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강 식이섬유 첨가량이 흰쥐의 혈청지질농도, 장 기능 및 무기질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Level on Serum Lipid Concentration, Bowel Function, and Mineral Absorption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4, 2011년, pp.622 - 629  

진현정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상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powder on serum lipid levels, bowel function, and mineral absorption in rats. Four weeks old male Sprague Dawley rats(SD rat)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control group fed 5% cellulose as a fiber source, RB10 fed 5%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강 식이섬유의 비율을 달리하여 식이에 첨가 하여 흰쥐에게 섭취시킨 후 혈청지질농도, 장 기능과 무기질 흡수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최근에는 미강의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이용한 식품 제조에 관련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미강 내 식이섬유를 추출하여 장 기능과 무기질 흡수를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미 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이용하여 식이 내 함량에 따른 혈청지질농도, 장 기능과 무기질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섬유란 무엇인가? 식이섬유는 인간의 소화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는 식물세포의 잔여물로 정의되며, 지방과 전분을 제거한 후 뜨거운 물에 용해되는 pectin, gums, 일부 hemi-cellulose 등의 수용성 식이섬유(soluble dietary fiber, SDF)와 cellulose, lignin, 일부 hemi-cellulose 등의 불용성 식이섬유(insoluble dietary fiber, IDF)로 분류할 수 있다(Trowell H 1976).
식이섬유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식이섬유는 인간의 소화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는 식물세포의 잔여물로 정의되며, 지방과 전분을 제거한 후 뜨거운 물에 용해되는 pectin, gums, 일부 hemi-cellulose 등의 수용성 식이섬유(soluble dietary fiber, SDF)와 cellulose, lignin, 일부 hemi-cellulose 등의 불용성 식이섬유(insoluble dietary fiber, IDF)로 분류할 수 있다(Trowell H 1976).
불용성 식이섬유의 섭취가 대장암의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불용성 식이섬유에는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가 대부분이며, 셀룰라아제가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소화, 흡수되지 않고 배설되며,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해 변비를 막는다. 이러한 불용성 식이섬유는 장 통과시간을 감소시키고, 변 무게와 배설빈도를 증가시키며, 대장 내용물을 희석시키고 장내 유익균의 증식에 도움을 준다(Cummings JH 2000). 이런 효능으로 발암물질이 대장 세포와 접촉할 시간을 단축시켜 대장암의 유발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Trock 등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egin F, Vachon C, Jones JD, Wood PJ, Savoie L. 1989. Effect of dietary fibers on glycemia and insulinemia and on gastrointestinal function in rats. Canadi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67:1265-1271 

  2. Behar J. 1974. Magnesium absorption by the rat ileum and colo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27:334-340 

  3.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adi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37:911-917 

  4. Bourquin LD, Titgemeyer EC, Fahey JG. 1993. Vegetable fiber fermentation by human fecal bacteria: cell wall polysaccharide disappearance and short-chain fatty acid production during in vitro fermentation and water-holding capacity of unfermented residues. Journal of Nutrition 123:860-869 

  5. Calvert R, Schneeman BO, Satchithanandam S, Cassidy MM, Vahouny GV. 1985. Dietary fiber and intestinal adaptation: Effects on intestinal and pancreatic digestive enzyme activitie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41:1249-1256 

  6. Chen WJ, Anderson JW. 1986. Hypocholesterol Effects of Soluble Fibre. pp.275-286. Plenum Press 

  7. Cummings JH. 2000. Nutritional Management of Diseases of the Gut. pp.547-573.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 

  8. Dintzis FR, Watson PR, Sandstead HH. 1985. Mineral contents of brans passed through the human GI tract.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41:901-908 

  9. Drews LM, Kies C, Fox HM. 1979. Effect of dietary fiber on copper, zinc, and magnesium utilization by adolescent boy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32:1893-1897 

  10. Ebihara K, Schneeman BO. 1989. Interaction of bile acids, phospholipids,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ith dietary fibers in the small intestine of rats. Journal of Nutrition 119: 1100-1106 

  11.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497-509 

  12. Gallaher D, Schneeman BO. 1986. Intestinal interaction of bile acids, phospholipids, dietary fibers, and cholestyramin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50:420-426 

  13. Gordon DT, Besch-Williford C, Ellersieck MR. 1983. The action of cellulose on the intestinal mucosa and element absorption by the rat. Journal of Nutrition 113:2545-2556 

  14. Ha TY, Lee SH, Lee HY. 1997. The effect of various rice bran extracts on the lipid contents of serum and liver in rat fed with high 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178-182 

  15. Jang YK, Jung KA. 1996. Effect of cereals dietary fiber on mineral absorption.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4:41-51 

  16. Kahlon TS, Chow FI, Sayre RN, Betschart AA. 1992. Cholesterol- lowering in hamsters fed rice bran at various levels, defat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 J Nutr 122:513-519 

  17. Kang HJ, Song YS. 1997. Dietary fiber and cholesterol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358-369 

  18. Kang HJ, Suh MJ, Song YS. 1994. Effect of sodium alginate and cellulose on fasting plasma lipoprotein composition and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II). J Korean Soc Food Nutr 23:887-893 

  19. Kay RM, Truswell AS. 1977. Effect of citrus pectin on blood lipids and fecal steroid excretion in ma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30:171-175 

  20. Kim YH, Lee SS. 1995. The effect of diet containing different fiber sources on the serum lipid level and bowel function in rats. Kor J Nutr 28:825-833 

  21. Lafont H, Lairon D, Vigne JL, Chanussot F, Chabert C, Portugal H, Pauli AM, Crotte C, Hauton JC. 1985. Effect of wheat bran, pectin and cellulose on the secretion of bile lipids in rats. Journal of Nutrition 115:849-855 

  22. Lee HJ, Kim YA, Lee HS. 2006. Annual changes in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1991-2001.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9:549-559 

  23. Lee HS. 1997. Intake of dietary fiber of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540-548 

  24. Lee YN, Kim CI, Kim WS, Lee HJ, Jang YA, Lee HS, Kim AY. 2005. Development of Nutrient database- 5. Dietary fiber composition of food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5. McCance RA, Widdowson EM. 1942. Mineral metabolism of healthy adults on white and brown bread dietaries. The Journal of Physiology 101:44-85 

  26. Mueller MA, Cleary MP, Kritchevsky D. 1983. Influence of dietary fiber on lipid metabolism in meal-fed rats. Journal of Nutrition 113:2229-2238 

  27. Park YK, Kang YH. 2004. Effects of single cells of carrot and radish on the fecal excretion properties, mineral absorption rate and structure of small intestine and col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505-511 

  28. Reeves PG, Nielsen FH, Fahey Jr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ournal of Nutrition 123:1939-1951 

  29. Slavin JL. 2005. Dietary fiber and body weight. Nutrition 21:411-418 

  30. Story JA. 1981. The role of dietary fiber in lipid metabolism. Advances in Lipid Research 18:229-246 

  3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32. Toma RB, Curtis DJ. 1986. Dietary fiber: Effect on mineral bioavailability. Food Technology 2:111-116 

  33. Trock B, Lanza E, Greenwald P. 1990. Dietary fiber, vegetables, and colon cancer: Critical review and meta-analyses of the epidemiologic evidence.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82:650-661 

  34. Trowell H. 1976. Definition of dietary fiber and hypotheses that it is a protective factor in certain disease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9:417-427 

  35. Van Dokkum W, Wesstra A, Schippers FA. 1982. Physiological effects of fibre-rich types of bread. 1. The effect of dietary fibre from bread on the mineral balance of young men. 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47:451-460 

  36. Walker AR, Fox FW, Irving JT. 1948. Studies in human mineral metabolism: 1. The effect of bread rich in phytate phosphorus on the metabolism of certain mineral salts with special reference to calcium. Biochemical Journal 42:452-462 

  37. Yang JL, Suh MJ, Song YS. 1996. Effects of dietary fibers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cholesterol-fed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5:392-3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