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동해 연안에 내유한 산란기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행동습성
Behaviour habitats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approaching toward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in the spawning season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3 no.1 = no.51, 2011년, pp.35 - 42  

안희춘 (국립수산과학원) ,  이경훈 (국립수산과학원) ,  이성일 (국립수산과학원) ,  박해훈 (국립수산과학원) ,  배봉성 (국립수산과학원) ,  양재형 (국립수산과학원) ,  김종빈 (국립수산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haviour habitats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one of the stock recovery species of Korea, were investigated when they were approaching toward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spawning season. Underwater surveys were conducted in December, 2009 at Jug-island, Goseong, Gang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루묵이 산란기에 연안으로 내유한 시기의 행동 습성을 구명하여 도루묵 자원의 회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강원도 고성군 오호항 인근의 죽도 해역에서 도루묵의 행동을 조사하고 자망어구로 채포한 도루묵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루묵의 분포지역은 어디인가?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은 우리나라 동해, 일본 중부 이북, 캄차카반도, 사할린 및 알래스카 해역에 분포하며(NFRDI, 2004), 수심 약 100-300m인 대륙붕의 모래 또는 펄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Kim et al., 2005; Sakuramoto et al.
도루묵의 산란기는 언제인가? , 1997). 도루묵은 산란시기인 겨울철에는 수심 2-10m의 해조류가 무성한 얕은 연안으로 회유하는 습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FRDI, 2004; Myoung et al., 1989).
일몰 후 산란시기에 도루묵의 행동습성의 특징은? 또한, 일부 개체는 한 마리씩 떨어져서 바닥에 접근하여 몸을 흔들어 모래 속으로 잠입하고 머리 부분만 밖으로 내어 놓고 있는 경우도 있었으며, 몸을 절반 정도 잠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일몰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부설 되어 있는 자망에 걸리는 개체수와 무리를 이루어 유영하는 개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Photo 1]. 그러나 주간 조사에서는 잠수부가 일정 간격으로 해저의 모래를 파보기도 하고 바위틈을 탐색하였으나 도루묵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S.H., Y. Y. Chun, S.J. Son and H.K. Suh(1983). Age, growth and maturity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 in the eastern sea of Korea,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31, 7-19. 

  2. Chyung, M.K.(1977). The fishes of Korea, Il-Ji Sa Publishing Co., Seoul, 1-727. 

  3. Jeong, E.C., H.H. Park, B.S. Bae, D.S. Chang, C.S. Kim, S.H. Choi, and H.K. Cha(2009). Size selectivity of gill net for male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off Gangwon in water. J. Kor. Fish. Soc. 42(1), 78-82. 

  4. Kim, I.S., Y. Cho, C.Y. Le, Y.J. Lee, B.J. Kim and J.H. Kim,(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ress, Seoul, 615. 

  5. Lee, H.W. and Y.J. Kang(2006). Age determination and growth using the transverse section method of Otoliths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ern sea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8, 237-243. 

  6. Lee, H.W. Y.J. Kang, S.H. Huh and G.W. Baeck(2007). Feeding habit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of Korea, Korean J. Ichhyol, 19(1), 44-50. 

  7. Lee, S.I., J.H. Yang, S.C. Yoon, Y.Y. Chun, J.B. Kim, H.K. Cha and Y.M. Choi(2009). Biomass estimation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Korean waters, Kor J Fish Aquat Sci, 42, 487-493. 

  8. Morioka, T.(2005). Onset of burying behavior concurrent with growth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hatchery-reared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Fisheries Science, 71, 242-244. 

  9. Myoung, J.G., J.M. Kim and Y.U. Kim(1989).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sand fish,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 larvae and juveniles reared in the laboratory, Bull, Korean Fish, Soc. 22, 129-137. 

  10.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Korea. 

  11.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2005). Ecology and fishing ground of major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Yeamoonsa, Busan, 1-397. 

  12. Park, H.H., E.C. Jeong, B.S. Bae, J.H. Yang, S.H. Choi, and S.I. Lee(2007).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female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spawning season, J. Kor. Soc. Fish. Tech, 43(4), 274-280. 

  13. Sakuramoto, K.H., Sugiyama and N. Suzuki(2001). Models for forecasting sandfish catch in the coastal waters off Akita Prefecture and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3-year fishery closure, Fisheries Science, 67: 203-213. 

  14. Sakuramoto, K.T., Kitahara, and H. Sugiyama(1997).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fluctuations in sandfish catc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f Akita Prefecture, ICES Jour. Marine Sci., 54, 1-12. 

  15. Yang, J.H.(2009). Fisheries ecology and physiological studie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of Korea, Doctor of Ph. D. Thesis, University of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1-57. 

  16. Yang, J.H., S.I. Lee, H.K. Cha, S.C. Yoon, D.S. Chang and Y.Y. Chun(2008). Age and growth of the sandfish, Arctosc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4(4), 312-322. 

  17. Yang, J.H., S.I. Lee, B.S. Bae, H.K. Cha, S.C. Yoon, Y.Y. Chun, J.B. Kim, and D.S. Chang(2009). Development of artificial spawning seaweed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J. Kor. Soc. Fish. Tech., 45(4), 234-2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