic medicinal plants growing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J Ethnopharmacol 79: 213-220 

  7. Crowell PL. 1999. Prevention and cancer by dietary monoterpnes. The Journal of Nutrition 129:775-778 

  8. Deiml T, Haseneder R, Zieglgeansberger W, Rammes G, Eisensamer B, Rupprecht R, Hapfelmeier G. 2004. Alpha-thujone reduces 5-HT3 receptor activity by an effect on the agonistreduced desensitization. Neuropharmacology 46:192-201 

  9. Han YS.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extracy on food-orne ph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13-121 

  10. Hassanzadeh MK, Rahimizadeh M, Bazzaz BSF, Emami SA, Assili J. 2001. Chemical and antimicrobial studies of Platycladus orientalis essential oils. Pharm Bio 39:388-390 

  11. Jang MR, Seo JE, Lee JH, Chung MS, Kim GH. 2010.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ts by the volatile flavor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Korean J Food & Nutr 23:154-161 

  12. Kang SK, Auh QS, Chun YH, Hong JP. 2010. Effect of Chamaecypari obtusa tree phytoncide on Candida albicans. Korean J Academy of Oral Medicine 35:19-29 

  13. Kim KY, Lee EK. 2009.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porous film containing freshness maintenance ingredients. Korean J Food Perserv 16:810-816 

  14. Kim YM, Park HW, Byun JY, Kim KH. 2005. Prparation of antioxidative polyethylene film and it effects on the lipid oxidation of semi-dried squid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 Nutr 18:19-27 

  15. Lawless J. 1995.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Essential Oils. Shafesbury UK. Element Books Ltd., pp.58-63 

  16. Lee JG, Lee CG, Baek S, Kwon YJ, Jang HJ, Kwag JJ, Rhee MS, Lee GH. 2006. Determination of aroma components in Pinus densiflora(pine needles) studied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s. Korean J Food Nutr 19:161-168 

  17. Lee JW, Hong SI, Son SK, Chang YH. 2003.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polymeric films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0:574-583 

  18. Lee SH, Lim YS. 1998.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239-243 

  19. Lim GO, Jang SA, Kim JY, Kim HY, Song KB. 2010. Use of gelatin fil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in the packaging strawberries. Korean J Food Preserv 17:196-201 

  20. Medeiros R, Passos GF, Vitor CE, Koepp J, Mazzuco TL, Pianowski LF. 2007. Effect of two active compounds obtained from the esential of Cordia verbenacea on the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elicited by LPS in the rat paw. Br J Pharmacol 151:618-627 

  21. Misaghi A, Basti AA. 2007. Effects of Zataria multiflora boiss. essential oil and nisin on Bacillus cereus ATCC 11778. Food Contral 18:1043-1049 

  22. Naser B, Bondinet C, Tegtmeier M, Lindequist U. 2005. Thuja occidentalis(Arbor vitae): A review of its oharmaceutical,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properties. Evidence 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69-78 

  23. Rhim JW, Kim JH. 2004.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films using various marine alga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69-74 

  24. Takarada K, Kimizuka R, Takahashi. 2004. A comparison of the antibacterial efficacies of essential oils against oral pathogens. Oral Microbiol Immunol 19:61-64 

  25. Tsuda H, Ohhima Y. 2004. Cancer prevention by natural compounds. Drug Metabolism and Pharmacokinetics 19:245-263 

  26. Urben P. 2007. Bretherick's Handbook of Reactive Chemical Hazards. p.1154 

  27. Vermeiren L, Devlieghere F, Beest M, Kruijf N, Debevere J. 1999. Developments in the active packing of foods. Trends Food Sci 10:77-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